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학의 Zip 제3판

거시경제학의 Zip 제3판 (1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진욱, 편저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학의 Zip = Macroeconomics / 김진욱 편저
판사항
제3판
발행사항
서울 :   네오시스,   2012   (2014)  
형태사항
vii, 571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네오시스 수험서 시리즈
ISBN
9788959531257
일반주기
행ㆍ외ㆍ입시(5급 공채)  
000 00702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811986
005 20141001165840
007 ta
008 120807s2012 ulkad 000c kor
020 ▼a 9788959531257 ▼g 13320
035 ▼a (KERIS)BIB000012726731
040 ▼a 211004 ▼c 211035 ▼d 211035 ▼d 244002
082 0 4 ▼a 339 ▼2 23
085 ▼a 339 ▼2 DDCK
090 ▼a 339 ▼b 2012z7
245 0 0 ▼a 거시경제학의 Zip = ▼x Macroeconomics / ▼d 김진욱 편저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네오시스, ▼c 2012 ▼g (2014)
300 ▼a vii, 571 p. : ▼b 삽화, 도표 ; ▼c 26 cm
440 0 0 ▼a 네오시스 수험서 시리즈
500 ▼a 행ㆍ외ㆍ입시(5급 공채)
700 1 ▼a 김진욱, ▼e 편저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12z7 등록번호 1513223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서는 행.외.입시 (5급 공채)에 출제 가능한 거시경제학의 모든 논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요약서이다. 어떤 기본서를 택하더라도 이 책을 보완서로 사용하면 출제가능한 모든 논점들을 빠른 시간 내에 단권화할 수 있고, 어떤 문제를 접하더라도 쉽게 응용하여 답안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였다.

제3판 서 문

이 책의 2판을 낸지도 상당한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국내외 주요 교과서들의 개정이 이루어지고, 거시경제환경이 급변하면서 새로운 논점들이 등장함에 따라 개정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습니다. 3판 개정과정에서도 2판의 개정 때와 비슷한 고민이 반복되었습니다. 책의 분량은 유지하면서, 가능한 쉽게 그리고 새로운 내용들을 빠짐없이 포함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어느 정도는 목적을 달성했다고 생각합니다.

3판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제5장 경기변동이론의 기초’와 ‘제10장 거시경제정책론’을 추가하여 전반적으로 구성을 재편한 점입니다. 이는 제가 기본이론 강의에 사용하는 ‘거시경제학 입문’과 체계를 맞추기 위한 것입니다. 다음으로 상당히 많은 부분을 쉬운 문체로 다시 써서 보다 읽기 편한 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내용상으로도 새로운 논점들을 상당 부분 추가하였습니다. 3판에서 추가 또는 재정리한 논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화시장 균형에 대한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접근
-대부시장 분석의 보강
-오쿤의 법칙과 산출량 및 실업의 변동성
-승수모형의 수학적 접근
-절약의 역설에 대한 다양한 접근
-장기총공급곡선의 도출 및 성질
-물가연동계약하에서의 총수요-총공급분석
-AD-AS모형의 조정과정
-고전학파의 일반균형모형
-0% 인플레이션 논쟁
-테일러 준칙의 안정화 효과
-시간비일관성 모형의 게임이론적 접근
-금리준칙을 포함한 IS-MP-IA모형
-전통적 통화정책과 양적 통화정책의 비교
-예비적 저축가설
-즉각적 만족가설의 보완
-듀젠베리의 상대소득가설과 넉시의 국제적 전시효과
-신고전파 투자이론의 새로운 접근
-투자의 자본조정비용모형
-효율성임금과 솔로우조건의 직관적 접근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모형과 본원통화의 공급경로
-예금은행의 대차대조표모형과 레버리지
-영구적 재정정책의 효과수정
-솔로우 성장모형의 재구성
-AK모형의 예시 보강
-경제성장의 촉진방안
-PPP와 통화주의의 환율결정이론
-평가조정정책의 효과
-자본이동성논쟁
-환율제도의 안정화효과
-IS-LM-IRP모형

여유시간이 있었던 2판 개정 시에 비해 3판의 개정은 상당히 힘이 들고 진행이 더디었습니다. 특히 마무리과정에서 속도를 내지 못해 일정이 지연되고 있던 차에 권승기 군(2011년 행정고시 재경직 최종합격)이 교정작업에 참여하여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 외에도 학생들의 예측불가한 다양한 질문들과 어려운 문제가 있을 때마다 새로운 해법을 제시해 주신 여러 교수님들의 조언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내 삶의 큰 기둥이신 아버님과 어머님의 격려가 없었다면 이 책의 개정은 더 늦어졌을 것입니다. 모두에게 큰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아름답고 지혜로운 아내 지민의 권유를 받아들여 이 책의 인세는 전부 대한적십자사와 유니세프에 기부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는 제 스스로 후배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선배가 되겠다는 다짐이기도 합니다. 노력과 정성을 담아 또 한권의 책을 세상에 내보냅니다. 여러분의 합격과 밝은 미래를 기원합니다.

2012년 2월 삼성산 연구실에서
김진욱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진욱(지은이)

[약 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대학원 재학 중 행정고시 재경직 합격(제40회) 전 행정자치부, 정보통신부 사무관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등 다수 대학특강 EBS 방송강의 경제학 특강 현 베리타스법학원 경제학강사(행정, 외교, 입법) [저 서] 거시경제학입문 4.0(피데스) 재정학 실전문제집(1판, 피데스) 재정학 모의고사의 zip(3판, 피데스) 경제학의 zip(6판, 네오시스) 경제학 기출문제의 zip(7판, 네오시스) 경제학 실전문제집 시리즈(필통북스, 네오시스) 이준구의 재정학 연습문제 해설집(6판, 문우사) 김경수, 박대근 거시경제학 연습문제 해설집(6판, 박영사) [번역서] 크루그먼의 경제학 해법(4판, 시그마프레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거시경제학의 주요변수
1. 거시경제의 수량지수
2. 거시경제의 물가지수
3. 실업률의 측정 및 한계
<보론> 지수의 이해
제2장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1 : 재화시장
1. 간단한 거시경제모형의 기본가정
2. 거시경제의 총생산함수
3. 거시경제의 총소득
4. 거시경제의 총지출
5. 대부시장의 분석
제3장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2 : 화폐시장
1. 화폐이론의 기초개념
2. 화폐경제의 이득
3. 화폐유통속도의 정의
4. 수량방정식과 화폐수량설의 이해
5. 피셔방정식과 피셔효과
6. 화폐시장의 균형과 물가수준 결정식
7. 화폐발생차익의 문제
8.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9.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종말
10. 명목변수와 실질변수
11. 고전적 이분법과 화폐의 중립성
제4장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3 : 노동시장
1. 실업의 구분
2. 자연실업률의 도출
3. 마찰적 실업의 발생원인
4. 구조적 실업의 발생원인
5. 실업의 지속기간에 대한 연구의 결과
6. 국가별 실업률 변화에 대한 실증연구
7. 고통지수의 문제
8.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평가
제5장 경기변동이론의 기초
1. 경기의 순환과정
2. 경기선행지수의 이해
3. 단기경기변동과 오쿤의 법칙
제6장 거시경제의 총수요와 IS-LM모형-1
1. 단기분석의 구조
2. 케인지안 크로스 모형과 국민소득의 결정
3. 재정정책과 승수효과
4. IS곡선의 도출
5. 유동성선호이론과 이자율의 결정
6. 이자율결정이론의 비교
7. LM곡선의 도출
8. IS-LM의 동시균형 및 불균형
[보론_1] 균형국민소득결정모형 : 수식접근
[보론_2] IS-LM의 대수접근
제7장 거시경제의 총수요와 IS-LM모형-2
1. IS-LM의 기본적인 분석-1
2. IS-LM의 기본적인 분석-2
3. 통화당국의 대응에 따른 재정정책의 효과
4. 특수한 가정에 기초한 IS-LM 모형
5. IS-LM 모형의 내적 정합성의 문제
6. 대공황과 일본의 장기불황
제8장 거시경제의 총공급과 AD-AS모형
1. 총수요곡선의 기초
2. 총공급의 기초
3. 노동시장의 균형 및 장기 총공급곡선의 도출
4. 단기 총공급모형-1 : 노동자오인모형
5. 단기 총공급모형-2 : 비신축임금모형
6. 단기 총공급모형-3 : 불완전정보모형
7. 단기 총공급모형-4 : 비신축가격모형
8. 총공급모형의 비교
9. 총공급 이론의 잠정적 결론
[보론_1] 총수요-총공급 충격의 조정과정
[보론_2] 고전학파모형의 일반균형
제9장 실업, 인플레이션 그리고 필립스곡선
1. 총공급곡선으로부터 필립스곡선의 도출
2. 필립스곡선의 형태 및 이동
3. 필립스곡선과 인플레이션의 발생원인
4. 필립스곡선에 대한 초기 케인즈학파의 이해
5. 자연실업률가설과 인플레이션 가속화 현상
6. 인플레이션관성과 디스인플레이션의 필요성
7. 합리적 기대와 고통 없는 디스인플레이션 논쟁
8. 이력가설
제10장 거시경제정책논쟁
1. 통화정책의 적극적인 운용 또는 소극적인 운용
2. 통화정책의 재량적 운용 또는 준칙에 의한 운용
3. 우리나라의 물가안정목표제
4. 불리한 공급충격과 정책딜레마
5. 통화정책 중간목표의 문제
6. 테일러 준칙
7. 정책무력성의 명제
8. 최적정책의 비일관성
9. 통화정책과 최적정책의 비일관성
10. 통화정책의 전달경로의 이해
11. 신용의 개념과 이해
12. 통화정책의 동태적 접근
13. 재정적자의 동태적 접근
14. 재정적자의 측정상의 문제점
15. 리카도 대등정리 논쟁
[보론_1] 금리준칙을 반영한 총수요모형 : IS-MP-IA 모형
[보론_2] 전통적 통화정책과 양적 완화정책
제11장 소비이론
1. 소비의 정형화된 사실
2. 케인즈의 소비이론
3. 케인즈 소비함수의 실증분석
4. Fisher의 시점 간 자원배분모형
5. 생애주기가설
6. 항상소득가설
7. 임의보행가설
8. 유동성제약가설과 소비이론의 수정
9. 즉각적 만족표출가설
10. 소비의 자산효과
11. 소비이론의 정리
제12장 투자이론
1. 투자의 정형화된 사실
2. 투자의 특징
3. 투자의 종류 및 자본축적의 기본공식
4. 투자의 신고전파 모형
5. 토빈의 q이론
6. 주식시장과 국민경제와의 관계
7. 자본조정비용모형
8. 투자의 현금흐름이론과 신용붕괴의 문제
9. 불확실성과 투자
10. 주택투자의 모형
11. 재고투자의 이론
12. 투자의 소득의존성
13. 투자이론의 정리
14. epilogue-1 : 투자의 이자율 및 주가에 대한 비탄력성
15. epilogue-2 : 경기변동과정에서 투자의 급변성
제13장 노동의 공급과 수요
1. 고용과 실질임금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
2. 노동수요와 노동공급의 2기간 모형
3. 마찰적 실업 이론의 발전
4. 구조적 실업의 이론의 발전-1
5. 구조적 실업의 이론의 발전-2
6. 임금경직성이론
제14장 화폐의 공급과 수요
1. 통화공급과 수요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
2. 통화공급이론의 기초
3. 본원통화의 공급
4. 통화승수와 통화공급방정식
5. 화폐수요이론의 기초
6. 자산선택이론적 접근-1
7. 자산선택이론적 접근-2
8. 거래이론적 접근
[보론] 예금은행의 대차대조표 모형
제15장 금융시장
1. 금융시장의 이해를 위한 기초논점
2. 실물투자와 금융부문의 관계
3. 채권가격과 이자율 간의 관계
4. 주식시장과 주가의 결정
5. 파생금융상품의 거래와 손익표
6. 효율적 시장의 가설과 랜덤워크
7. 포트폴리오 효과와 뮤추얼 펀드의 이해
8. 물가연동공채에 대한 논쟁
9. 이자율의 만기구조의 이해
제16장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1. 거시경제이론의 발전
2. 경기변동의 일반적인 특징
3. 현대 경기변동이론의 과제
4.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5. 실물경기변동이론의 이해
6. 새케인즈 경제학의 이해
제17장 실물경기변동모형
1. 모형의 주요성격
2. 실물경기변동모형의 주요함수
3. 시장청산조건과 균형의 성립
4. 분석상의 주요가정 및 유의사항
5. 거시경제의 일반균형의 도출
6. 중요한 분석내용의 요약(생산물시장)
7. 실물경기변동모형의 주요 분석
8. 전략적 보완성과 조정실패모형
9. 개방경제의 분석
18장 경제성장이론
1. 경제성장의 의미와 생산성의 중요성
2. 솔로우 모형-1
3. 저축률 상승의 효과
4. 인구성장률 상승의 효과
5. 자본축적의 황금률 이론
6. 솔로우 모형-2
7. Solow 모형의 비교정태분석
8. 수렴가설의 문제
9. 성장회계방정식과 경제성장의 현실
10. 신성장모형
11. 경제성장의 촉진방안
제19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1
1. 환율의 기초
2. 환율제도의 이해
3. 국제적 거래의 유형과 환율결정이론
4. 경상거래와 장기환율결정이론
5. 자본거래와 단기환율결정이론
6. 환율의 급변성과 오버슈팅이론
7. 국제수지의 기초
8. 개방경제의 국민소득 항등식
9. 환율과 경상수지 경정모형
10. 간단한 경상수지 경정모형
11. 기간 간 교역의 이득
12. 국제적 포트폴리오 효과
제20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2 : 먼델-플레밍모형
1. 먼델-플레밍모형의 기초
2. 완전자본이동하에서 먼델-플레밍 모형
3. 물가변화 및 국제이자율변화를 고려한 M-F 모형
4. 자본의 이동성에 따른 정책효과의 변화
5. 3원불가능성의 정리와 환율제도의 선택
6. 대국경제의 M-F모형
7. 자본이동성 논쟁
[보론_1] 완전한 자본이동하에서 환율제도의 안정화 효과
[보론_2] IS-LM-IRP 모형의 이해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