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01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811935 | |
005 | 20140930131135 | |
007 | ta | |
008 | 140930s2014 ulkaj b 000c kor | |
020 | ▼a 9791195110193 ▼g 94910 | |
020 | 1 | ▼a 9788996990376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951.901 ▼2 23 |
085 | ▼a 953.033 ▼2 DDCK | |
090 | ▼a 953.033 ▼b 2013z5 ▼c 4 | |
110 | ▼a 한성백제박물관 | |
245 | 1 0 | ▼a 백제의 왕권은 어떻게 강화되었나 : ▼b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 ▼x Establishment of state power in Baekje / ▼d [한성백제박물관 편] |
260 | ▼a 서울 : ▼b 한성백제박물관, ▼c 2014 | |
300 | ▼a 389 p. : ▼b 천연색삽화, 가계도 ; ▼c 24 cm | |
440 | 0 0 | ▼a 백제학연구총서 쟁점백제사 ; ▼v 4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10 | 0 | ▼a Seoul Baekje Museum,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33 2013z5 4 | 등록번호 1117240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33 2013z5 4 | 등록번호 1513223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33 2013z5 4 | 등록번호 1117240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33 2013z5 4 | 등록번호 1513223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발간사 주제발표 1. 백제 국가의 형성과 발달 과정을 둘러싼 중요 쟁점 이현혜 9 2. 한성 백제의 중앙집권화 정도에 대한 연구의 평가 박현숙 31 3. 고고자료에 투영된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이한상 71 4. 백제 한성도읍기 중앙과 지방의 성립과 지방통치 노중국 121 5. 백제 한성기의 지방도시 박순발 177 종합토론 좌장-임기환 토론-강현숙ㆍ권오영ㆍ노중국ㆍ박순발ㆍ박현숙ㆍ이한상ㆍ이현혜ㆍ이희준ㆍ진덕재 종합토론 1부 Ⅰ. 문헌 자료 연구성과 정리 209 1. 연맹왕국과 귀족국가의 개념 213 3~4세기대 각 국의 지배 복속 관계 219 부와 부체계 226 2. 한성백제 중앙과 지방에서의 부 229 고고자료를 통해서 본 부 238 3~4세기 정치발전단계와 부체계 242 Ⅱ 문헌과 고고자료의 조화 모색 253 1. 위세품 사여를 통한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 253 2.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관계를 보여주는 고고자료 277 종합토론 2부 Ⅲ. 주요 쟁점사항 305 1. 한성백제의 영역 308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해석과 영역 319 고고자료의 분포 범위와 정치체의 영역 322 2. 한성백제의 영역지배 331 3.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위신재 - 위세품 사여 344 문헌기록상 중앙집권화의 지표 346 피장자의 정격과 위세품 및 위신재 357 금동제 위세품의 사여 연대 361 위신재의 출토 상태와 성격 363 4. 고구려의 왕권 강화 사례 370 Ⅳ. 객석 질문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