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연구의 필요성 9
1. 연구 배경 10
2. 연구 필요성 13
3. 연구목적 및 의의 16
Ⅱ. 선행연구 고찰 18
1. 편견의 형성과 유지에 대한 대중매체의 영향력 19
2. 정신장애인에 대한 대중매체 내용분석 연구 고찰 20
가. 부정성의 반복적, 일관적, 과장적 제시 : 공정성/객관성 결여 21
나. 정확성 결여: 부정확한 정보사용 22
다. 언어사용 : 경멸적, 비하적 용어 22
라. 기타 다양한 매체 활용 기법을 통한 편견 조장 23
3.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된 편견요소의 유형화 23
가. 부정성의 과장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분석 기준 23
나. 부정확성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기준 25
다. 언어사용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기준 26
라. 기타 다양한 매체 활용 기법을 통한 편견 조장 27
4. 편견 희생 집단에 대한 편견감소를 위한 방송 매뉴얼 고찰 27
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28
나. 방송제작 매뉴얼-프로그램 일반 준칙 : 차별의 대상 일반에 대한 매뉴얼 30
다. 신문 보도 매뉴얼 : [신문윤리실천요강] 36
Ⅲ. 연구방법 41
1.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연구방법 42
가. 텔레비전 모니터 활동 및 분석 대상의 선정 42
1) 대상 프로그램 선정 근거 42
2) 분석대상 프로그램 선정 방법 및 절차 43
나. 모니터링 49
1) 모니터링 수행자 선정 및 구성 49
2) 모니터링 수행자 교육 51
3) 모니터링 결과지 수집 52
2. 신문기사 분석 연구방법 52
가. 분석대상 신문기사 검색 조건 53
나. 분석대상 신문기사 선정 53
다. 신문기사 내용분석의 틀 54
1) 차별적 기사내용의 분석 54
2) 기사에 사용된 차별적 법률용어 파악 55
Ⅵ. 연구결과 59
1.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연구결과 57
가. 시사 교양 프로그램 모니터링 결과 57
1) 부정성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결과 57
2) 부정확성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결과 68
3) 경멸적/비하적 언어사용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결과 73
4) 영상 미디어 편집기법을 통한 편견 조장 모니터링 활동 분석 결과 74
나. 뉴스 모니터링 결과 85
1) 부정성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결과 85
2) 부정확성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결과 89
3) ‘뉴스 다시보기’ 제목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결과 94
4) 영상 미디어 편집기법을 통한 편견 조장 모니터링 활동 분석 결과 95
2. 신문보도 연구결과 104
가. 정신질환 관련 부정적 기사의 비율 104
나. 검색어별 부정적 기사 분포 105
다. 부정적 기사의 내용분석 106
라. 부정적 기사의 범주별 내용분석 108
1) 원인 편견 108
2) 난폭하고 위험함 109
3) 엉뚱하고 특이함 109
4) 부적응 110
5) 비하적 표현 110
6) 수치와 고립 111
7) 격리 필요성 111
8) 입원에 대한 부정적 기술 111
9) 불치와 부담 112
마. 신문사별 부정적 기사의 내용 비교 112
바. 동일사건의 추가 보도 113
사. 신문기사에 사용된 법률용어 115
Ⅴ. 매뉴얼 제시 117
1. 정신장애인 편견 및 차별을 최소화 하는 텔레비전 방송 매뉴얼 118
가. 방송 언어표현에 대한 매뉴얼 118
나. 취재와 기사 / 원고 작성의 매뉴얼 120
다. 영상 미디어 편집기법 사용에 대한 매뉴얼 130
1) 영상편집의 일반 원칙 130
2) 영상 미디어 편집 기법별 매뉴얼 131
2. 정신장애인 편견 및 차별을 최소화 하는 신문기사 보도 매뉴얼 149
참고문헌 153
판권기 158
[표2-1] 부정성에 대한 방송 모니터 분석기준 24
[표2-2] 부정확성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기준 25
[표2-3] 경멸적/비하적 용어에 대한 방송 모니터 활동 분석 기준 26
[표2-4] 다양한 매체 활용 기법에 대한 방송 모니터링 활동 분석 기준 27
[표2-5]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29
[표2-6] KBS 및 MBC, SBS의 방송제작 매뉴얼 30
[표2-7] 신문윤리실천요강 37
[표3-1] 시사교양프로그램 중 모니터 분석에서 제외된 프로그램 목록과 제외 사유 43
[표3-2] 모니터 분석 대상 시사교양 프로그램 45
[표3-3] 각 방송사별 전체 뉴스 프로그램과 메인뉴스 46
[표3-4] 정신장애 및 정신장애인을 주제로 방송된 뉴스 프로그램 47
[표3-5] 모니터링 수행자 구성 51
[표3-6] 국내 5대 일간지 정신질환 관련기사 보도 현황 54
[표4-1] 관련기사 대비 부정적 기사 비율 105
[표4-2] 검색어 별, 신문사별 부정적 기사 검색비율 105
[표4-3] 부정적 기사의 내용분석 107
[표4-4] 신문사별 부정적 기사의 내용 비교 113
[표4-5] 부정적 기사의 반복 보도 행태 114
[표4-6] 신문기사의 차별적 법률용어 사용 현황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