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공기관의 차등정년 실태와 차별개선 방안 : 2011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공공기관의 차등정년 실태와 차별개선 방안 : 2011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기택, 연구책임 박선영, 연구 정가원, 연구 손향미, 연구 동제연, 연구
단체저자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기관
서명 / 저자사항
공공기관의 차등정년 실태와 차별개선 방안 : 2011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 [전기택 연구책임 ; 박선영, 정가원, 손향미 공동연구 ; 동제연 위촉연구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기관]
발행사항
서울 :   국가인권위원회,   2011  
형태사항
xxxiv, 269 p. : 도표 ; 26 cm
ISBN
9788961142601
일반주기
부록: 1. 인사규정 분석 대상기관 목록, 2. 공공기관 및 공직유관단체 정년 운영 실태조사 설문지, 3. 인사규정 분석표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29-232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11779
005 20230214144126
007 ta
008 140926s2011 ulkd b 000c korCX
020 ▼a 9788961142601 ▼g 9333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74 ▼k 11-1620000-000358-01
082 0 4 ▼a 323.3223 ▼a 658.3132 ▼2 23
085 ▼a 323.3223 ▼2 DDCK
090 ▼a 323.3223 ▼b 2011z1
245 0 0 ▼a 공공기관의 차등정년 실태와 차별개선 방안 : ▼b 2011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 ▼d [전기택 연구책임 ; ▼e 박선영, ▼e 정가원, ▼e 손향미 공동연구 ; ▼e 동제연 위촉연구 ; ▼e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기관]
260 ▼a 서울 : ▼b 국가인권위원회, ▼c 2011
300 ▼a xxxiv, 269 p. : ▼b 도표 ; ▼c 26 cm
500 ▼a 부록: 1. 인사규정 분석 대상기관 목록, 2. 공공기관 및 공직유관단체 정년 운영 실태조사 설문지, 3. 인사규정 분석표
504 ▼a 참고문헌: p. 229-232
700 1 ▼a 전기택, ▼e 연구책임
700 1 ▼a 박선영, ▼e 연구
700 1 ▼a 정가원, ▼e 연구
700 1 ▼a 손향미, ▼e 연구
700 1 ▼a 동제연, ▼e 연구
710 ▼a 한국여성정책연구원, ▼e 연구기관 ▼0 AUTH(211009)92291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3223 2011z1 등록번호 5110224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 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3
2. 연구내용 및 방법 = 6
가. 연구내용 = 7
나. 연구방법 = 8
3. 고령화와 정년제도에 대한 이론적 논의 = 13
가. 고령화 사회의 일반적 특징 = 13
나. 정년제도의 유형 및 차별 쟁점 = 25

Ⅱ. 국내외 사례 = 35
1. 국내 사례 = 37
가. 국내의 정년제도 = 37
나. 정년차별에 대한 차별구제제도 개요 = 44
다. 국가인권위원회와 법원의 정년차별사건의 유형별 사례 = 49
라. 국가인권위원회의 정년차별 판단기준에 대한 검토 = 57
2. 국외 사례 = 62
가. 영국 = 62
나. 미국 = 82
다. 일본 = 97
 
Ⅲ. 실태조사 결과 = 125
1. 공공기관 및 공직유관단체 인사규정 분석 결과 = 127
가. 자료수집 및 측정방법 = 127
나. 공공기관 등의 일반적인 현황 = 129
다. 정년유형 = 131
라. 정년연령 = 134
2. 공공기관 등 정년 운영 실태조사 분석 결과 = 143
가. 조사개요 및 응답기관의 일반현황 = 143
나. 정년제도 운영 현황 = 146
다. 차등정년제도 운영 겸험 및 단일정년제 전환 이유 = 149
라. 단일정년제도 운영 겸험 및 차등정년제 전환 이유 = 156
마. 기관설립 이후 계속 차등정년제를 운용하는 주된 이유 = 162
바. 차등정년제 운영을 위한 직무분석 및 법률적 검토 실시 여부 = 165
사. 차등정년제 운영의 어려움 = 170
아. 단일정년제로의 전환 의사 = 181
자. 비정규직 정년 실태 = 199
차. 정년 연장 계획 = 206
카. 임금 및 퇴직 후 재고용 현황 = 217

Ⅳ. 요약 및 정책제언 = 227
1. 요약 = 229
2. 정책제언 = 231
가. 직급별 차등정년제도에 대한 차별판단기준 확립 = 231
나. 직종별 차등정년제도에 대한 차별판단기준 확립 = 232
다. 직급·직종에 따른 정년차별 금지에 관한 법적 근거 마련 = 233
라. 차등정년제도의 공정성·적정성에 대한 적극적 판단  = 233
마. 차등정년제도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작성?배포  = 234

참고문헌 = 235

부록 = 239
〔부록 1〕인사규정 분석 대상기관 목록 = 241
〔부록 2〕공공기관 및 공직유관단체 정년 운영 실태조사 설문지 = 247
〔부록 3〕인사규정 분석표 = 27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