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영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기초 = 11
1. 운영관리의 개념 및 필요성 = 12
1) 운영관리의 개념 = 12
2) 운영관리의 필요성 = 13
2. 운영관리의 원리 = 14
1) 타당성의 원리 = 14
2) 민주주의의 원리 = 15
3) 효율성의 원리 = 15
4) 적응성의 원리 = 15
5) 안전성의 원리 = 16
3. 운영관리의 영역 및 과정 = 16
1) 의사결정 = 17
2) 기획 = 17
3) 조직 = 18
4) 의사소통 = 18
5) 영향 = 18
6) 조정 = 19
7) 평가 = 19
참고 문헌 = 20
제2장 영유아교육기관의 설립과정 = 21
1. 유치원 설립 = 22
1) 유치원 설립인가 절차 = 22
2) 유치원의 설림기준 = 26
2. 어린이집 설립 = 32
참고 문헌 = 42
제3장 원아모집 및 학급관리 = 43
1. 유아교육기관의 홍보 목적 및 방법 = 44
2. 유치원 원아모집 = 45
1) 입학 대상 = 45
2) 원아모집 시기 및 절차 = 46
3. 어린이집 원아모집 = 49
1) 이용대상 및 우선제공 = 49
2) 모집시기 및 절차 = 51
4. 학급편성 = 56
1) 학급편성의 기본원리 = 56
2) 학급편성의 유형 = 60
참고 문헌 = 62
제4장 누리ㆍ보육과정의 계획과 운영 = 63
1. 우리나라 영유아 교육과정 = 64
1)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 64
2) 표준보육과정 = 83
2. 유아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 = 106
1) 유아교육과정의 구성 = 106
2) 보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계획 및 운영 = 121
참고 문헌 = 134
제5장 교직원 인사관리 = 135
1. 유치원 인사관리 = 136
1) 교직원의 종별 및 자격 = 136
2) 교직원의 임용 = 137
3) 교직원의 보수체계 = 140
4) 교직원의 역할 및 자질 = 140
2. 어린이집 인사관리 = 146
1) 어린이집 종사자의 유형 및 배치기준 = 146
2) 보육교직원의 자격 = 149
3) 보육교직원의 채용 및 임면보고 = 161
4) 보육교직원의 보수체계 및 복무 = 165
5) 보육교직원의 역할 및 자질 = 169
6) 교직원 평가 양식 = 174
참고 문헌 = 176
제6장 시설ㆍ설비의 운영관리 = 177
1. 시설ㆍ설비의 계획 = 178
1) 유아교육기관의 시설ㆍ설비 특성 = 178
2) 시설ㆍ설비 계획시 고려사항 = 179
2. 시설ㆍ설비의 기준 = 183
1) 시설의 위치 및 건물의 구조 = 183
2) 유치원의 시설ㆍ설비 기준 = 185
3) 어린이집의 시설ㆍ설비 기준 = 187
3. 실내공간의 구성 = 195
1) 실내 기본시설 = 195
2) 실내 설비 = 203
4. 실외공간의 구성 = 208
1) 실외공간 구성의 특성 = 208
2) 실외공간의 설비 = 210
참고 문헌 = 216
제7장 비품 및 교재ㆍ교구 관리 = 217
1.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개념 = 218
1)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개념과 종류 = 218
2)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분류기준 = 219
3)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종류 = 232
2.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선정기준 = 244
1) 기능적 요구 = 247
2) 교육적 요구 = 247
3.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배치 및 관리 = 249
1)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배치 = 249
2)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보관 및 관리 = 251
참고 문헌 = 253
제8장 재정 및 사무관리 = 255
1. 재정관리 = 256
1) 유아교육기관의 재정관리 개념과 특징 = 256
2) 재정관리의 운영원리 = 257
3) 유치원의 재정관리 = 258
4) 어린이집의 재정관리 = 262
5) 유아교육기관의 세입ㆍ세출 관리 = 278
2. 사무관리 = 280
1) 유아교육기관 사무관리의 의의 = 280
2) 유아교육기관 사무의 내용 = 281
3) 문서의 종류와 작성 = 283
4) 사무의 합리적 관리 = 295
참고 문헌 = 298
제9장 가정연계 운영관리 = 299
1. 가정연계의 중요성 = 300
1) 가정연계를 위한 지침 = 300
2) 가정연계 활동의 원리와 의의 = 301
2. 가정연계 운영방법 = 304
1) 가정연계 참여 수준 = 304
2) 가정연계 방법 = 306
참고 문헌 = 319
제10장 유아의 영양과 건강 및 안전관리 = 321
1. 유아의 급식 및 영양관리 = 322
1) 유아기 영양의 중요성 = 322
2) 유아 급식지도 = 323
3) 유아 급식시 고려사항 = 329
2. 유아의 건강관리 = 337
1) 건강관리의 중요성 = 337
2) 건강관리의 의미와 영역 = 338
3) 건강검진 = 339
4) 질병의 예방지도 및 예방접종 = 341
3. 유아의 안전관리 = 349
1) 안전관리의 중요성 = 349
2) 안전관리의 영역 및 안전점검 = 350
3) 유아의 안전지도 = 355
참고 문헌 = 359
제11장 평가관리 = 361
1. 평가의 의의 및 필요성 = 362
2. 평가의 목적과 유형 = 364
1) 평가의 목적 = 364
2) 평가의 유형 = 365
3. 평가의 영역 = 369
1) 유아평가 = 369
2)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 371
4. 평가의 방법 = 374
1) 관찰법 = 374
2) 면접법 = 380
3) 표준화 검사 = 381
4) 포트폴리오 평가 = 384
5. 평가의 관리 = 385
1) 평가결과의 기록 = 385
2) 평가결과의 보고 = 387
3) 평가의 활용 = 388
6. 유치원 평가 = 390
7. 어린이집 평가인증제 = 392
1)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의 구성 = 392
2)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의 구성 = 393
3) 어린이집 평가인증 절차 = 395
4) 유치원 평가인증 = 398
참고 문헌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