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106n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811569 | |
005 | 20140925153555 | |
007 | ta | |
008 | 140924s2007 ulk b 000c korCX | |
020 | ▼a 9788961140157 ▼g 933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74 | ▼k 11-1620000-000015-01 | |
082 | 0 4 | ▼a 331.62 ▼2 23 |
085 | ▼a 331.62 ▼2 DDCK | |
090 | ▼a 331.62 ▼b 2007 | |
245 | 0 0 | ▼a 새터민 정책과정 실태조사 : ▼b 직업실태를 중심으로 / ▼d 김석향 연구책임 ; ▼e 박영자, ▼e 이미경, ▼e 전영선 연구 ; ▼e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수행기관 |
260 | ▼a [서울] : ▼b 국가인권위원회, ▼c 2007 | |
300 | ▼a 302 p. ; ▼c 27 cm | |
500 | ▼a 2007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 |
500 | ▼a 부록: 1.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2.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3. 「새터민 정착과정 실태조사」에 관한 법률 | |
504 | ▼a 참고문헌: p. 243-258 | |
700 | 1 | ▼a 김석향, ▼e 연구책임 ▼0 AUTH(211009)141974 |
700 | 1 | ▼a 박영자, ▼e 연구 ▼0 AUTH(211009)113848 |
700 | 1 | ▼a 이미경, ▼e 연구 |
700 | 1 | ▼a 전영선, ▼e 연구 ▼0 AUTH(211009)115541 |
710 | ▼a 이화여자대학교. ▼b 통일학연구원, ▼e 연구기관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62 2007 | 등록번호 5110224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331.62 2007 | 등록번호 5110222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62 2007 | 등록번호 5110224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331.62 2007 | 등록번호 5110222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 1 2. 기존 연구의 검토 및 활용 = 4 3. 연구의 진행 과정 = 10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0 Ⅱ. 새터민 정착지원 제도의 변화와 해외 사례 비교 1. 용어의 정리 = 32 2. 새터민 정착지원 제도의 역사적 변화 = 33 3. 2004년 이후의 새터민 정착지원 제도 변경 = 36 4. 해외 사례 비교 : 독일의 경우를 중심으로 = 44 Ⅲ. 새터민들의 취업 준비 실태 1. 새터민과 구직 = 53 2. 취업 준비 과정 = 56 3. 구직정보 획득 과정 = 63 4. 성별·이주민과의 구직 과정 비교 = 73 5. 새터민·남한 주민과의 비교 = 86 6. 인센티브제가 구직에 미치는 영향 = 89 7. 새터민 취업의 특성 및 어려움 = 90 8. 국민기초생활수급과 구직 = 104 Ⅳ. 직업 및 노동생활 실태 1. 직업 및 노동생활 유형 = 110 2. ''새터민''의 이중 지위가 직업 및 노동 생활에 미치는 영향 = 121 3. 새터민 간 남한출신 직장동료와의 관계 = 135 4. 고용주 및 정부와의 관계 = 152 5. 외국인 및 조선족 이주민과의 비교 = 171 6. 새터민 내 성별 비교 = 179 7. 새터민 취업과 가족 및 자녀문제 = 187 8. 새터민 고용지원 제도의 내용과 평과 = 199 Ⅴ. 비공식 경제활동 1. 비공식 경제활동 유입 요인 = 210 2. 비공식 경제활동 유입 경로 = 217 3. 비공식 경제활동 유형 = 223 Ⅵ. 새터민 경제활동 정책건의 1. 단기 과제 = 234 2. 중·장기 과제 = 238 참고문헌 = 243 부록 1.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 261 2.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 280 3. 「새터민 정착과정 실태조사」에 관한 법률 =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