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운동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 중ㆍ고교 학생선수의 학습권, 폭력, 성폭력 실태를 중심으로

운동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 중ㆍ고교 학생선수의 학습권, 폭력, 성폭력 실태를 중심으로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명선, 연구책임 김상범, 연구 변혜정, 연구 이성은, 연구
단체저자명
이화여자대학교. 산업협력단, 연구기관
서명 / 저자사항
운동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 중ㆍ고교 학생선수의 학습권, 폭력, 성폭력 실태를 중심으로 / [이명선 연구책임 ; 김상범, 변혜정, 이성은 공동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수행기관
발행사항
서울 :   국가인권위원회,   2008  
형태사항
xvii, 231 p. : 삽화, 도표 ; 26 cm
ISBN
9788961141031
일반주기
2008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부록: 1. 학생선수 인권관련 외국기관 사이트, 2. 학생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설문지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12-218
000 01154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810889
005 20140929144154
007 ta
008 140917s2008 ulkad b 000c korCX
020 ▼a 9788961141031 ▼g 93330
035 ▼a (KERIS)BIB000011978418
040 ▼a 242001 ▼d 242001 ▼d 211009
074 ▼k 11-1620000-000100-01
082 0 4 ▼a 323.088796 ▼2 23
085 ▼a 323.088796 ▼2 DDCK
090 ▼a 323.088796 ▼b 2008
245 0 0 ▼a 운동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 ▼b 중ㆍ고교 학생선수의 학습권, 폭력, 성폭력 실태를 중심으로 / ▼d [이명선 연구책임 ; ▼e 김상범, ▼e 변혜정, ▼e 이성은 공동연구 ; ▼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수행기관
260 ▼a 서울 : ▼b 국가인권위원회, ▼c 2008
300 ▼a xvii, 231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0 ▼a 2008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500 ▼a 부록: 1. 학생선수 인권관련 외국기관 사이트, 2. 학생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설문지
504 ▼a 참고문헌: p. 212-218
700 1 ▼a 이명선, ▼e 연구책임
700 1 ▼a 김상범, ▼e 연구
700 1 ▼a 변혜정, ▼e 연구
700 1 ▼a 이성은, ▼e 연구
710 ▼a 이화여자대학교. ▼b 산업협력단, ▼e 연구기관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088796 2008 등록번호 5110224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연구요약 = ⅲ
Ⅰ. 서론 = 3
  1. 연구배경 및 목적 = 3
  2. 연구내용 및 범위 = 5
  3. 연구방법 및 절차 = 7
  4. 연구의의 및 한계 = 14
Ⅱ. 이론적 배경 및 주요 개념 = 19
  1. 이론적 배경 = 19
    1) 국가주도 엘리트 체육과 학생선수 인권 침해 = 19
    2) 스포츠계의 폭력 허용과 남성적 문화 = 21
    3) 폭력과 성폭력의 중층 구조: 불평등한 권력관계와 폭력의 연속선 = 23
  2. 분석 관점 및 주요 개념 = 26
    1) 분석 관점 = 26
    2) 주요 개념 = 27
Ⅲ. 학생선수 인권 실태조사 결과 = 31
  1. 설문조사 결과: 인권 침해 실태와 인식을 중심으로 = 31
    1) 응답자 특성 = 31
    2) 학생선수 인권 실태 및 대처 = 32
      가. 학습권 실태 및 대처 = 32
      나. 폭력 실태 및 대처 = 37
      다. 성폭력 실태 및 대처 = 52
    3) 학생선수의 폭력, 성폭력 인식 = 81
      가. 체벌로서 폭력의 수용성 = 81
      나. 성폭력에 대한 인식 = 89
      다. 성역할 의식 = 96
    4) 운동부 경험과 운동선수로서의 미래 = 98
    5) 소결 = 104
  2. 면접조사 결과: 인권 침해 발생 구조를 중심으로 = 109
    1) 응답자 특성 = 109
    2) 학습권 침해와 대안 부재 = 111
      가. "학생"이 아닌 "운동선수"로 규정되는 존재 = 111
      나. 폭력과 성폭력 발생의 물리적 토대로써 학습권 침해 = 116
    3) 폭력의 일상화와 위계 구조의 재생산 = 118
      가. 지도자의 일상적 폭력과 폭력의 묵인 = 119
      나. 학습된/허용된 선배의 폭력과 위계 구조의 재생산 = 127
    4) 폭력과 성폭력의 중층 구조 = 136
      가. 훈련이나 체벌과 혼동되는 성희롱 = 137
      나. 폭력을 수반하는 동성 간 성추행 = 140
      다. 성폭력에 대한 대응 양식 = 141
    5) 소결 = 143
Ⅳ. 학생선수 인권정책 관련 외국사례 연구 = 147
  1. 미국 = 147
    1) NCAA의 사례 = 147
    2) NFHS의 사례 = 152
    3) IMG 아카데미의 사례 = 154
  2. 호주 = 155
  3. 스코틀랜드 = 164
  4. 소결 = 167
V. 정책제언: "학생선수 인권종합대책" = 173
  1. 학생선수 인권정책 동향과 그 평가 = 174
    1) 학생선수 인권정책 최근 동향 = 174
    2) 현행 인권정책 평가 = 178
      가. 정책관점의 혼재: 엘리트 체육 vs. 인권정책 = 178
      나. 엘리트 체육 개선안의 문제 = 179
      다. 폭력ㆍ성폭력 예방 및 피해자 지원 정책 미흡 = 180
      라. 성 인지적 체육정책 도입 필요 = 182
  2. 인권 관점에 입각한 "학생선수 인권종합대책" 필요 = 183
    1) 인권정책으로 패러다임 전환 = 183
    2) "학생선수 인권종합대책"과 주요과제 = 185
      가. 인권 향상(학습권 등)을 위한 제도 개선 = 185
      나. 인권 침해(폭력ㆍ성폭력) 예방 및 인식 개선 = 188
      다. 인권 침해(폭력ㆍ성폭력) 피해자 지원 및 보호 = 198
  3. 소결 = 201
Ⅵ. 결론 = 205
[참고문헌] = 212
[부록1] 학생선수 인권관련 외국기관 사이트 = 219
[부록2] 학생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설문지 = 22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