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가장 쉬운) 네트워크 가상화 입문 책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渡邊和彦, 저 法橋和昌, 저 澤村利樹, 저 池上龍之, 저 신은화, 역
Title Statement
(가장 쉬운) 네트워크 가상화 입문 책 / 와타나베 카즈히코 [외]지음 ; 신은화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BJ Public,   2014  
Physical Medium
xiii, 217 p. : 삽화 ; 24 cm
Series Statement
가장 쉬운책 시리즈 ;004
Varied Title
ネットワ-ク假想化 : 基礎からすっきりわかる入門書
ISBN
9788994774749
General Note
색인수록  
공저자: 노리하시 카즈마사(法橋和昌), 사와무라 토시키(澤村利樹), 이케가미 타츠유키(池上龍之)  
000 01499camcc2200457 c 4500
001 000045810835
005 20140917104800
007 ta
008 140818s2014 ulka 001c kor
020 ▼a 9788994774749 ▼g 93000
035 ▼a (KERIS)BIB000013557770
040 ▼a 247006 ▼c 247006 ▼d 247006 ▼d 247006 ▼d 247006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004.6 ▼2 23
085 ▼a 004.6 ▼2 DDCK
090 ▼a 004.6 ▼b 2014
245 2 0 ▼a (가장 쉬운) 네트워크 가상화 입문 책 / ▼d 와타나베 카즈히코 [외]지음 ; ▼e 신은화 옮김
246 1 9 ▼a ネットワ-ク假想化 : ▼b 基礎からすっきりわかる入門書
246 3 ▼a Nettowaku kasoka : ▼b kiso kara sukkiri wakaru nyumonsho
260 ▼a 서울 : ▼b BJ Public, ▼c 2014
300 ▼a xiii, 217 p. : ▼b 삽화 ; ▼c 24 cm
440 ▼a 가장 쉬운책 시리즈 ; ▼v 004
500 ▼a 색인수록
500 ▼a 공저자: 노리하시 카즈마사(法橋和昌), 사와무라 토시키(澤村利樹), 이케가미 타츠유키(池上龍之)
700 1 ▼a 渡邊和彦, ▼e
700 1 ▼a 法橋和昌, ▼e
700 1 ▼a 澤村利樹, ▼e
700 1 ▼a 池上龍之, ▼e
700 1 ▼a 신은화, ▼e
900 1 0 ▼a 와타나베 카즈히코, ▼e
900 1 0 ▼a 노리하시 카즈마사, ▼e
900 1 0 ▼a 사와무라 토시키, ▼e
900 1 0 ▼a 이케가미 타츠유키, ▼e
900 1 0 ▼a Watanabe, Kazuhiko, ▼e
900 1 0 ▼a Norihashi, Kazumasa, ▼e
900 1 0 ▼a Sawamura, Toshiki, ▼e
900 1 0 ▼a Ikegami, Tatsuyuki, ▼e
900 1 0 ▼a 澤村利樹, ▼e
900 1 0 ▼a 池上龍之,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4.6 2014 Accession No. 1212307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네트워크 가상화로, 가상화 및 클라우드의 전반에서부터 가상 네트워크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신뢰성 대책 및 보안 대책 등), 가상 네트워크의 활용, TRILL, FCoE, SDN/OpenFlow 등 최신 기술까지 폭넓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각 장이 구성되어 있어 처음부터 시작하지 않고 관심이 있는 부분부터 읽을 수 있다.

네트워크 가상화를 기초부터 확실히 알 수 있는 입문서

이 책의 주요 주제는 네트워크 가상화로, 가상화 및 클라우드의 전반에서부터 가상 네트워크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신뢰성 대책 및 보안 대책 등), 가상 네트워크의 활용, TRILL, FCoE, SDN/OpenFlow 등 최신 기술까지 폭넓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각 장이 구성되어 있어 처음부터 시작하지 않고 관심이 있는 부분부터 읽을 수 있다.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서버에서부터 네트워크까지, 가상화 전반에 대한 지식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네트워크 설계.구축 시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최신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정보

이 책을 누가 읽어야 하나?

--서버에서부터 네트워크까지 가상화 전반에 관한 지식을 얻고자 하는 자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에 관한 지식을 얻고자 하는 자
--네트워크 설계.구축 시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참고하고자 하는 자
--네트워크 최신 기술에 관한 지식을 얻고자 하는 자

독자 대상 초급

이 책의 구성

1장: 가상화란?

1.1 "IT에서의 가상화"에서는 가상화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가상화 기술 대상 자원인 서버, 데스크톱, 스토리지, 네트워크의 내용과 예를 설명한다. 또한 가상화의 이점과 고려할 점에 대해 다룬다.

1.2 "클라우드 컴퓨팅과 가상화"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이용 형태,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장점과 고려해야 할 점(리스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2장: 서버·데스크톱·스토리지 가상화

2.1 "서버 가상화"에서는 서버에 적용되는 가상화 기술인 분할?통합 기술과 주요한 가상화 제품 개요를 설명한다.

2.2 "데스크톱 가상화"에서는 데스크톱 가상화의 개요와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2.3 "스토리지 가상화"에서는 스토리지(기억장치)에 적용되는 가상화 기술인 분할?통합 기술과 스토리지 가상화를 더욱 진화시킨 씬 프로비져닝 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3장: 네트워크 가상화

3.1 "네트워크 장비 가상화"에서는 가상화 적용 장비의 등장에 대해 설명하고, 네트워크 장비 분할?통합 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3.2 "네트워크 접속 가상화"에서는 네트워크 접속 가상화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가상머신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명한다.

3.3 "통신회선 가상화"에서는 거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전용선 서비스, VPN형 통신 서비스)에 대해 알아본다.

3.4 "OpenFlow의 개요"에서는 네트워크 가상화를 실현시키는 새로운 기술인 OpenFlow에 대하여 소개한다.


4장: 가상 네트워크 설계상 고려할 점

4.1 "가상 네트워크 신뢰성 보장에 대한 개요"에서는 신뢰성 보장에 대해 알아보고, 가상화되지 않은 일반 네트워크와 같이 가상 네트워크에서도 신뢰성 보장을 위한 대책을 수립한다.

4.2 "가상 LAN신뢰성 보장"에서는 일반적인 LAN과 가상 LAN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장애대책을 설명한 뒤, 가상 LAN에 특화된 대책에 대하여 소개한다.

4.3 "가상 WAN신뢰성 보장"에서는 일반 네트워크와 동일하게 신뢰성 보장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한다.

4.4 "가상 네트워크의 보안대책"에서는 개인정보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기업 네트워크에서 보안대책은 어떻게 수립할 것인지 알아본다.

4.5 "가상 네트워크 관리"에서는 기업에서 네트워크를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4.6 "가상 네트워크 성능 설계 Ⅰ"에서는 네트워크의 성능을 유지?향상시키기 위해 링크를 추가하여 대역폭을 늘리고 부하분산 장치를 사용하여 트래픽 부하를 분산하는 등 물리적 대응에 대해 설명한다.

4.7 "가상 네트워크 성능 설계 Ⅱ"에서는 논리적인 대응으로 대역폭 제어와 우선순위 제어와 같은 QoS 기능을 통해 어떻게 네트워크 성능을 설계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5장: 가상 네트워크의 이용

5.1 "가상화를 이용한 서버 통합"에서는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한 물리서버상에 여러 서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합 시스템으로 운영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5.2 "데이터센터 가상화"에서는 여러 데이터센터를 마치 한 데이터센터처럼 구성하기 위한 기술인 DCI와, 데이터센터 간에 서비스를 분산시키는 기술인 광역 부하분산에 대해 소개한다.

5.3 "퍼블릭 클라우드"에서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보유한 여러 서버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며 이용하는 형태인 퍼블릭 클라우드에 대해 설명한다.


6장: 진화하는 가상 네트워크 OpenFlow

6.1 "OpenFlow의 기본 구조와 도입 방식"에서는 OpenFlow 기술이 만들어진 배경과 그 기본 구조 및 도입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6.2 "OpenFlow의 동작 개요"에서는 OpenFlow에서 실제로 어떻게 패킷이 전달되는지, OpenFlow의 기본 동작, OpenFlow에서 사용하는 플로우 테이블, 그리고 OpenFlow 프로토콜 패킷 헤더의 각 필드에 대해 설명한다.

6.3 "OpenFlow 도입을 위한 검토"에서는 OpenFlow 도입을 위해 꼭 검토해야 할 유의점과 SDN에 대한 각 벤더사의 현 상황에 대해 소개한다.


7장: 그 외의 가상 네트워크 기술

7.1 "TRILL"에서는 TRILL에 대하여, STP와의 다른 점과 동작 개요 등을 설명한다.

4.2 "FCoE"에서는 현재 보급되고 있는 FCoE에 대한 설명과 Ethernet 관련 주요 기술을 소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와타나베 카즈히코(지은이)

1970년대에 일본IBM㈜ 입사. 시스템 엔지니어(SE)와 IT 아키텍터로 근무하며 주로 네트워크 설계·구축과 차세대 프로젝트를 담당. 최신 기술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 네트워크의 분석·설계와 관련된 여러 컨설팅을 수행하는 등 폭넓게 활동하였다.

노리하시 카즈마사(지은이)

1987년에 일본IBM㈜ 입사. 금융기관 네트워크를 담당하는 SE로서 대규모 네트워크를 다룸. 그 후 본사부문 SE로 근무하며 여러 산업의 대규모 프로젝트와 차세대 프로젝트 등, 네트워크 관련 기술 지원을 담당. 현재는 ITS 딜리버리로서 네트워크 전반에 관한 컨설팅 및 네트워크 설계·구축 프로젝트에 관여하고 있다.

사와무라 토시키(지은이)

1989년에 일본IBM㈜ 입사. 현재는 일본IBM 시스템즈·엔지니어링㈜에서 근무. 입사 후 본사부문 SE로 근무하며 여러 산업의 고객사 네트워크에 관련된 기술 지원을 담당. 2000년 이후에는 여러 프로젝트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설계·구축을 담당하였으며, 현재는 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에서 활동하는 한편,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기술영업으로서 솔루션 개발 및 영업도 담당하고 있다.

이케가미 타츠유키(지은이)

2000년에 네트워크 기술자로서 IT업계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하여 2006년에 일본IBM 시스템즈·엔지니어링㈜에 입사. 대형 증권사, 지역 은행 등 주로 금융기관 네트워크 통합 프로젝트에 SE로 활동한 후, 현장 스위치 담당자와 고객사에 대한 기술지원을 수행. 최근에는 SDN을 시작으로 최신 기술 및 서버 인프라를 포함한 가상화 기술과 관련된 각종 기술 문서를 발행하고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신은화(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컴퓨터학을 전공했으며 일본 미에대학교에서 교환학생으로 정보공학을 공부했다. LG CNS에서 13년째 근무하며 개발, 기획, 사업 개발 등 다양한 업무를 거쳐 현재는 클라우드 빌링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가장 쉬운 네트워크 가상화 입문 책』 『인프라 디자인 패턴』『완벽한 IT 인프라 구축을 위한 Docker』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ⅴ
저자 소개 = ⅵ
역자 소개 = ⅶ
역자의 글 = ⅷ
1장. 가상화란? = 1
 1.1 IT에서의 가상화 = 2
  1. 가상화의 개요 = 2
  2. 가상화 대상 = 5
  3. 가상화의 특징 = 6
 1.2 클라우드 컴퓨팅과 가상화 = 8
  1.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8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종류 = 14
2장. 서버ㆍ데스크톱ㆍ스토리지 가상화 = 21
 2.1 서버 가상화 = 22
  1. 서버 분할 기술 = 22
  2. 서버 통합 기술 = 26
  3. 주요 가상화 제품 = 30
 2.2 데스크톱 가상화 = 37
  1. 데스크톱 가상화의 개요 = 37
  2. 데스크톱 가상화 방식 = 39
  3.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 43
 2.3 스토리지 가상화 = 45
  1. 스토리지 분할 기술 = 45
  2. 스토리지 통합 기술 = 47
3장. 네트워크 가상화 = 53
 3.1 네트워크 장비 가상화 = 54
  1. 가상화 적용 장비의 등장 = 54
  2. 네트워크 장비 분할 기술 = 55
  3. 네트워크 장비 통합 기술 = 61
 3.2 네트워크 접속 가상화 = 65
  1. 네트워크 접속 가상화의 개요 = 65
  2. 가상머신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 67
 3.3 통신회선 가상화 = 69
  1. 전용선 서비스에서 VPN형 통신 서비스로 = 69
  2. VPN형 통신 서비스의 특징 = 70
 3.4 OpenFlow의 개요 = 72
  1. OpenFlow란? = 72
  2. OpenFlow와 클라우드 = 73
4장. 가상 네트워크 설계상 고려할 점 = 75
 4.1 가상 네트워크 신뢰성 보장에 대한 개요 = 76
  1. 신뢰성 보장이란? = 76
  2. 장애대책 = 77
  3. 재해대책 = 82
 4.2 가상 LAN 신뢰성 보장 = 85
  1. LAN 장애대책 = 85
  2. 가상 LAN 장애대책 = 88
 4.3 가상 WAN 신뢰성 보장 = 91
  1. WAN 장애대책 = 91
  2. 새로운 장애대책으로의 접근 = 95
 4.4 가상 네트워크의 보안대책 = 97
  1. 네트워크 분할과 접근 제어 = 97
  2. 각종 보안대책 = 99
  3.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의 보안대책 = 106
 4.5 가상 네트워크 관리 = 110
  1. 네트워크 관리와 관리 시스템 = 110
  2. 가상환경의 네트워크 관리 = 114
 4.6 가상 네트워크 성능 설계 Ⅰ = 118
  1. 네트워크 성능 관리 = 118
  2. 네트워크 성능 설계 = 121
 4.7 가상 네트워크 성능 설계 Ⅱ = 128
  1. QoS 기능 = 128
  2. 가상환경의 성능 설계 = 130
5장. 가상 네트워크의 이용 = 135
 5.1 가상화를 이용한 서버 통합 = 136
  1. 서버 통합 구성 = 136
  2. 서버 통합의 신뢰성 = 137
  2. 서버 통합 시 고려해야 할 보안 = 140
  3. 서버 통합 시 운영관리 = 142
 5.2 데이터센터 가상화 = 144
  1. 데이터센터 가상화의 개요 = 144
  2. DCI = 151
  3. 광역 부하분산 = 153
 5.3 퍼블릭 클라우드 = 159
  1. 퍼블릭 클라우드의 이용 목적ㆍ서비스 레벨 = 159
  2. 퍼블릭 클라우드의 시스템 구성 = 161
  3. 퍼블릭 클라우드의 신뢰성 = 163
  4. 퍼블릭 클라우드의 보안대책 = 164
6장. 진화하는 가상 네트워크 OpenFlow = 169
 6.1 OpenFlow의 기본 구조와 도입 방식 = 170
  1. OpenFlow가 탄생한 배경 = 170
  2. OpenFlow의 기본 구조 = 172
  3. OpenFlow의 도입 방식 = 173
 6.2 OpenFlow의 동작 개요 = 176
  1. OpenFlow 기본 동작 = 176
  2. 플로우 엔트리의 필드 = 181
 6.3 OpenFlow 도입을 위한 검토 = 186
  1. 컨트롤 플레인에 대한 유의점 = 186
  2. 현재까지의 표준화 상태에 대한 유의점 = 187
  3. 각 벤더사의 SDN 기술 대응현황 = 189
7장. 그 외의 가상 네트워크 기술 = 193
 7.1 TRILL = 194
  1. TRILL과 STP = 194
  2. TRILL의 특징 = 196
  3. TRILL의 동작 개요 = 197
 7.2 FCoE = 201
  1. FCoE의 등장 = 201
  2. DCB를 구성하는 기술요소 = 204
  3. Fibre Channel 프로토콜을 전송하는 기술요소 = 207
찾아보기 = 21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Jones, Don (2023)
Barabási, Albert-László (2023)
Pasek, Ann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