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서론: 기업과 인권에 관한 보고서 개요 1
I. 보고서 연구의 의의 1
1. 기업과 인권이란? 1
2. 기업의 인권경영이 중요시되는 이유 1
II. 기업과 인권에 관한 보고서 연구의 배경 2
1. 국가인권위원회의 활동 2
2. 기업과 인권에 관한 보고서 사업의 추진과정 3
III. 보고서의 서술 내용 및 기본개념 4
1. 보고서상의 기본개념 및 용어 4
2. 보고서의 구성 6
제2부 기업과 인권 관련 국제 동향 7
I. 서론 7
II. 기업과 인권에 관한 논의의 역사적 전개 7
1. 인권개념의 탄생과 발전 7
2. 기업과 인권에 대한 역사적 배경 9
III. 기업과 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법과 정책 동향 13
1 국제기구의 움직임 13
2 국제민간기구의 움직임 16
3. 국제자본의 움직임 20
4. 외국 정부의 정책 방향 22
4-1. 덴마크 23
4-2. 독일 27
4-3. 영국 30
4-4. 스웨덴 33
4-5. 프랑스 35
4-6. 기타 나라 38
IV. 기업과 인권에 관한 기업의 책임과 활동에 대한 국제적 논의 39
1. 기업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나? 39
2. 업종별 접근법과 대표적 기업 사례 42
2-1. 금융투자 42
2-2. 제약, 화장품, 바이오테크 45
2-3. 의류, 스포츠용품, 식품, 유통 49
2-4. 정보통신기술 53
2-5. 채굴, 에너지 56
V. 인권 피해자를 위한 구제책 61
1. 구제책의 유형과 특징 61
2. NCP 65
2-1. NCP 운영현황 65
2-2. NCP 주요 활동과 평가 68
2-3. NCP의 향후 과제 70
3. 국가인권기구 72
3-1. 국가인권기구 국제조정위원회 73
3-2. 아태지역 국가인권기구 포럼 75
3-3. 국가인권기구와 기업과 인권에 대한 조사 75
제3부 기업의 인권경영을 위한 국가의 역할과 공공부문의 인권 정책 79
Ⅰ. 기업의 인권경영을 위한 국가의 역할 79
1. 다국적기업에서의 인권침해 예방 및 구제를 위한 NCP 설치 및 운영 79
2. 공공기관에서의 평가 지표 80
Ⅱ. 인권경영 구축을 위한 국가기관의 정책 분석 82
1 국민권익위원회 84
2 여성가족부 86
3 고용노동부 87
4 법무부 88
5 보건복지부 90
6. 소결 91
Ⅲ. 공공부문의 인권 경영 현황 92
1. 공공기관의 고용 중심 인권 경영 92
2. 공기업의 지속가능을 위한 인권 경영 92
Ⅳ. 소결론 106
제4부 한국 기업의 인권경영 현황 109
I. 서론 109
II.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통해서 본 한국기업의 인권경영현황 109
1. 개요 109
2. 평가 대상 및 방법 110
3. 기업 통합 평가 118
4. 소결론 127
III. 주요 기업의 인권경영 사례 130
1. 조사범위와 방법 130
2. Posco 132
3. 삼성SDI 139
4. 기아자동차 142
5. 하이닉스 반도체 145
6. 소결론 148
IV. 주요 경제단체의 인권경영 지원활동 152
1. 개요 152
2. 전국경제인연합회 153
3. 대한상공회의소 157
4. 한국경영자총협회 160
5. 소결론 167
Ⅴ. 소결론 : 한국기업의 인권경영현황 168
제5부 정책 제언 171
Ⅰ. 인권경영의 실천과 그 방향성 그리고 정책적 제안 171
1. 인권경영 책임의 수행에 관여하는 네 주체 171
2. 인권보호 의무의 주체인 정부 172
2-1. 정책방향 172
2-2. 구체적 정책제언 173
2-3. 국가의 인권보호의무와 기업과 인권의 중·장기적 과제 185
3. 인권경영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의 활동 187
4. 인권존중 책임의 주체인 기업 193
4-1. 기업 경영의 주요 목표의 하나로서의 인권경영 194
4-2. 보편적 인권경영 실천 194
4-3. 목표의 실천과 점검 및 구제: 비사법적 제도로 고충처리제도 활용 195
4-4. 인권 구제 정책의 확대 197
4-5. 인권 침해에 대한 구제책의 다양화 198
4. 인권경영의 견인자로서의 시민사회 198
4-1. 인권경영 협의체 구축 198
4-2. 인권경영 협력 네트워크 구축과 각종 국가기구와의 연계 강화 199
Ⅱ. 결론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