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심리학 3판 (17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명희, 저 강소연, 저 김은경, 저 김정민, 저 노원경, 저 서은희, 저 송수지, 저 원영실, 저 임호용, 저
서명 / 저자사항
교육심리학 = Educational psychology / 신명희 [외]공저
판사항
3판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4  
형태사항
461 p. : 삽화, 도표 ; 27 cm
ISBN
9788999701580
일반주기
공저자: 강소연, 김은경, 김정민, 노원경, 서은희, 송수지, 원영실, 임호용  
서지주기
참고문헌(p. 435-454)과 색인수록
000 01004camcc2200349 c 4500
001 000045810197
005 20140911113456
007 ta
008 140507s2014 ulkad b 001c kor
020 ▼a 9788999701580 ▼g 93370
035 ▼a (KERIS)BIB000013426933
040 ▼a 243001 ▼c 243001 ▼d 243001 ▼d 243001 ▼d 211009
082 0 4 ▼a 370.15 ▼2 23
085 ▼a 370.15 ▼2 DDCK
090 ▼a 370.15 ▼b 2014
245 0 0 ▼a 교육심리학 = ▼x Educational psychology / ▼d 신명희 [외]공저
250 ▼a 3판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300 ▼a 461 p. : ▼b 삽화, 도표 ; ▼c 27 cm
500 ▼a 공저자: 강소연, 김은경, 김정민, 노원경, 서은희, 송수지, 원영실, 임호용
504 ▼a 참고문헌(p. 435-454)과 색인수록
700 1 ▼a 신명희, ▼e▼0 AUTH(211009)130714
700 1 ▼a 강소연, ▼e▼0 AUTH(211009)29294
700 1 ▼a 김은경, ▼e▼0 AUTH(211009)135555
700 1 ▼a 김정민, ▼e▼0 AUTH(211009)88148
700 1 ▼a 노원경, ▼e▼0 AUTH(211009)38800
700 1 ▼a 서은희, ▼e▼0 AUTH(211009)38710
700 1 ▼a 송수지, ▼e▼0 AUTH(211009)46675
700 1 ▼a 원영실, ▼e▼0 AUTH(211009)88147
700 1 ▼a 임호용, ▼e▼0 AUTH(211009)59829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4 등록번호 11172336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9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4 등록번호 11173342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4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4 등록번호 1117334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0.15 2014 등록번호 1513301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4 등록번호 11172336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9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4 등록번호 11173342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4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4 등록번호 1117334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0.15 2014 등록번호 1513301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신명희(지은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과(학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학과(석사)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심리학 전공(Ph.D.) 현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퇴임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3판 머리말 = 3
제1장 교육심리학의 기초 = 13
 1.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 = 14
  1) 전공에 관한 지식 = 14
  2) 교육에 관한 지식 = 15
  3) 학습자에 대한 헌신적 소명감 = 15
 2. 교육심리학의 성격 = 16
  1) 교육심리학의 정체성과 정의 = 16
  2) 교육심리학의 역할 = 18
  3) 교육심리학의 영역 = 20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 23
  1) 기술연구 = 23
  2) 상관연구 = 24
  3) 실험연구 = 26
제1부 학습자의 이해
 제2장 인지발달 = 31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32
   1) Piaget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 32
   2) Piaget 이론의 인지발달단계 = 35
   3) Piaget 이론의 비판점 = 44
   4) Piaget 이론의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 = 46
  2.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 47
   1) Vygotsky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 47
   2) Vygotsky 이론의 비판점 = 52
   3) Vygotsky 이론의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 = 53
  3. Piaget와 Vygotsky의 공통점과 차이점 = 54
   1) 아동과 발달에 대한 이해 = 54
   2) 인지발달과 학습 = 55
   3) 인지발달과 언어 = 55
 제3장 성격 및 사회성 발달 = 57
  1. 성격발달 = 58
   1)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59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64
  2. 사회성 발달 = 74
   1)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이론 = 74
   2)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76
   3) Selman의 사회적 조망수용이론 = 80
 제4장 도덕성 발달 = 87
  1.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 89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 90
   1) 도덕적 딜레마를 통해 본 도덕성 발달단계 = 92
   2) 교실에서의 시사점 = 96
   3) Kohlberg 이론에 대한 비판 = 98
  3. Gilligan의 배려의 윤리 = 100
 제5장 지능 = 107
  1. 지능의 의미 = 108
  2. 지능이론 = 111
   1) 일반요인이론 = 111
   2) 다요인이론 = 112
   3) 다중지능이론 = 114
  3. 지능의 측정 및 검사점수의 의미 = 121
  4. 지능이론의 수업 적용 = 125
   1)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수업 적용 = 125
   2) Sternberg의 '지능의 삼원론' 수업 적용 = 127
 제6장 창의성 = 129
  1. 창의성의 개념 = 130
  2.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접근 = 132
   1) 창의적 인물 = 132
   2) 창의적 사고과정 = 134
   3)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 = 136
   4) 창의성의 통합적 접근 = 138
  3. 창의성과 교육 = 139
   1) 가정에서의 창의성 개발 = 140
   2) 학교에서의 창의성 개발 = 141
  4. 창의적 검사 = 143
  5. 창의적 사고기법 = 144
   1) 포스트잇을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 145
   2) 강제연결법 = 146
   3) SCAMPER = 147
   4) 여섯 색깔 모자 사고기법 = 147
 제7장 특수학습자 = 151
  1. 영재교육 = 152
   1) 영재의 의미 = 152
   2) 영재의 유형 = 156
   3) 영재의 판별 = 159
   4) 영재를 위한 교육 = 163
  2. 특수교육 = 164
   1) 지적장애 = 165
   2) 학습장애 = 168
   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170
   4) 정서ㆍ행동장애 = 172
   5) 통합교육 = 174
 제8장 학습자의 다양성 = 177
  1. 학습유형 = 178
   1) Dunn과 Dunn의 학습유형 = 178
   2) 장독립형과 장의존형 = 181
   3) 숙고형과 충동형 = 183
   4) Kolb의 학습유형 = 184
  2. 성차 = 187
   1) 남녀 성차 = 187
   2) 성역할 발달 이론 = 188
   3) 성역할 고정관념 = 189
   4) 성역할 고정관념 피하기 = 191
  3. 다문화 = 191
   1) 다문화 교육의 의미 = 191
   2) 다문화 가정 = 194
   3) 교실에서의 적용 = 196
제2부 교수ㆍ학습의 이해
 제9장 행동주의 학습이론 = 201
  1. 고전적 조건형성 = 203
   1) 주요 개념 = 203
   2) 교육적 시사점 = 208
  2. 조작적 조건형성 = 210
   1) 주요 개념 = 210
   2) 교육적 시사점 = 220
  3. 사회인지 학습이론 = 222
   1) 주요 개념 = 222
   2) 자기조절 = 230
   3) 교육적 시사점 = 232
 제10장 인지주의 학습이론 = 237
  1. Tolman의 잠재학습 = 239
  2. 통찰학습 = 241
  3. 정보처리이론 = 243
   1) 기억 저장소 = 244
   2) 기억과정 = 247
   3) 망각 = 249
   4) 초인지 = 251
  4. 학습전략 = 252
   1) 묶기전략 = 253
   2) 심상 전략 = 253
   3) 정교화 전략 = 254
   4) 조직화 전략 = 255
   5) 맥락을 이용한 인출전략 = 256
   6) 인출연습 전략 = 257
  5. 학습의 전이 = 258
  6.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259
 제11장 동기화 = 263
  1. 동기화의 개념 및 역할 = 265
   1) 동기와 동기화 = 265
   2) 동기화의 역할 = 266
   3) 내재동기와 외재동기 = 267
  2. 동기화이론 = 269
   1) 행동주의의 강화이론 = 270
   2) Maslow의 욕구위계 = 271
   3) 자기결정성 이론 = 274
   4) 목표지향성 이론 = 276
   5) 귀인이론 = 280
 제12장 교수ㆍ학습 이론 및 교수방법 = 287
  1. 교수ㆍ학습과정 = 288
   1) 계획단계 = 289
   2) 실행단계 = 296
   3) 평가단계 = 297
  2. 교수ㆍ학습이론 = 298
   1) Bruner의 발견학습 = 298
   2) Ausubel의 유의미학습 = 302
   3) Gagné의 학습조건 = 304
  3. 교수방법 = 311
   1) 강의법 = 311
   2) 토의법 = 313
   3) 협동학습 = 314
   4) 문제중심학습 = 318
제3부 교수자의 이해
 제13장 교사의 자질 = 325
  1. 유능한 교사의 행동 특성 = 326
   1) 수업의 명료성 = 327
   2) 수업방법의 다양성 = 329
   3) 교사의 수업활동 전념 = 330
   4) 학습과정에 있어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 = 331
   5) 학생의 학습 성공률 = 332
  2. 교사 전문성 = 333
  3. 교사효능감 = 336
  4. 교사의 기대 = 340
   1) 교사의 기대 효과: 자기충족적 예언과 기대유지 효과 = 340
   2) 교사 기대의 부정적 효과 피하기와 칭찬 = 343
 제14장 학급운영, 생활지도 및 상담 = 349
  1. 학급운영 = 350
   1) 학급운영의 계획과 실행 = 351
   2) 성공적인 학급운영의 기술 = 354
   3) 학급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356
  2. 생활지도 = 363
   1) 생활지도의 원리 = 363
   2)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 364
  3. 상담 = 366
   1) 정신분석 상담이론 = 367
   2) 행동주의 상담이론 = 371
   3) 합리적 정서행동 상담이론 = 375
   4) 인간중심 상담이론 = 379
제4부 평가
 제15장 교육평가 = 385
  1. 평가의 의미 및 목적 = 386
  2. 평가의 관점 및 유형 = 389
   1) 평가의 관점 = 389
   2) 평가의 유형 = 390
  3. 좋은 측정도구 및 검사도구의 조건 = 392
   1) 신뢰도 = 393
   2) 타당도 = 396
   3) 실용도 = 398
  4. 시험 문항의 유형 = 398
   1) 선택형 문항 = 398
   2) 완성형과 단답형 문항 = 401
   3) 논술형 문항 = 402
  5. 학업성취도 평가의 설계, 제작, 채점 및 피드백 = 403
   1) 학업성취도 평가의 설계 = 403
   2) 학업성취도 평가도구의 제작 = 404
   3) 학업성취도 평가 채점 및 피드백 = 406
  6. 수행평가 = 407
   1) 수행평가의 의미 = 407
   2) 수행평가의 설계와 채점 = 408
   3) 수행평가의 유형 = 411
 제16장 표준화 검사 = 415
  1. 표준화 검사의 이해 = 416
   1) 표준화 검사의 의미 = 416
   2) 표준화 검사의 해석 = 418
  2. 표준화 검사의 유형 = 420
   1) 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표준화 검사유형 = 420
   2) 검사 영역에 따른 표준화 검사유형 = 421
  3. 대표적인 표준화 검사 = 422
   1) 지능검사 = 422
   2) 적성검사 = 424
   3) 성취도 검사 = 426
   4) 성격검사 = 428
   5) 흥미검사 = 430
   6) 태도검사 = 430
   7) 진단검사 = 431
참고문헌 = 435
찾아보기 = 455

관련분야 신착자료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Freire, Paulo (2022)
Illich, Ivan D.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