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93c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807613 | |
005 | 20140826133559 | |
007 | ta | |
008 | 140723s2014 ulkd b 000c kor | |
020 | ▼a 9788968171369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3526901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495.7/80071 ▼2 23 |
085 | ▼a 497.80071 ▼2 DDCK | |
090 | ▼a 497.80071 ▼b 2014z2 | |
100 | 1 | ▼a 박해연 ▼0 AUTH(211009)69491 |
245 | 1 0 | ▼a 한국어 말하기 교수ㆍ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연구 : ▼b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 ▼d 박해연 |
246 | 1 1 | ▼a (A) study on the verbal interaction strategy in Korean speaking teaching and learning : ▼b focusing on Chinese KFL learners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4 | |
300 | ▼a xiii, 234 p. : ▼b 도표 ; ▼c 23 cm | |
500 | ▼a 부록: 1. 수업 담화 자료 예시, 2. 학습자 과제 활동 자료 예시, 3. 학습자 설문지(수업 전) 외 | |
504 | ▼a 참고문헌: p. 202-211 | |
900 | 1 0 | ▼a Piao, Haiyan,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0071 2014z2 | 등록번호 1117227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차례 = ⅸ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 2. 선행 연구 검토 = 8 2.1. 외국어 교수ㆍ학습법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8 2.2. 한국어 교수ㆍ학습법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10 2.2.1. 수업 대화 분석과 상호작용 양상 분석 = 11 2.2.2. 의사소통 전략 사용 효과 및 훈련 방법 = 13 2.2.3. 말하기 지도와 평가 = 17 3. 연구 대상과 방법 = 19 3.1. 연구 대상 = 19 3.2. 연구 방법 = 20 3.2.1. 수업 담화 녹음 = 21 3.2.2. 모형 운용 수업 실시 및 수업 녹음 = 23 3.2.3. 수업 자료 전사와 언어 상호작용 분석 = 24 제2장 상호작용 전략 연구를 위한 이론적 전제 1. 외국어 교수ㆍ학습을 위한 의사소통의 상호작용적 특성 = 29 1.1. 교수ㆍ학습 목표 실현 중심 = 30 1.2. 수업 대화 배분의 불균형성 = 31 1.3. 교육 계약에 의한 상호작용 조정 = 33 1.3.1. 발화 순서의 교환 = 34 1.3.2. 상호작용 조정 = 35 2. 상호작용 전략의 개념과 유형 = 39 2.1. 상호작용 전략의 개념 = 47 2.2. 상호작용 전략의 유형 = 51 2.2.1. 유도 단계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 56 2.2.2. 반응 단계의 상호작용 전략 = 60 2.2.3. 피드백 단계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 63 3. 한국어 말하기 교수ㆍ학습과 상호작용 전략 = 67 3.1. 한국어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특성 = 67 3.2. 중국어권 한국어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특성 = 71 3.3. 상호작용 전략의 교육적 의의 = 77 제3장 말하기 교수ㆍ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1. 유도 단계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 84 1.1.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학습자 상황 점검 전략 = 85 1.1.1. 학습자 이해 점검하기 = 85 1.1.2. 학습자 사전 지식 고려하기 = 89 1.2. 응답 내용을 고려한 질문 유형 활용 전략 = 92 1.2.1. 응답 초점화를 위한 수렴적 질문하기 = 93 1.2.2. 주제 접근을 위한 확산적 질문하기 = 98 1.3.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분위기 조성 전략 = 101 1.3.1. 개인 정보 활용하기 = 101 1.3.2.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웃음 유발하기 = 104 2. 반응 단계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 106 2.1. 유도 발화를 이해하기 위한 전략 = 106 2.1.1. 의미 추측하기 = 106 2.1.2. 의미 명료화 요청하기 = 108 2.2. 응답 발화를 완성하기 위한 전략 = 113 2.2.1. 우회적으로 표현하기 = 113 2.2.2. 단어 실마리 제공하기 = 115 2.2.3. 코드 전환 요청하기 = 117 2.3. 유도 발화에 대한 반응 전략 = 119 2.3.1. 동의 지지 요구하기 = 120 2.3.2. 관련 화제 도입하기 = 122 3. 피드백 단계의 상호작용 전략 = 124 3.1. 응답 발화를 이해하기 위한 전략 = 125 3.1.1. 의미 명료화 요청하기 = 125 3.1.2. 의미 확인 점검하기 = 127 3.2. 응답 발화를 완성시키기 위한 피드백 전략 = 129 3.2.1. 추가 정보 제공하기 = 129 3.2.2. 단서 제공하기 = 134 3.2.3. 코드 전환하기 = 138 3.3. 응답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전략 = 141 3.3.1. 즉시 오류 수정하기 = 141 3.3.2. 오류 수정 제안하기 = 144 3.4. 참여를 지속시키기 위한 피드백 전략 = 146 3.4.1. 참여 격려하기 = 146 3.4.2. 실수 포용하기 = 148 제4장 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교수ㆍ학습 설계 1. 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전제 = 154 1.1. 상호작용 전략 활용의 방향 = 154 1.2. 상호작용 전략 활용의 방법 = 157 2. 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실제 = 160 2.1.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내용과 방법 = 160 2.1.1.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내용 = 160 2.1.2.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방법 = 167 2.2. 말하기 교수ㆍ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전략의 적용 = 177 2.2.1.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교수ㆍ학습 활동 = 177 2.2.2.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교수ㆍ학습 효과 검증 = 181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 193 2. 제언 = 197 요약(Abstract) = 199 참고문헌 = 202 부록 1 수업 담화 자료 예시 = 214 부록 2 학습자 과제 활동 자료 예시 = 222 부록 3 학습자 설문지(수업 전) = 224 부록 4 학습자 설문지(수업 후) =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