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Loan 2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차윤경, 저 김선아, 저 김시정, 저 문종은, 저 송륜진, 저 박영석, 저 박주호, 저 안성호, 저 이삼형, 저 이선경, 저 이은연, 저 주미경, 저 함승환, 저 황세영, 저
Title Statement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 차윤경 [외]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4  
Physical Medium
425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88999704000
General Note
공저자: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송륜진,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이삼형, 이선경, 이은연, 주미경, 함승환, 황세영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1815camcc2200589 c 4500
001 000045807607
005 20140826144024
007 ta
008 140718s2014 ulkad b 001c kor
020 ▼a 9788999704000 ▼g 93370
035 ▼a (KERIS)BIB000013527229
040 ▼a 222001 ▼c 222001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75.001 ▼2 23
085 ▼a 375.001 ▼2 DDCK
090 ▼a 375.001 ▼b 2014
245 0 0 ▼a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 ▼d 차윤경 [외]공저
246 1 1 ▼a Theory and practice of yungbokhap education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300 ▼a 425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0 ▼a 공저자: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송륜진,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이삼형, 이선경, 이은연, 주미경, 함승환, 황세영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700 1 ▼a 차윤경, ▼e▼0 AUTH(211009)42819
700 1 ▼a 김선아, ▼e▼0 AUTH(211009)25017
700 1 ▼a 김시정, ▼e▼0 AUTH(211009)109134
700 1 ▼a 문종은, ▼e▼0 AUTH(211009)27535
700 1 ▼a 송륜진, ▼e▼0 AUTH(211009)37025
700 1 ▼a 박영석, ▼e▼0 AUTH(211009)110179
700 1 ▼a 박주호, ▼e▼0 AUTH(211009)82755
700 1 ▼a 안성호, ▼e▼0 AUTH(211009)92486
700 1 ▼a 이삼형, ▼e▼0 AUTH(211009)52684
700 1 ▼a 이선경, ▼e▼0 AUTH(211009)7323
700 1 ▼a 이은연, ▼e▼0 AUTH(211009)141626
700 1 ▼a 주미경, ▼e▼0 AUTH(211009)135163
700 1 ▼a 함승환, ▼e▼0 AUTH(211009)14457
700 1 ▼a 황세영, ▼e▼0 AUTH(211009)59630
900 1 0 ▼a Cha, Yun-kyung, ▼e
900 1 0 ▼a Kim, Sun-ah, ▼e
900 1 0 ▼a Kim, Si-jeong, ▼e
900 1 0 ▼a Moon, Jong-eun, ▼e
900 1 0 ▼a Song, Ryun-jin, ▼e
900 1 0 ▼a Park, Young-serk, ▼e
900 1 0 ▼a Park, Joo-ho, ▼e
900 1 0 ▼a Ahn, Sung-ho, ▼e
900 1 0 ▼a Lee, Sam-hyung, ▼e
900 1 0 ▼a Lee, Sun-kyung, ▼e
900 1 0 ▼a Lee, Eun-youn, ▼e
900 1 0 ▼a Ju, Mi-kyung, ▼e
900 1 0 ▼a Ham, Seung-hwan, ▼e
900 1 0 ▼a Hwang, Se-young,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1 2014 Accession No. 1117227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위기에 처한 한국사회와 학교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데 일조해 보자며 팔을 걷어붙인 일련의 연구자들의 열정과 헌신의 소산이다.
융복합교육은 모든 학생이 각자의 소질과 능력에 적합한 유의미하고도 진정성 있는 학습경험을 할 권리가 있으며, 지식의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능동적 생산자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또한 지식의 구성과정은 근본적으로 맥락 의존적이며 총체적인 성격을 띤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따라서 학습상황에서 학습자의 개인적 및 사회문화적 맥락과 인지·정서적 수준과 필요를 최대한 반영하는 방식으로 교육내용과 학습환경을 재조직한다면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흥미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성립된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융복합교육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이것을 다양한 교과 영역에 각각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고, 융복합적 교육방법, 평가, 행·재정적 시스템, 그리고 이와 관련된 실행연구 등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모색하였다.

이 책은 총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서는 융복합교육의 이론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1장(차윤경, 함승환)에서는 융복합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을 기술하였고, 제2장(안성호)에서는 융복합교육의 구성 틀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제3장(김선아)에서는 융복합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어떻게 설계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제4장(박영석, 황세영)에서는 융복합교육의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제시하고 그것이 실제 학습상황에서 어떻게 적용가능한지를 사례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각 교과별 융복합교육의 실제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5장(이삼형, 김시정)에서는 융복합적 국어교육을, 제6장(안성호, 이은연)에서는 융복합적 영어교육을, 제7장(주미경, 문종은, 송륜진)에서는 융복합적 수학교육을, 제8장(박영석)에서는 융복합적 사회교육을, 제9장(이선경, 황세영)에서는 융복합적 과학교육을, 제10장(김선아)에서는 융복합적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제3부에서는 융복합교육 실행기반 조성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11장(주미경, 이선경)에서는 융복합교육과 실행연구에 대한 내용을 담았고, 제12장(함승환, 박주호)에서는 융복합교육 실천에 요구되는 환경과 여건, 특히 협력적 학교공동체 형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이 책이 학생 한 사람 한 사람 안에 잠재되어 있는 꿈과 재능을 이끌어 내기 위해 애쓰는 이 땅의 수많은 참스승과 보다 나은 교육적 대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차윤경(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교육학 전공 미국 Stanford University 석사, 사회학 전공 미국 Stanford University 박사, 교육사회학 전공 현)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및 다문화교육학과 교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회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융복합교육의 이론 
 제1장 융복합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17
  1. 융복합교육의 이해에 다가서기 = 20
  2. 융복합교육에 대한 오해 = 24
  3. 더 나은 교육을 꿈꾸며 = 27
 제2장 융복합교육의 구성 틀 = 33
  1. 융복합 목표 차원 = 33
   1) 도구의 상호작용적 활용 = 35
   2) 이질적인 집단에서의 상호작용 = 35
   3) 자율적인 행동 = 36
  2. 융복합 방식 차원 = 39
   1) 단학문적 접근 = 40
   2) 다학문/간학문적 접근 = 44
   3) 초학문적 접근 = 54
  3. 융복합 맥락 차원 = 56 
   1) 개인적 맥락 = 59
   2) 지역사회 맥락 = 59
   3) 세계사회 맥락 = 60
  4. 맺음말 = 62
 제3장 융복합교육의 교수ㆍ학습 방법 = 67
  1. 되돌아보기 = 69
  2. 탐색하기 = 72
   1) 얼마나 융복합적이어야 할까 = 73
   2) 융복합의 중심에 누가 있어야 할까 = 74
  3. 설계하기 = 77
   1) 문제기반학습 = 77
   2) 프로젝트학습 = 81
  4. 함께하기 = 86
 제4장 융복합교육의 평가 = 91
  1. 융복합교육의 등장과 평가 = 91 
  2. 융복합교육 평가의 중점: 평가 내용과 평가 기준 = 95
   1) 융복합교육 평가 내용 = 95
   2) 융복합교육 평가 기준 = 98
  3.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방법 = 106
   1) 평가 전략의 설계 = 106
   2) 융복합교육 평가의 다양한 방법 = 109
  4. 융복합교육의 평가 사례 = 110
   1) '약용식물 아트북 프로젝트' 사례 = 110
   2) 융복합교육의 평가 내용 면에서 사례 프로그램의 평가 = 111
   3) 융복합교육의 평가 기준 면에서 사례 프로그램의 평가 = 113
  5. 맺음말 = 119
제2부 융복합교육의 실제 
 제5장 융복합교육과 국어교육 = 125
  1. 융복합 시대에 국어교육이 왜 중요한가 = 126
   1) 융복합적 접근의 대두 배경 = 126 
   2) 융복합의 개념과 교육 = 128
   3) 융복합 시대와 국어교육의 역할 = 131
  2. 국어과 융복합교육이란 무엇인가 = 133
   1) 국어교육의 범주와 융복합교육 = 133
   2) 기존 국어교육의 융복합적 실천과 흐름 = 141
  3. 국어과 융복합교육의 실천 사례 = 149
  4. 맺음말 = 155
 제6장 융복합교육과 영어교육 = 161
  1. 도입: 영어교육이 융복합적인가 = 161
  2. 영어 교수ㆍ학습 모형: 융복합교육적 접근 = 163
   1) 수준별 모형 = 163
   2) 주제기반 모형 = 164
   3) 과제기반 모형 = 168
   4) 프로젝트 모형과 문제기반 모형 = 171
   5) 교과기반 모형 = 175 
   6) 몰입 모형 = 176
   7) 국제교류 프로그램 = 179
   8) 영어 관련 교내행사 = 180
   9) 동아리 운영 = 182
  3. 영어과 융복합적 평가 = 183
  4. 융복합교육을 위한 영어교사: 역할, 자질 그리고 신념 = 186
  5. 맺음말 = 187
 제7장 융복합교육과 수학교육 = 191
  1. 21세기 수학교육의 과제 = 191
  2. 수학교과와 융복합교육 = 193
  3. 수학교과 융복합교육의 실천 = 197
  4. 수학교과에서 융복합교육 실천을 위한 제언 = 218
 제8장 융복합교육과 사회과 교육 = 225
  1. 사회과에서 융복합교육의 필요성 = 225
  2. 사회과 융복합 프로그램의 구성원리 = 228
   1) 사회과 융복합 프로그램의 구성에서 고려할 기본 원칙 = 228 
   2) 사회과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틀 = 231
  3. 사회과 관련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 236
   1) 융복합 주제의 선정과 교육과정 분석 = 237
   2) 융복합교육의 목표 확인 = 242
   3) 융복합 프로그램 틀 구성 = 245
   4)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활동(내용)계획 = 250
  4. 맺음말 = 253
 제9장 융복합교육과 과학교육 = 257
  1.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융복합교육 = 258
  2. 과학교육에서의 융복합교육 = 260
  3. 과학교육에서의 융복합교육의 실천 = 265
   1) 주제ㆍ수재 중심 접근 = 265
   2) 쟁점중심 접근 = 268
  4. 과학교육에서의 융복합교육 실천 사례 = 279
  5. 과학교육에서의 융복합교육을 위한 제언 = 292 
 제10장 융복합교육과 미술교육 = 303
  1. 창조로 여는 미래 사회 = 304
  2. 학교교육의 위기와 새로운 가능성 = 306
  3. 미술과 융복합교육의 방향 = 310
  4. 미술, 융복합적 사고로의 초대 = 314
   1) 상상력 = 315
   2) 통합적 인지 = 316
   3) 관계적 사고 = 318
   4) 공감능력 = 320
  5. 미술과에서의 융복합교육 실천 사례 = 322
  6. 맺음말 = 328
 제3부 융복합교육의 실행기반 조성 
 제11장 우리가 꿈꾸는 학교를 향하여 = 335
  1. 서론 = 335
  2. 융복합교육과 실행연구 = 337 
  3. 실행연구의 원리 = 340
   1) 관계 = 342
   2) 소통 = 343
   3) 참여 = 344
   4) 수용 = 345
  4. 실행연구방법 = 346
   1) 문제 인식 = 348
   2) 계획 = 354
   3) 실행 = 363
   4) 성찰 = 369
   5) 결과 보고 = 390
  5. 교육 개혁을 위한 공동체적 실행을 향하여 = 395
 제12장 융복합교육의 환경과 여건 = 401
  1. 융복합교육과 협력적 학교공동체 = 402
  2. 협력적 학교공동체의 필요성: 융복합교육 실천 교사의 관점 = 405
  3. 융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학교공동체 친화적 정책수단 = 407 
  4. 맺음말: 융복합적 학교공동체를 기대하며 = 411 
찾아보기 = 41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