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07591 | |
005 | 20171214171858 | |
007 | ta | |
008 | 140825s2014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330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486538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17 ▼d 211009 | |
082 | 0 4 | ▼a 371.26 ▼2 23 |
085 | ▼a 371.26 ▼2 DDCK | |
090 | ▼a 371.26 ▼b 2014z1 | |
100 | 1 | ▼a 성태제 ▼0 AUTH(211009)54721 |
245 | 1 0 | ▼a 교육평가의 기초 = ▼x Educational evaluation / ▼d 성태제 저 |
250 | ▼a 2판 |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g (2017 7쇄) | |
300 | ▼a 461 p. : ▼b 삽화, 도표 ; ▼c 27 cm + ▼e 전자 광디스크 (CD-ROM) 1매 | |
500 | ▼a 부록: 1. 표준정규분포표, 2. 상관계수, 3.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신뢰도 추정 외 | |
504 | ▼a 참고문헌(p. 427-438)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14z1 | 등록번호 1117227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14z1 | 등록번호 1117784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14z1 | 등록번호 1117828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1.26 2014z1 | 등록번호 1513434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14z1 | 등록번호 1117227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14z1 | 등록번호 1117784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14z1 | 등록번호 1117828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1.26 2014z1 | 등록번호 1513434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창의인재는 학문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여러 분야의 정보를 통섭하여 다양한 문제에 유연한 사고로 대처할 수 있는 융합 지식을 가진 브레인웨어(Brainware)다. 이러한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교육평가 분야에서도 많은 변화가 요구된다.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제를 창의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능력이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강조되면서 평가 분야에서도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수동적 방식의 지필평가 대신 수행 중심의 창의서술형 평가가 확대되고 있으며, 기존의 결과 중심 평가 대신 과정 중심의 평가가 강조되고, 실제성을 살릴 수 있는 시나리오·게임·시뮬레이션 기반의 컴퓨터화 평가가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학습자 맞춤형 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과 강점·약점에 대해 수시로 점검하고 지원하기 위한 형성평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의 표정, 시선, 목소리까지도 분석하고 이로부터 도출된 피드백을 바탕으로 교수법을 수정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형성평가 부분을 대폭 추가하였다.
형성평가에 대해서는 McMillan이 저술한 Classroom Assessment의 5장을 우리나라 학교 현실에 맞게 의역하고 재구성하였다. 또한 교육평가에 관련한 현재 주요 연구 내용과 정책 변화 등의 내용을 업데이트 하였으며, 준거 설정 방법 중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북마크 방법의 내용을 추가하였다. 더불어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등의 내용을 수정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원장직을 수행하면서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실현을 위한 교육평가의 방향과 역할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였다. 그리고 그 고민의 결과를 많은 분들과 공유하고자 이번 개정판을 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저자의 학문적, 실제적 경험을 토대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이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성태제(지은이)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Univ. of Wisconsin-Madison 대학원 M.S. Univ. of Wisconsin-Madison 대학원 Ph.D. Univ. of Wisconsin-Madison Laboratory of Experimental Design Consultant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장 이화여자대학교 입학처장 이화여자대학교 교무처장 한국교육평가학회 회장 정부업무평가위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MARQUIS 『Who’s who』 세계인명사전 등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기관장상 홍조근정 훈장 수훈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저서 및 역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2016, 4판, 학지사) 교수. 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2015, 공저, 학지사) 교육단상 (2015, 학지사) 교육평가의 기초(2014, 2판, 학지사) 연구방법론(2014, 2판, 공저, 학지사) 현대교육평가(2014, 4판, 학지사)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2014, 2판, 학지사) 현대 기초통계학 : 이해와 적용(2014, 7판, 학지사) 2020 한국 초·중등교육의 향방과 과제 (2013, 공저, 학지사) 최신 교육학개론(2012, 2판, 공저, 학지사) 준거설정(2011, 역, 학지사)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2004, 2판, 학지사) 타당도와 신뢰도(2002, 2판, 학지사) 문항반응이론 입문(1991, 편역, 양서원)

목차
목차 2판 서문 = 3 서문 = 5 일러두기 = 7 제1부 교육과 교육평가 제1장 교육과 교육평가 = 17 1. 교육 = 18 2. 교육평가 = 22 제2장 교육목표, 교육과정과의 관계 = 41 1. 교육목표의 진술 = 42 2. 교육목표 분류 = 45 3. 교육평가와 교육과정과의 관계 = 51 제2부 교육평가의 종류 제3장 교수ㆍ학습 진행에 의한 평가 = 59 1. 진단평가 = 60 2. 형성평가 = 63 3. 총합평가 = 75 4. 진단, 형성, 총합 평가의 비교 = 77 제4장 참조준거에 의한 평가 = 85 1. 규준참조평가 = 86 2. 준거참조평가 = 90 3. 능력참조평가 = 93 4. 성장참조평가 = 94 5. 규준, 준거, 능력, 성장 참조평가의 비교 = 95 제3부 총평, 측정, 검사 제5장 총평, 측정, 검사 = 107 1. 총평 = 108 2. 측정 = 109 3. 검사 = 114 4. 검사, 측정, 총평, 평가의 관계 = 134 제6장 정의적 행동특성 측정 = 139 1. 정의적 행동특성의 중요성 = 140 2. 정의적 행동특성의 측정 = 141 3. 정의적 행동특성의 측정방법 = 143 제4부 문항제작 제7장 문항제작과 유형 = 157 1. 문항제작자의 자격 = 158 2. 문항제작 시 고려사항 = 160 3. 검사제작 절차 = 161 4. 좋은 문항의 조건 = 171 5. 문항 유형 = 174 제8장 선택형 문항제작 = 179 1. 진위형 문항 = 180 2. 선다형 문항 = 187 3. 연결형 문항 = 208 4. 배열형 문항 = 212 제9장 서답형 문항제작 = 217 1. 논술형 문항 = 218 2. 단답형 문항 = 227 3. 괄호형, 완성형 문항 = 230 제5부 문항분석과 점수보고 제10장 문항분석 = 243 1. 고전검사이론 = 247 2. 문항반응이론 = 257 제11장 검사점수 보고와 해석 = 279 1. 검사점수 = 280 2. 규준점수 = 280 3. 준거점수 = 286 4. 점수보고 = 295 제6부 타당도와 신뢰도 제12장 타당도 = 313 1. 정의 = 314 2. 종류 = 316 3. 타당도의 적용 = 333 제13장 신뢰도 = 339 1. 정의 = 340 2. 개념 = 340 3. 종류 = 342 4. 신뢰도의 적용과 영향을 주는 요인 = 352 5.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354 제7부 컴퓨터화 검사와 수행평가 제14장 컴퓨터화 검사 = 363 1. 컴퓨터화 검사의 정의 = 364 2. 컴퓨터화 검사의 발달 = 364 3. 컴퓨터 이용검사 = 366 4. 컴퓨터화 능력적응검사 = 368 제15장 수행평가 = 377 1. 학업성취도 평가방법의 변화 = 378 2. 수행평가의 정의와 특징 = 382 3. 수행평가 개발절차 = 391 4. 수행평가의 장단점 = 396 5. 채점자내, 채점자간 신뢰도 = 397 제8부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제16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 413 1.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과제 = 414 2. 이론적인 측면에서의 과제 = 416 3. 최근 동향 및 전망 = 423 참고문헌 = 427 부록 = 439 찾아보기 =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