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교육평가 = 4판 (Loan 9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성태제
Title Statement
현대교육평가 = Modern educational evaluation / 성태제 저
판사항
4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4   (2017 4쇄)  
Physical Medium
668 p. : 삽화, 도표 ; 27 cm + 전자 광디스크 (CD-ROM) 1매
ISBN
9788999702921
General Note
부록: 1. 표준정규분포 표, 2. 상관계수, 3. 수행평가표 과제와 채점기준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619-639)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07583
005 20180222133333
007 ta
008 140825s2014 ulkad b 001c kor
020 ▼a 9788999702921 ▼g 93370
035 ▼a (KERIS)BIB000013485864
040 ▼a 211014 ▼d 211009 ▼c 211009
082 0 4 ▼a 371.26 ▼2 23
085 ▼a 371.26 ▼2 DDCK
090 ▼a 371.26 ▼b 2014z2
100 1 ▼a 성태제 ▼0 AUTH(211009)54721
245 1 0 ▼a 현대교육평가 = ▼x Modern educational evaluation / ▼d 성태제 저
250 ▼a 4판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g (2017 4쇄)
300 ▼a 668 p. : ▼b 삽화, 도표 ; ▼c 27 cm + ▼e 전자 광디스크 (CD-ROM) 1매
500 ▼a 부록: 1. 표준정규분포 표, 2. 상관계수, 3. 수행평가표 과제와 채점기준 외
504 ▼a 참고문헌(p. 619-639)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4z2 Accession No. 1117227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4z2 Accession No. 1117326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4z2 Accession No. 11178655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을 2002년 2월에 출간한 이래 2005년에는 2판을 그리고 2010년에는 3판을 개정하여 출간하였다. 이 기간 동안 이 책에 대한 많은 분의 사랑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는 4판을 출간하려 한다. 지난 3년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원장직을 수행하면서 교육평가에 대한 세계적 흐름을 목도하였고, 우리나라의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평가와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바람직한 교육평가의 방향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였다. 이번 판에는 이러한 경험과 고민이 녹아 있다.
교육의 진행과정에서 시행되는 진단, 형성, 총합평가 중에 최근에는 형성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이에 대한 단행본까지 출판되었다. 특히 미국에서는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의 표정, 시선, 목소리까지도 분석하고, 이로부터 도출된 피드백을 바탕으로 교수법을 수정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형성평가를 독립적인 주제로 다루는 제5장을 추가하였다. 형성평가에 대해서는 McMillan이 저술한 Classroom Assessment의 5장을 우리나라 학교 현실에 맞게 의역하고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3판까지는 ‘학교평가와 수업평가’에 대한 장이 있었으나 이번 판에서는 삭제하였다. 또한 컴퓨터화 검사의 발전에 따라 최근 외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컴퓨터화 검사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NEAT를 소개하였다. 새로운 평가정책과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등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였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변화되어 온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으며,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등의 내용을 수정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성태제(지은이)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Univ. of Wisconsin-Madison 대학원 M.S. Univ. of Wisconsin-Madison 대학원 Ph.D. Univ. of Wisconsin-Madison Laboratory of Experimental Design Consultant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장 이화여자대학교 입학처장 이화여자대학교 교무처장 한국교육평가학회 회장 정부업무평가위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MARQUIS 『Who’s who』 세계인명사전 등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기관장상 홍조근정 훈장 수훈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저서 및 역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2016, 4판, 학지사) 교수. 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2015, 공저, 학지사) 교육단상 (2015, 학지사) 교육평가의 기초(2014, 2판, 학지사) 연구방법론(2014, 2판, 공저, 학지사) 현대교육평가(2014, 4판, 학지사)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2014, 2판, 학지사) 현대 기초통계학 : 이해와 적용(2014, 7판, 학지사) 2020 한국 초·중등교육의 향방과 과제 (2013, 공저, 학지사) 최신 교육학개론(2012, 2판, 공저, 학지사) 준거설정(2011, 역, 학지사)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2004, 2판, 학지사) 타당도와 신뢰도(2002, 2판, 학지사) 문항반응이론 입문(1991, 편역, 양서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4판 머리말 = 3
1판 머리말 = 5
일러두기 = 8
제1부 교육과 교육평가
 제1장 교육 = 21
  1. 정의 = 21
  2. 인간관 = 22
  3. 교육의 목적 = 24
 제2장 교육평가 = 27
  1. 교육평가의 정의 = 27
  2. 교육평가의 기본 가정 = 28
  3. 교육평가의 목적과 기능 = 30
  4. 교육평가의 대상 = 31
  5. 평가방법 = 33
  6. 평가주체, 요소 및 절차 = 34
  7. 평가결과의 보고 및 이용 = 37
  8. 교육평가의 역사 = 38
 제3장 교육과 교육목표, 교육과정과의 관계 = 49
  1. 교육목표의 진술 = 49
  2. 교육목표 분류 = 53
  3. 교육평가와 교육과정과의 관계 = 60
제2부 교육평가의 종류
 제4장 교수ㆍ학습 진행에 의한 교육평가 = 67
  1. 진단평가 = 67
  2. 형성평가 = 71
  3. 총합평가 = 73
  4. 진단, 형성, 총합평가의 비교 = 75
 제5장 형성평가 = 79
  1. 새로운 관점 = 79
  2. 자료 수집 = 83
  3. 피드백 = 96
  4. 교육적 처방 = 104
 제6장 참조준거에 의한 평가 = 111
  1. 규준참조평가 = 111
  2. 준거참조평가 = 115
  3. 능력참조평가 = 120
  4. 성장참조평가 = 121
  5. 규준, 준거, 능력, 성장참조평가의 비교 = 122
제3부 총평, 측정, 검사
 제7장 총평, 측정, 검사 = 127
  1. 총평 = 127
  2. 측정 = 129
  3. 검사 = 133
  4. 측정과 검사의 역사 = 146
  5. 검사, 측정, 총평, 평가의 관계 = 148
 제8장 표준화 검사 = 153
  1. 정의와 특징 = 153
  2. 제작절차 = 154
  3. 표준화 검사와 학급검사의 차이점 = 156
  4. 검색절차 = 157
  5. 표준화 검사 참고문헌 = 158
  6. 표준화 검사의 종류 = 161
  7. 표준화 검사 선택 시 유의사항 = 169
 제9장 정의적 행동 특성 측정 = 171
  1. 정의적 행동 특성의 중요성 = 171
  2. 정의적 행동 특성의 측정 = 172
  3. 정의적 행동 특성의 측정방법 = 174
제4부 문항제작
 제10장 문항제작과 유형 = 187
  1. 문항제작자의 자격 = 187
  2. 문항제작 시 고려사항 = 189
  3. 검사제작절차 = 190
  4. 좋은 문항의 조건 = 199
  5. 문항 유형 = 202
 제11장 선택형 문항제작 = 205
  1. 진위형 = 205
  2. 선다형 = 212
  3. 연결형 = 233
  4. 배열형 = 237
 제12장 서답형 문항제작 = 241
  1. 논술형 = 241
  2. 단답형 = 253
  3. 괄호형, 완성형 = 256
 제13장 문항편집지침 = 265
  1. 진술형식 = 266
  2. 문항과 답지 = 268
  3. 인용부호 = 270
  4. 보기의 표기 = 271
  5. 글씨체와 크기 = 273
제5부 문항분석과 점수보고
 제14장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279
  1. 고전검사이론 = 282
  2. 문항분석 = 284
  3. TestAn에 의한 문항분석 실행과 해석 = 294
  4. 고전검사이론의 장단점 = 305
 제15장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309
  1. 문항반응이론 = 309
  2. 문항특성곡선 = 312
  3.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314
  4. 문항반응모형 = 317
  5. 진점수 = 321
  6. 정보함수 = 322
  7. 문항반응이론의 장점 = 325
  8. 문항반응이론에 대한 연구와 적용 = 328
  9. BayesiAn에 의한 문항분석 실행과 해석 = 330
 제16장 차별기능문항 추출 = 341
  1. 차별기능문항의 정의 = 341
  2. 차별기능문항의 추출방법 = 344
  3. 차별기능문항에 대한 연구와 적용 = 350
 제17장 검사점수 보고와 해석 = 353
  1. 검사점수 = 353
  2. 규준점수 = 354
  3. 준거점수 = 360
  4. 점수보고 = 375
제6부 타당도와 신뢰도
 제18장 타당도 = 383
  1. 정의 = 383
  2. 역사와 종류 = 385
  3. 타당도의 적용 = 405
 제19장 신뢰도 = 409
  1. 정의 = 409
  2. 개념 = 410
  3. 역사 = 413
  4. 종류 = 415
  5. 신뢰도의 적용과 영향을 주는 요인 = 442
  6. 정보함수 = 444
  7.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446
 제20장 채점자내, 채점자간 신뢰도 = 451
  1. 채점자내신뢰도 = 451
  2. 채점자간신뢰도 = 451
  3. 채점자내, 채점자간 신뢰도의 적용 = 462
제7부 컴퓨터화 검사와 수행평가
 제21장 컴퓨터화 검사 = 467
  1. 컴퓨터화 검사의 정의 = 467
  2. 컴퓨터화 검사의 발달 = 468
  3. 컴퓨터화 검사의 장점 = 470
  4. 컴퓨터화 능력적응검사 = 471
 제22장 수행평가 = 493
  1. 학업성취도 평가방법의 변화 = 493
  2. 수행평가의 정의 = 497
  3. 수행평가의 역사 = 505
  4. 수행평가의 특징 = 507
  5. 수행평가 개발 및 절차 = 508
  6. 수행평가의 장단점 = 514
  7. 수행평가의 적용과 과제 = 516
제8부 평가모형
 제23장 교육평가모형 = 523
  1. 목표중심평가 = 524
  2. 운영중심평가 = 529
  3. 소비자중심평가 = 533
  4. 전문가중심평가 = 536
  5. 반론중심평가 = 542
  6. 참여자중심평가 = 545
제9부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제24장 우리나라 대학입학전형제도 = 555
  1. 대학입시제도의 변화 = 555
  2. 전형주체 구도 = 561
  3. 대학입시제도의 특징 = 577
  4. 교육의 문제점 = 579
  5. 미국 대학의 대학입학 전형요소 = 581
  6. 대학입학전형제도의 방향과 과제 = 586
  7. 연구과제 = 597
 제25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 601
  1.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과제 = 601
  2. 이론적인 측면에서의 과제 = 604
  3. 최근 동향 및 전망 = 613
참고문헌 = 619
부록 = 641
찾아보기 = 66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