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거시경제학 (Loan 6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Mankiw, N. Gregory, 1958- 이병락, 李秉洛, 1955-, 역
Title Statement
거시경제학 / N. Gregory Mankiw 지음 ; 이병락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14  
Physical Medium
xxiii, 682 p. : 삽화, 도표 ; 26 cm
Varied Title
Macroeconomics. (8th ed.)
ISBN
9788968661112
General Note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Macroeconomic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07545
005 20220829101329
007 ta
008 140825s2014 ulkad 001c kor
020 ▼a 9788968661112 ▼g 93320
035 ▼a (KERIS)BIB000013401252
040 ▼a 211017 ▼c 211017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39 ▼2 23
085 ▼a 339 ▼2 DDCK
090 ▼a 339 ▼b 2014z5
100 1 ▼a Mankiw, N. Gregory, ▼d 1958- ▼0 AUTH(211009)111440
245 1 0 ▼a 거시경제학 / ▼d N. Gregory Mankiw 지음 ; ▼e 이병락 옮김
246 1 9 ▼a Macroeconomics. ▼g (8th ed.)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4
300 ▼a xxiii, 682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Macroeconomics
700 1 ▼a 이병락, ▼g 李秉洛, ▼d 1955-, ▼e▼0 AUTH(211009)55064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39 2014z5 Accession No. 121230607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04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거시경제학 교과서인 N. Gregory Mankiw 교수의 『Macroeconomics』(제8판)를 번역한 것이다. 특히 제8판에서는 2008년 및 2009년에 발생한 금융위기를 소개하기 위해서 제20장(금융제도:기회 및 위험)이 새로이 추가되었다.
저자가 제안하고 있는 것처럼 이 책에 제시된 순서가 아니라 강의하는 사람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강의를 진행할 수도 있다.
첫째, 단기적인 경기변동을 강조하려는 경우 제1장부터 제5장까지 고전파의 기본이론을 강의한 후 직접 총수요 및 총공급 모형에 관한 제10, 11, 12, 14, 15장을 가르칠 수도 있다.
둘째,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강조하려면 제3장까지 끝낸 후 즉시 제8장 및 제9장을 강의할 수도 있다.
셋째, 개방 거시경제학을 뒤로 미루거나 또는 건너뛰려는 경우 제6장 및 제13장을 빼놓고 강의를 진행하여도 연속성에 문제가 없다.
넷째, 경제정책을 강조하려는 경우에는 제8, 9, 15, 16, 17장을 건너뛰고 제18, 19, 20장을 강의 할 수도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그레고리 맨큐(지은이)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Robert M. Beren 석좌교수이다.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1980년에 A.B.를 취득하였다. MIT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1985년부터 하버드대학교에서 가르치기 시작하였으며, 1987년에 정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하버드대학교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의 거시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베스트셀러인 『경제학원론』(Cengage 출판사 간행)을 저술하였다. Mankiw 교수는 학술 및 정책 토론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거시경제학 전반에 걸쳐 있으며, 가격조정, 소비자행태, 금융시장, 금융 및 재정 정책, 경제성장 등이 포함된다. 하버드대학교에 근무하는 것 이외에도,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연구원, Brookings Panel on Economic Activity 회원, Urban Institute 이사, Congressional Budget Office 고문, 보스턴 및 뉴욕 Federal Reserve Bank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President’s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의장으로 재임하였다.

이병락(옮긴이)

고려대학교 경상대학 교수 역임 주요 저서 및 역서  국제경제학(1999, 2007, 시그마프레스) 경기전망지표(1999, 시그마프레스) 무역실무(2008, 시그마프레스) 계량경제학(2003, 2010, 2020, 시그마프레스) 거시경제학 해법(2004, 2007, 2010, 2014, 2016, 2020, 2023, 시그마프레스) 미시경제학(2004, 2010, 2015, 2022, 시그마프레스) 문제 풀며 정리하는 미시경제학(2011, 2015, 시그마프레스) 통계학(2014, 2022, 시그마프레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 ⅴ 
저자 서문 = ⅵ 
제1부 서론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 3 
1-1. 거시경제학자는 무엇을 연구하는가 = 3 
1-2. 경제학자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8 
1-3. 이 책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 16 
제2장 거시경제학의 자료 = 19 
2-1. 경제활동가치의 측정 : 국내총생산 = 20 
2-2. 생활비의 측정 : 소비자물가지수 = 34 
2-3. 실직상태의 측정 : 실업률 = 39 
2-4. 결론 : 경제 통계에서 경제 모형으로 = 44 
제2부 고전파이론 : 장기적으로 본 경제 
제3장 국민소득 : 생산과 분배 = 51 
3-1. 재화 및 용역 생산 = 53 
3-2. 생산요소에 대한 국민소득의 분배 = 55 
3-3. 재화 및 용역에 대한 수요 = 67 
3-4. 재화 및 용역에 대한 공급과 수요의 균형 = 72 
3-5. 결론 = 80 
제4장 화폐제도 : 정의 및 역할 = 85 
4-1. 화폐란 무엇인가 = 86 
4-2. 화폐제도에서 은행의 역할 = 92 
4-3. 중앙은행은 통화공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96 
4-4. 결론 = 104 
제5장 인플레이션 : 원인, 결과, 사회적 비용 = 107 
5-1. 화폐수량이론 = 108 
5-2. 화폐주조세 : 화폐발행에 따른 수입 = 114 
5-3.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116 
5-4. 명목이자율과 통화수요 = 121 
5-5.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 123 
5-6. 초인플레이션 = 129 
5-7. 결론 : 고전파의 이분법 = 134 
부록 : 케이건 모형 : 현재 및 장래 통화가 물가수준에 미치는 영향 = 138 
제6장 개방경제 = 141 
6-1. 자본 및 재화의 국제적 이동 = 142 
6-2. 소국개방경제하에서의 저축과 투자 = 148 
6-3. 환율 = 158 
6-4. 결론 : 대국개방경제인 미국 = 170 
부록 : 대국개방경제 = 176 
제7장 실업 = 187 
7-1. 실직, 구직, 자연실업률 = 188 
7-2. 구직과 마찰적 실업 = 191 
7-3. 실질임금 경직성과 구조적 실업 = 193 
7-4. 노동시장 사례 : 미국의 경우 = 200 
7-5. 노동시장 사례 : 유럽의 경우 = 204 
7-6. 결론 = 210 
제3부 성장이론 : 최장기적으로 본 경제 
제8장 경제성장 Ⅰ : 자본축적과 인구증가 = 217 
8-1. 자본축적 = 218 
8-2. 자본의 황금률수준 = 229 
8-3. 인구증가 = 237 
8-4. 결론 = 244 
제9장 경제성장 Ⅱ : 기술, 경험 그리고 정책 = 249 
9-1. 솔로우 모형에서의 기술진보 = 250 
9-2. 성장이론에서 성장경험으로 전환 = 253 
9-3.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 = 258 
9-4. 솔로우 모형 이후의 성장이론 : 내생적 성장이론 = 267 
9-5. 결론 = 273 
부록 : 경제성장의 근원에 대한 설명 = 277 
제4부 경기순환이론 : 단기적으로 본 경제 
제10장 경제변동 입문 = 287 
10-1. 경기순환의 진상 = 288 
10-2. 거시경제학의 단기 및 장기 = 295 
10-3. 총수요 = 299 
10-4. 총공급 = 302 
10-5. 안정화정책 = 307 
10-6. 결론 = 313 
제11장 총수요 Ⅰ : IS-LM 모형의 도출 = 317 
11-1. 재화시장과 IS곡선 = 319 
11-2. 화폐시장가 LM곡선 = 331 
11-3. 결론 : 단기균형 = 336 
제12장 총수요 Ⅱ : IS-LM 모형의 응용 = 341 
12-1. IS-LM 모형을 이용한 경제 변동 설명 = 342 
12-2. 총수요이론으로서의 IS-LM 모형 = 352 
12-3. 대공황 = 356 
12-4. 결론 = 366 
제13장 개방경제에 관한 재논의 : 먼델-플레밍 모형과 환율제도 = 371 
13-1. 먼델-플레밍 모형 = 373 
13-2. 변동환율제하에서의 소국개방경제 = 377 
13-3. 고정환율제하에서의 소국개방경제 = 382 
13-4. 이자율 차이 = 388 
13-5. 변동환율제여야 하는가 또는 고정환율제여야 하는가 = 393 
13-6. 단기에서 장기로의 이전 : 가격이 변화하는 경우의 먼델-플레밍 모형 = 398 
13-7. 결론 = 400 
부록 : 대국개방경제의 단기 모형 = 405 
제14장 총공급과 인플레이션 및 실업의 단기적 상충관계 = 411 
14-1. 총공급곡선에 관한 기본 이론 = 412 
14-2. 인플레이션, 실업, 필립스 곡선 = 419 
14-3. 결론 = 433 
부록 : 근본 모형 = 438 
제5부 거시경제정책 논제 
제15장 총수요 및 총공급의 동태 모형 = 445 
15-1. 모형의 구성요소 = 446 
15-2. 모형의 해법 = 454 
15-3. 모형의 이용 = 460 
15-4. 두 가지 적용 사례 : 금융정책에 대한 교훈 = 470 
15-5. 결론 : 동태적인 확률 일반균형(DSGE) 모형의 탐색 = 478 
제16장 소비자 행태의 이해 = 483 
16-1. 존 메이너드 케인즈와 소비함수 = 484 
16-2. 어빙 피셔와 기간 간 선택 = 488 
16-3.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생애소득 가설 = 496 
16-4. 밀턴 프리드먼과 항상소득 가설 = 501 
16-5. 로버트 홀과 확률보행 가설 = 505 
16-6. 데이비드 레입슨과 즉각적인 만족의 표출 = 507 
16-7. 결론 = 510 
제17장 투자이론 = 515 
17-1. 기업 고정투자 = 517 
17-2. 주택투자 = 529 
17-3. 재고투자 = 533 
17-4. 결론 = 534 
제6부 거시경제정책의 논재 
제18장 안정화정책 = 541 
18-1. 정책은 적극적이어야 하는가 또는 수동적이어야 하는가 = 542 
18-2. 경제정책은 규칙을 따라야 하는가 또는 자유재량에 맡겨야 하는가 = 549 
18-3. 결론 : 불확실한 세계에서의 정책수립 = 556 
부록 : 시간 불일치와 인플레이션 및 실업 사이의 상충 관계 = 560 
제19장 정부부채 및 재정적자 = 565 
19-1. 정부부채의 규모 = 566 
19-2. 측정상의 문제 = 570 
19-3. 정부부채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 = 574 
19-4. 정부부채에 관한 리카디언 견해 = 576 
19-5. 정부부채에 관한 기타 견해 = 583 
19-6. 결론 = 589 
제20장 금융제도 : 기회 및 위험 = 593 
20-1. 금융제도의 역할 = 594 
20-2. 금융위기 = 600 
20-3. 결론 = 615 
제21장 경기순환이론의 발전 = 519 
21-1. 실질경기 순환이론 = 620 
21-2. 신케인지언 경제학 = 627 
21-3. 결론 = 631 
후기 :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 = 635 
거시경제학의 네 가지 중요한 교훈 = 635 
거시경제학의 해결하지 못한 중요한 네 가지 의문점 = 638 
결론 = 643 
도표로 본 한국경제 = 645 
용어해설 = 661 
주제 찾아보기 = 673 
영문 찾아보기 = 677 
인명 찾아보기 = 68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