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9n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45807447 | |
005 | 20140822144526 | |
007 | ta | |
008 | 140821s2014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8491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0.72 ▼2 23 |
085 | ▼a 370.72 ▼2 DDCK | |
090 | ▼a 370.72 ▼b 2014 | |
100 | 1 | ▼a 곽영순 ▼0 AUTH(211009)62753 |
245 | 1 0 | ▼a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 ▼x Teacher and qualitative research : ▼b 앎에서 삶으로 : ▼b 왜 질적연구여야 하는가? / ▼d 곽영순 저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4 | |
300 | ▼a 278 p. : ▼b 삽화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263-275)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72 2014 | 등록번호 11172258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19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72 2014 | 등록번호 1310524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72 2014 | 등록번호 11172258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19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72 2014 | 등록번호 1310524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사를 위한 질적연구 입문서이고자 한다. 교사교육이라는 렌즈를 통해 질적연구를 들여다보면서, 교사가 읽어내어야 할 학교 교육과정, 교사의 역할, 연구 패러다임, 지식기반, 이론과 실천의 괴리, 반성적 실천 등을 엮어보았다.
수십 년 전 내가 그랬듯이, '가르치는 것에 대한 배움'을 시작하는 이들이 앎을 삶으로 풀어낼 때 이 글이 노트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엮어보았다. 나 스스로 앎을 삶으로 옮긴 영역과 날들이 드물지만, 교사 이야기라면 내 이야기인 까닭에 누군가의 앎과 삶 사이의 징검다리가 되고자 한다.
이 책은 교사를 위한 질적연구 입문서이고자 한다. 교사교육이라는 렌즈를 통해 질적연구를 들여다보면서, 교사가 읽어내어야 할 학교 교육과정, 교사의 역할, 연구 패러다임, 지식기반, 이론과 실천의 괴리, 반성적 실천 등을 엮어보았다. 수십 년 전 내가 그랬듯이, '가르치는 것에 대한 배움'을 시작하는 이들이 앎을 삶으로 풀어낼 때 이 글이 노트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엮어보았다. 나 스스로 앎을 삶으로 옮긴 영역과 날들이 드물지만, 교사 이야기라면 내 이야기인 까닭에 누군가의 앎과 삶 사이의 징검다리가 되고자 한다.
1장에서는 교사에게 질적연구가 필요한 까닭을 질적연구의 특징에서 찾아보았다.
2장에서는 교사전문성에 대한 네 가지 패러다임과 질적연구 패러다임을 연계해보았다.
3장에서는 교사들의 삶을 대상으로 어떠한 질적연구가 가능한지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을 푸코의 지식-권력의 관점에서 다르게 읽어보았다.
5장에서는 참여적 연구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교사의 실천적 지식기반인 내용교수지식(PCK)을 드러내고 포착하는 연구 사례를 소개하였다.
6장에서는 반성적 실천을 통한 '교사되기' 과정을 살펴보았다.
7장에서는 후기구조주의 방법론으로 활용되는 해체적 접근이 교사교육과 질적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내가 사랑하는 들뢰즈를 다시 살려내기 위해 그의 '되기'의 철학을 다양성에 대한 찬사로 풀어내보았다.
8장에서는 증거기반 실천과 반성적 실천에 대한 해체적 독해를 시도해 보았다. 즉, 해체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최근 공교육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책무성 운동'을 점검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3 제1장 왜 질적연구인가? 11 1. 왜 질적연구여야 하는가? 12 2. 질적연구의 기본 전제들 16 3. 해체를 넘어서 참여적 패러다임으로 20 1) 구성과 해체의 한계 21 2) 반성적 실천을 지향하는 참여적 패러다임 23 4. 질적연구 방법론: 언어와 표상 26 5. 자연 언어인 스토리텔링 방법 29 6. 독자에 의해 쓰여지는 질적연구 32 7. 질적연구 글쓰기에서 수행적 전회 34 제2장 교사교육 패러다임 41 1. 효과적 교사 43 1) 가르치는 활동에 대한 실증주의 패러다임: 교사효과성 연구 43 2) 교사효과성에 대한 질적평가의 필요성 45 3) 교사의 탈전문화를 촉진한 교사효과성 연구 47 4)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괴리: 누가, 어떻게 교사지식을 정하는가 48 2. 반성적 교사 50 1) 해석주의와 구성주의 53 2) 선이해와 지평융합 54 3) 관찰하는 시선과 실존적인 시선 55 4) 반성적 실천: 프랙시스 57 5) 참여관찰자로서 교사 58 3. 탐구적 교사 59 1) 비판적 패러다임과 탐구하는 교사 60 2) 참여적(+포스트모던) 패러다임: 실행연구 63 3) 연구자로서의 교사 65 4) 참여적 실행연구의 특징 66 4. 변환적 교사 73 1) 포스트모더니즘과 질적연구 74 2) 동일성 철학의 폭력 76 3) 해체를 넘어서 프랙시스로 79 제3장 교사교육에서 질적연구의 유형 81 1. 개인에 대한 연구: 자서전적 글쓰기 82 1)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83 2) 주체의 죽음 이후 자문화기술지 89 2. 집단에 대한 연구: 교육적 문화기술지의 발전 91 3. 개념에 대한 연구: 현상학적 분석 95 1) 현상학적 의미론: 의식의 지향성 96 2) 생활세계와 실존적 현상학 97 4. 이론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 99 5. 사건이나 활동에 대한 연구: 사례연구 102 1) 사례의 의미 102 2) 사례의 일반화 가능성 103 6.텍스트 분석: 해석학 105 1) 해석학적 순환 105 2) 해석적 이해와 도구들 107 제4장 푸코의 지식-권력과 학교 교육과정 111 1. 교육과정 연구 패러다임 변화: 개발에서 이해로 112 1) 실증주의의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112 2) 탈실증주의 패러다임의 교육과정 연구 재개념화 116 2. 푸코의 지식-권력 120 3. 지식-권력과 학교 교육과정 122 4. 지식의 구조에 대한 해체주의적 분석 124 5. 교육과정 읽어내기: 작품에서 텍스트로 128 1) 의미작용과 의미생성 129 2) 독서란 쓰여지지 않은 것을 읽어내는 것 130 6. 상호텍스트성 131 7. 쓰여지는(writerly)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133 8. 탈주와 가로지르기를 통한 통섭 134 제5장 교사의 실천적 지식기반-PCK 135 1. 이론과 실제의 거리좁히기 136 2. 왜 내러티브인가? 143 3. 교사의 지식기반과 내용교수지식(PCK) 145 4. 참여적 패러다임에 따른 내용교수지식(PCK)에 대한 내러티브 149 5. PCK 연구 방법론: 근거이론 152 6. 내용교수지식(PCK)의 의미와 특징 155 7.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158 제6장 반성적 교사교육-교사되기 161 1. 실천에서 이론으로 vs. 이론에서 실천으로 161 2. 이론에서 실천으로: 앎에서 삶으로 163 3. 실천에서 이론으로: 삶에서 앎으로 166 4. 앎과 삶의 일치를 지향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 167 5. 반성적 실천으로서 교사의 학습이란? 172 6. 반성적 실천의 수준과 단계 178 7. 반성적 실천을 통한 이론과 실천의 연계 180 8. 멘토링을 통한 반성적 실천능력 제고 방안이란? 182 9. 인지적 도제주의, 지행합일을 꿈꾸며 188 제7장 들뢰즈의 생성철학과 교육-다양성 창조 193 1. 구성적 사유와 해체적 사유 194 2. 동일성의 응결: 기계-접속-배치 196 3.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메커니즘: 영토화-탈영토화-재영토화 199 4. 차이생성의 효과로서의 동일성 201 5. 수목형 사유와 리좀형 사유 204 6. 욕망의 탈주: 무엇이든 되어보자 vs ''나'' 아닌 ''너'' 되기 207 7. 포스트모더니즘: 다양성에 대한 찬사 211 8. 동일성의 우울을 넘어 이질성 추구로 214 9. 수행성: 담론적 실천을 통한 리얼리티 구성 217 10. 좋은 수업: 차이생성 중에 반복하는 동일성 221 제8장 구성에서 해체로-NCLB 225 1. 후기구조주의의 해체: 교사 역할의 해체 225 2. 타자를 사유하는 방법론으로서의 해체 231 3. 해체의 단계 233 4. 앎의 단계: 저자의 죽음과 해체적 읽기 236 5. 가르침의 단계: 해석에서 해체로 240 6. 해체적 읽기: 증거기반 실천과 반성적 실천 243 7. 연구기반 교사교육과 연구자로서의 교사 247 8. 비판적 교육학 vs 해체적 교육학 252 9. 공유할 만한 기억으로 교육의 목적을 새롭게 구성하자 255 참고문헌 263 찾아보기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