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 사회학 7판

현대 사회학 7판 (18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iddens, Anthony, 1938- Sutton, Philip W., 저 김용학, 역 박길성, 역 송호근, 역 신광영, 역 유홍준, 역 김미숙, 역 정성호, 역
서명 / 저자사항
현대 사회학 / 앤서니 기든스, [필립 서튼] 지음 ; 김용학 [외]옮김
판사항
7판
발행사항
서울 :   을유문화사,   2014   (2015)  
형태사항
1100 p. : 삽화, 도표, 연대표 ; 25 cm
원표제
Sociology (7th ed.)
ISBN
9788932472386
일반주기
공역자: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김미숙, 정성호  
서지주기
참고문헌(p. 1019-1079)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Sociology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06933
005 20151029160046
007 ta
008 140811s2014 ulkadj b 001c kor
020 ▼a 9788932472386 ▼g 9333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301 ▼2 23
085 ▼a 301 ▼2 DDCK
090 ▼a 301 ▼b 2014z4
100 1 ▼a Giddens, Anthony, ▼d 1938- ▼0 AUTH(211009)67657
245 1 0 ▼a 현대 사회학 / ▼d 앤서니 기든스, ▼e [필립 서튼] 지음 ; ▼e 김용학 [외]옮김
246 1 9 ▼a Sociology ▼g (7th ed.)
250 ▼a 7판
260 ▼a 서울 : ▼b 을유문화사, ▼c 2014 ▼g (2015)
300 ▼a 1100 p. : ▼b 삽화, 도표, 연대표 ; ▼c 25 cm
500 ▼a 공역자: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김미숙, 정성호
504 ▼a 참고문헌(p. 1019-1079)과 색인수록
650 0 ▼a Sociology
700 1 ▼a Sutton, Philip W., ▼e▼0 AUTH(211009)14552
700 1 ▼a 김용학, ▼e▼0 AUTH(211009)31832
700 1 ▼a 박길성, ▼e▼0 AUTH(211009)63992
700 1 ▼a 송호근, ▼e▼0 AUTH(211009)73800
700 1 ▼a 신광영, ▼e▼0 AUTH(211009)67483
700 1 ▼a 유홍준, ▼e▼0 AUTH(211009)55080
700 1 ▼a 김미숙, ▼e▼0 AUTH(211009)12528
700 1 ▼a 정성호, ▼e▼0 AUTH(211009)76013
900 1 0 ▼a 기든스, 앤서니, ▼e
900 1 0 ▼a 서튼, 필립,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1172226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29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117318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117334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212340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212345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310496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513250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1172226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29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117318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117334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212340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212345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310496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1 2014z4 등록번호 1513250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989년 초판 출간 이후 25년간 시대 상황의 변화와 학문적 성장에 따라 새로운 내용을 담아내 사회학 개론서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현대사회학』 일곱 번째 개정판이다. 이번에도 세계적인 지성이자 사회학계의 권위자인 앤서니 기든스의 새로운 이론과 변화를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을 느낄 수 있다.

제7판은 최근의 지구적 변화와 사회학에서의 새로운 견해들을 고려해 수정되었다. 새로운 미디어와 온라인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끊임없는 혁신과 위기에 휩싸인 세계 금융, 유럽의 실직과 파업, 폭동 그리고 중동, 북아프리카의 혁명의 물결 등을 담고, 새로운 사회학 이론들을 소개했다. 시각적 자료 또한 풍부하게 추가했다.

사회학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연 사회학 개론서 『현대사회학』 7판

세계적인 지성이자 사회학계의 권위자인 앤서니 기든스가 새로운 시대의 변화와 학문적 성장에 따라 새로운 내용을 담아내 사회학 개론서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현대사회학』 7판이 을유문화사에서 출간되었다. 이번 개정판에는 6판에도 큰 기여를 한 필립 서튼이 집필에 참여하여 그의 연구 관심사와 강의 경험으로 새로운 상호작용을 만들었다. 또한 본문 내용을 다시 생각하고 적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대폭 강화하고, 이론과 일상생활을 연결하면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부분을 신설했다.


세계 지성들이 격찬한 최고의 사회학 교과서 2014년 개정증보판

1989년 초판 출간 이후 25년간 시대 상황의 변화와 학문적 성장에 따라 새로운 내용을 담아내 사회학 개론서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현대사회학』 일곱 번째 개정판이다. 이번에도 세계적인 지성이자 사회학계의 권위자인 앤서니 기든스의 새로운 이론과 변화를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을 느낄 수 있다.
제7판은 최근의 지구적 변화와 사회학에서의 새로운 견해들을 고려해 수정되었다. 새로운 미디어와 온라인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끊임없는 혁신과 위기에 휩싸인 세계 금융, 유럽의 실직과 파업, 폭동 그리고 중동, 북아프리카의 혁명의 물결 등을 담고, 새로운 사회학 이론들을 소개했다. 시각적 자료 또한 풍부하게 추가했다.
이번 개정판은 사회학적 상상력을 넓혀 사회학을 배우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구성을 더하여 더 상호적이며,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게 만들었다. 글 상자 시리즈가 대폭 강화되었던 제6판의 <고전적 연구>는 계속 유지하며 사회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와 이론들을 소개한다. 더불어 <비판적으로 생각하기>와 <세계 사회>도 그대로 이어간다. 각 장의 주제를 예시하거나 확장하기 위해 만든 <사회학적으로 상상하기>의 용어 해설을 확장했고, 여기에 이번 개정판에서는 본문 내용을 다시 생각하고 적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대폭적으로 강화했다. 각 장 마무리 부분에 '사회학적 워크숍'을 만들어 기존의 <더 읽을 거리>를 보완하고 유용한 자료를 살필 수 있는 관련 홈페이지들을 소개하면서 <복습>, <실제 연구>, <생각해 볼 것>, <예술 속의 사회>를 더해 학생과 독자들의 참여를 보다 능동적으로 유도했다. 이 부분들은 ‘이론은 추상적이고 삶과 거리감이 있어 이해하기 힘들다’는 학생들에게 실제 사건, 신문 기사, 영화나 예술작품 등을 통해 이론과 일상생활의 구분을 넘는 다리를 만들어 주었다. 또한 6판에도 큰 기여를 한 필립 서튼이 이번 7판 집필에 참여하여 그의 연구 관심사와 강의 경험으로 새로운 상호작용을 만들었다.

[신설된 부분의 특징]
<복습>: 각 장의 자료에 근거한 질문들을 통해 내용을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게 하고, 관점을 확장시킴
<실제 연구>: 사회학 연구 방법과 실제 연구에서의 적용(연구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음)
<생각해 볼 것>: 온라인 토론, 신문 기사 등을 통해 ‘이론’에 초점을 맞춰 삶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실제 사건에 직접적인 의미가 있는 이론적 요소를 선택하여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게 함
<예술 속의 사회>: 영화, TV프로그램, 소설, 예술작품, 음악 등을 통해 현대 사회생활이 예술 작품에 어떻게 재현되는지와 이러한 재현이 사회학적 연구에서 발견되는 것과 일치하는지 등을 살핌

[이 책의 특징]

한국을 비롯해 세계 수십 개국의 주요 대학 교재로 채택된 명저

1. 현대 사회학의 이론과 역사적 과정, 조사 연구, 분야별 주요 쟁점과 새로운 이론을 망라한 종합적인 개론서
2. 전공 학생을 위해 현대 사회학의 최신 이슈를 포한한 전문적 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
3. 사진과 그림, 일람표, 사례 연구, 심화 학습 코너(고전적 연구, 비판적으로 생각하기, 세계 사회, 사회학적으로 상상하기) 등 흥미로운 자료를 효과적으로 배치
4. 복습, 더 읽을 거리, 실제 연구, 생각해 볼 것, 예술 속의 사회,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해 이론과 실생활을 연결해 주며, 능동적인 참여 유도

이 책은 필요에 따라 순서에 상관없이 각 장을 따로 떼어 읽어도 하나의 완결된 구조로 손색없이 잘 짜여 있다. 장마다 개요와 소주제에 대한 본문 탐구에 이어 결론과 복습으로 마무리했고 여기에 덧붙여 더 깊은 사고와 여러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질문, 풍부한 자료 그리고 우리 주변의 일상생활이나 보고 즐기는 문화적인 것들에 이론을 접목시키는 부분을 신설해 흥미를 유도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끈다.

추상적인 이론에 그치지 않고 신문 기사, 온라인 토론 같은 구체적이고 와 닿는 예를 통해 생각과 개념, 이론들을 구체화시킬 수 있게 하고 최신의 예제와 이슈를 담아 현 사회의 흐름과 변화를 읽을 수 있게 하였다. 균형 잡힌 시각을 위한 고전적 사회학 이론은 물론이고 사회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와 이론에 새로운 쟁점과 이론들까지 담아 사회학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앤서니 기든스(지은이)

현대 사회학계의 세계적인 석학인 그는 사회 이론과 계층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다. 독일의 위르겐 하버마스와 함께 유럽 지성의 쌍벽을 이루며 ‘영국의 자존심’으로 불릴 만큼 대중적 지지와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는 거장이다. 특히 사회 이론 분야에서 유럽의 지적 전통과 현대적 흐름을 반영한 ‘사회 구조화 이론’으로 독자적인 이론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사회주의의 경직성과 자본주의의 불평등을 극복하는 ‘제3의 길’이라는 새로운 사회 발전 모델을 주창하였다. 이 ‘제3의 길’은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등 유럽을 이끄는 중도좌파 정치가들의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기든스는 고전 사회학자들의 이론을 검토하는 작업부터 현대성에 관한 논의에 이르기까지 사회 이론가로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세계적인 사회학자가 사회학 입문서를 쓴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기든스는 혼신의 힘을 다하여 이 책을 계속 보완하며 제8판에 이르렀다. 그의 저작은 전 세계 29개 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는데, 기든스 자신이 폴리티(Polity)라는 학술 전문 출판사를 공동 설립해서 매년 80여 권의 학술 서적을 간행하는 출판인이기도 하다. 영국 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으며(1959),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76). 영국 레스터대학교 사회학 강사(1961~1970), 케임브리지대학교 강사와 교수(1970~1997)를 거쳐 런던정치경제 대학교 학장(1997~2003)을 역임했다. 현재 런던정치경제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자본주의와 현대 사회 이론』(1971), 『선진 사회의 계급 구조』(1973), 『사회학 방법의 새로운 규칙』(1976), 『사적 유물론 비판』(1981), 『민족 국가와 폭력』(1985), 『근대성의 결과』(1990), 『근대성과 자아 정체성』(1991), 『친밀성의 변동: 현대 사회의 성, 사 랑, 에로티시즘』(1992),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1994), 『사회학의 변론』(1996), 『제3의 길: 사회 민주주의 쇄신』(1998), 『노동의 미래』(2002)가 있다.

김용학(옮긴이)

미국 시카고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연세대 제18대 총장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 명예교수이자, SK텔레콤 사외이사와 삼성생명 공익재단 이사로 재임 중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사회 연결망 이론과 사회 연결망 분석을 연구했으며,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교육부 대학 설립위원회, 교육부 BK 기획위원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부편집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Sage에서 출간하는 〈Rationality and Society〉 국제편집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분석》(개정 3판)과 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이론》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사회의 빛과 그늘》, 《사회구조와 행위》(개정 3판), 《비교사회학》 등이 있다.

박길성(옮긴이)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사회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어 문과대학장, 대학원장, 교육부총장을 역임하였다. 미국 유타 주립대 겸임교수를 지냈으며, 세계한류학회 회장과 한국사회학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호암상위원회 위원이며, 지속 가능미래를 위한 사회협력 네트워크 대표를 맡고 있다.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 《사회는 갈등을 만들고 갈등은 사회를 만든다》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세계화: 자본과 문화의 구조변동》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in South Korea: From Financial Crisis to K-pop》 외 다수의 국내·외 책을 출간하였다.

송호근(옮긴이)

한림대 석좌교수, 도헌학술원 원장. 전 서울대 및 포스텍 석좌교수.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이자 칼럼니스트. 주요 저서로 한국 현대의 기원을 탐구한 《인민의 탄생》, 《시민의 탄생》, 《국민의 탄생》 3부작, 한국 사회를 다각도로 진단한 《열린 시장 닫힌 정치》, 《한국의 평등주의, 그 마음의 습관》, 《한국의 의료체제》, 《그들은 소리 내 울지 않는다》, 《나는 시민인가》, 《혁신의 용광로》 등과 소설 《강화도》, 《다시, 빛 속으로》, 《꽃이 문득 말을 걸었다》 등이 있다.

신광영(옮긴이)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불평등, 노동과 복지를 비교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한국사회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계급과 노동운동의 사회학』,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공저), Precarious Asia: Global Capitalism and Work in Japan, South Korea, and Indonesia(공저)(*영어 부분은 이탤릭체로 해주세요.) 등이 있다.

유홍준(옮긴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부룩)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학부대학 학장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 『조직사회학』, 『직업사회학』, 『신경제사회학』(공저), 『현대중국사회』(공저), 『산업사회학』(공저), 『사회문제』(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현대중국사회계층』, 『현대중국경제사회조사』, 『사회조사방법론』(공역), 『소비의 사회학』(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직업 지위 지수」, 「Occupational Structure in China and Its HRD Policy Implications」, 「잡매칭(job matching)이 청년층 노동시장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 대졸 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성과」, 「직무 만족과 이직 의사의 행태학적 결정 요인」, 「한국 제약 산업의 시장 구조에 대한 신경제사회학적 분석」, 「조직 구조의 결정 요인 분석」 등이 있다.

김미숙(옮긴이)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지은 책으로 『지방화·정보화 시대의 여성』, 『우리 시대 이혼 이야기』(공저), 『21세기 지역사회의 갈길: 청주시의 경우』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생명 공학에 대한 여성학적 비판』, 『성의 사회학』(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산업 고도화와 한일 여성 노동력 성격 변화」, 「한국 여성 노동력의 성격 변화와 노동 정책: 1960~2000」, 「김대중 정권의 가족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일본 산업 혁명기 여성 노동: 방적업의 경우」, 「참여정부의 가족 정책 성격」, 「중소도시 중년 비혼 여성의 생활세계: 청주시 경우」 등이 있다.

정성호(옮긴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올버니)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강원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지은 책으로 『중년의 사회학』, 『20대의 정체성』, 『화교』, 『유대인』, 『한국 전쟁과 사회 구조의 변화』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도시 사회학 연구 동향」,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 배경과 실제」, 「해외 한인의 지역별 특성」, 「외국인 노동자가 한국 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파장」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옮긴이 서문 = 5
제7판 서문 = 7
이 책에 대하여 = 9
1.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이 장에서는 무엇을 하나 = 26
 사회학적 상상력 = 28
  사람과 사회에 대해 공부하기  
 사회학적 사고의 발달 = 32
  이론과 이론적 시각  
  사회학의 창시자들  
  사회학의 이론적 전통들  
  분석의 수준 : 미시사회학과 거시사회학  
 사회학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 49
  공공사회학과 전문 사회학  
 결론 = 51
2. 사회학적으로 묻고 답하기  
 연구 대상으로서의 인간과 윤리적 문제 = 59
 사회학적으로 질문하기 = 61
  사회학은 과학적인가?  
 원인과 결과 이해하기 = 69
  인과성과 상관성  
 연구 방법을 통해 사회학적으로 답하기 = 72
  민속지학  
  설문 조사  
  실험  
  생애사 연구  
  비교 연구  
  역사적 분석  
  비교역사 연구  
  시각적 사회학  
  연구 도구로서의 인터넷  
 실제 세계에서의 연구 = 83
  사회학은 당연한 것을 그럴 듯하게 말하는 것에 불과한가?  
  사회학의 영향  
3. 사회학의 이론과 관점  
 사회학을 향하여 = 94
  실증주의와 사회 진화  
  카를 마르크스 : 자본주의 혁명  
 사회학의 확립 = 98
  에밀 뒤르켐 : 실제의 사회적 층위  
  막스 베버 : 자본주의와 종교  
 지속되는 이론적 딜레마들 = 108
  사회 구조와 인간 행위  
  합의 대(對) 갈등  
 사회의 변형 그리고 사회학  
  페미니즘 그리고 남성 주류의(malestream) 사회학  
  탈식민주의적 사회학?  
  후기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티  
  세계화, 위험 그리고 자연의 '복수'  
  울리히 벡 - 위험 시대의 생태 정치  
 결론 : 발전 도상의 사회학 이론 = 126
4. 세계화와 사회 변동  
 사회의 유형들 = 136
  사라지고 있는 세계  
  근대성과 산업화된 사회들  
  인류 세계의 재형성  
 사회 변혁 = 147
  경제 발전  
  사회-문화적 변화  
  정치 조직  
 세계화 = 150
  세계화의 요소들  
  회의적인 목소리들  
  세계화의 결과  
 결론 : 글로벌 거버넌스를 향해서 = 170
5. 환경  
 자연, 환경 그리고 사회 = 179
  자연과 환경  
  사회학과 환경  
 환경 문제 = 184
  오염과 폐기물  
  자원 고갈  
  식량 부족과 유전자 변형 작물  
  지구온난화  
 사회학적 이론과 지속 가능한 사회 = 206
  소비주의와 환경 피해  
  성장의 한계와 지속 가능한 개발  
  전 지구적 '위험 사회'에서의 삶  
  생태학적 근대화  
  환경 정의와 생태학적 시민권  
 결론 = 218
6. 도시와 도시 생활  
 도시성에 관한 이론 = 225
  시카고학파  
  도시 공간, 도시 감시 그리고 도시 불평등  
  사회운동과 집합적 소비  
 도시의 발달 = 236
  전통 사회의 도시  
  산업화와 도시화  
  현대 도시의 발달  
  선진 사회의 도시 추이  
  개발도상국의 도시화  
 도시와 지구촌화 = 251
  글로벌 도시  
  도시와 환경  
 결론 : 도시와 전 지구적 관리 = 261
7. 일과 경제  
 위기의 글로벌 경제 = 269
 경제사회학 = 272
  테일러리즘과 포디즘  
  포스트포디즘  
 일의 변화하는 특성 = 279
  일이란 무엇인가?  
  사회적으로 일이 조직화되는 방식  
  노동조합의 쇠퇴?  
  성과 '일의 여성화'  
  가사 노동 분업의 변화  
  자동화와 '숙련'논쟁  
 일의 사회적 중요성 = 305
  고용 불안정의 증가?  
  실업  
 결론 : 유연성과 '일의 성격 변질 = 314
8.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상생활  
 왜 일상생활을 연구하는가? = 323
 비언어적 의사소통 = 325
  얼굴 표정, 몸짓과 감정  
  성과 몸  
  구현과 정체성  
 상호작용에서의 얼굴, 신체와 말 = 330
  마주침  
  인상 관리  
  개인 영역  
 상호작용의 사회적 규칙 = 338
  공유된 이해  
  상호작용적 반달리즘  
  반응 외침  
 시간과 공간에서의 상호작용 = 344
  공간과 시간의 배치  
  문화적, 역사적 관점에서의 일상생활  
  사이버 공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결론 : 친근성의 강요 = 350
9. 생애과정  
 사회적 자아와 사회화 = 360
  아동 발달 이론들  
  사회화 기관  
 젠더 사회화 = 367
  젠더 학습  
  사회학적 논쟁  
 생애과정 = 371
  아동기  
  10대와 청년 문화  
  초기 성인기  
  노련한 중년기  
  노년기  
 연로함 = 379
  인간 사회의 노령화  
  사람들은 어떻게 나이를 먹고 늙어 가는가?  
  노인 되기 : 여러 상반된 사회학적 설명들  
  연로함의 여러 측면들  
  연로함의 정치학  
 죽음, 임종 및 사별 = 397
  죽음과 임종의 사회학  
  현대 사회에서 죽음의 이론화  
  진행 중인 담론들  
10. 가족과 친밀한 관계  
 기본 개념들 = 412
 역사적 맥락 속의 가족 = 414
  가족생활의 발달  
  결코 함께하지 않았던 길? '전통적'가족 신화  
  지구적 맥락에서 가족  
 가족과 가구에서의 다양성과 변화 = 420
  가족 유형의 발달과 다양성  
  이혼과 별거  
  새로운 파트너 관계와 계부모 가족 및 친족관계  
 젠더 불평등과 가족생활의 '어두운 면' = 445
  직장과 돌봄의 균형 잡기  
  친밀한 관계 사이의 폭력  
 가족과 친밀 관계에 대한 이론적 관점들 = 452
  기능주의  
  여권주의자 접근들  
  사랑과 친밀감의 변화상  
 결론 : 가족 가치? = 459
11. 건강, 질병, 장애  
 몸의 사회학 = 469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472
  건강의 정의  
  의료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  
  변화하는 세계의 의학과 건강  
  지구적 관점에서 본 HIV와 에이즈  
  건강과 질병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들  
 건강의 사회적 토대 = 488
  계급과 건강  
  젠더와 건강  
  인종과 건강  
  건강과 사회 결속  
 장애의 사회학 = 495
  장애의 개인 모형  
  장애의 사회 모형  
  전 세계의 장애  
 변화하는 세계의 건강과 장애 = 503
12. 계층과 계급  
 계층 체계 = 511
  노예 제도  
  카스트 제도  
  신분 제도  
 사회계급 이론화 = 516
  카를 마르크스의 계급 갈등 이론  
  막스베버 : 계급, 지위 그리고 파벌  
  마르크스와 베버 결합하기  
  교차하는 불평등  
 계급의 측정 = 521
  존 골드소프의 계급 모형 평가하기  
 현대 선진국 계급 분화 = 526
  상층 계급 문제  
  성장하는 중간 계급  
  변화하는 노동 계급  
  최하층 계급은 존재하는가?  
  계급과 생활양식  
  젠더와 계층  
 사회 이동 = 540
  사회 이동에 대한 비교론적 연구  
  하강 이동  
  영국의 사회 이동  
  젠더와 사회 이동  
  영국은 능력 중심 사회인가?  
 결론 : 사회계급의 지속 = 548
13. 빈곤, 사회적 배제, 복지  
 빈곤 = 555
  빈곤의 정의  
  빈곤의 측정  
  누가 빈곤층인가?  
  빈곤 설명하기  
  빈곤과 사회적 이동성  
 사회적 배제 = 575
  사회적 배제의 차원들  
  사회적 배제의 사례  
  범죄와 사회적 배제  
 복지 국가 = 582
  복지 국가에 관한 이론들  
  영국의 복지 국가  
 복지 국가의 불확실한 미래 = 591
14. 글로벌 불평등  
 글로벌 불평등의 언어 = 602
 글로벌 불평등 = 603
  경제 불평등 측정하기  
  글로벌 경제 불평등은 증가하고 있는가?  
  인간 개발 지수의 동향  
 불평등한 삶의 기회 = 610
  건강  
  기아, 영양실조 그리고 기근  
  교육과 문맹률 그리고 아동 노동  
 변화하는 인구 = 617
  인구 분석 : 인구학  
  인구 변화의 동학  
  인구 전환  
 빈국들은 부유해질 수 있는가? = 624
  발전 이론  
  발전 이론 평가하기  
  국제기구와 글로벌 불평등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글로벌 불평등  
 21세기 평등에 관한 전망 = 643
15. 젠더와 섹슈얼리티  
 남성과 여성 - 선천적으로 다른가? = 651
  생물학과 성적 취향  
  섹슈얼리티와 성적 행동 연구하기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사회적 구성 = 660
  섹슈얼리티, 종교 그리고 도덕성  
  섹슈얼리티의 유형  
  젠더 사회화  
  젠더 질서  
  섹슈얼리티와 시민권  
 젠더 불평등론 = 678
  기능론적 관점  
  여권주의자 관점  
  퀴어 이론  
 젠더와 성노동 = 687
  지구적 '성 산업'  
  매매춘과 성노동  
 여권 운동 = 692
16. 종교  
 종교의 사회학적 연구 = 703
  종교란 무엇인가  
  고전 사회학에서의 종교  
  세속화 테제  
  세속화를 넘어서?  
 세계 종교와 종교 단체 = 719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극동 지역의 종교  
  종교 단체  
 현대 종교 추이 = 727
  유럽에서의 종교  
  미국에서의 종교  
  기독교, 젠더 그리고 섹슈얼리티  
  종교적 근본주의  
 결론 = 742
17. 미디어  
 세계화 시대의 미디어 = 752
  디지털 혁명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텔레비전  
 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관점 = 768
  기능주의  
  상징적 상호작용  
  포스트모던 이론  
 시청자와 미디어 재현 = 779
  시청자 연구  
  계급, 젠더, 인종과 장애의 재현  
 글로벌 미디어 통제 = 782
  미디어 제국주의?  
  미디어 거대 기업의 소유권  
  지구적 미디어에 대한 저항과 대안  
 결론 = 792
18. 조직과 네트워크  
 조직 = 801
  관료제로서의 조직  
  시간과 공간의 조직적 통제  
  전 세계에 걸친 조직  
  경제 조직  
 관료제를 넘어서? = 823
  조직의 변화 : 일본식 모델  
  경영 방식의 변화  
  경영 관행 연구하기  
 네트워크 연구 = 831
  사회적 네트워크  
  네트워크와 정보 기술  
  사회적 자본 : 서로를 묶어주는 연계  
  새로운 사회적 연계?  
 결론 = 840
19. 교육  
 교육의 중요성 이론화하기 = 850
  사회화로서의 교육  
  자본주의를 위한 학교 교육  
  숨겨진 교과 과정  
  교육과 문화 재생산  
 사회 분할과 교육 = 861
  IQ 논쟁  
  젠더와 학교 교육  
  인종과 교육  
 세계적 맥락에서의 교육 = 875
  세계의 초등 교육 등록률  
  읽고 쓰기 교육과 문맹  
  변화하는 교육  
 교육의 미래 = 882
  교실 안의 기술  
  정보화 시대의 고등교육  
 결론 = 886
20. 범죄와 일탈  
 기본 개념 = 896
 범죄와 일탈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들 = 897
  기능주의 이론  
  상호작용론  
  갈등 이론과 신범죄학  
  통제 이론  
  이론적 결론  
 범죄의 희생자와 가해자 = 911
  젠더, 성과 범죄  
  청년과 범죄  
  화이트칼라 범죄  
 교도소와 처벌 = 920
  교도소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회복적 정의  
 지구적 맥락에서의 범죄 = 924
  조직범죄  
  사이버 범죄  
 결론 : 범죄, 일탈과 사회질서 = 928
21. 정치, 정부, 사회운동  
 정치 사회학 = 937
  권력  
  권위주의 정치와 민주주의 정치  
 민주주의의 지구적 확산 = 944
  공산주의의 붕괴  
  민주화와 그 불만  
  영국 정당 정치의 과거와 현재  
  지구적 거버넌스  
 사회운동과 사회 변화 = 960
  사회운동이란 무엇인가?  
  사회운동에 관한 이론들  
  세계화와 '사회운동 사회'  
 결론 = 973
22. 민족, 전쟁, 테러리즘  
 민족과 민족주의 = 985
  민족주의와 근대사회  
  국가 없는 민족  
  개발도상국에서의 민족과 민족주의  
  민족국가, 민족 정체성, 세계화  
 갈등, 전쟁, 제노사이드 = 994
  전쟁과 제노사이드를 이론화하기  
  변화하는 전쟁의 성격  
  과거의 전쟁과 새로운 전쟁  
  평화 협상 과정  
 테러리즘 = 1006
  테러리즘이란 무엇인가?  
  과거의 테러리즘과 새로운 테러리즘  
 결론 = 1012
참고문헌 = 1019
찾아보기 = 1081
이미지 출처 = 109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