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내 생의 한 획, 백남준 : 어느 문화예술행정 전문가의 회상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천호선
Title Statement
내 생의 한 획, 백남준 : 어느 문화예술행정 전문가의 회상 / 천호선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눈빛,   2014  
Physical Medium
232 p. : 삽화, 초상화 ; 23 cm
ISBN
9788974094225
주제명(개인명)
백남준   白南準,   1932-2006  
000 00647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806852
005 20140808162411
007 ta
008 140807s2014 ulkac 000c dkor
020 ▼a 9788974094225 ▼g 03630
035 ▼a (KERIS)BIB000013529858
040 ▼a 211015 ▼d 211009
082 0 4 ▼a 700.92 ▼2 23
085 ▼a 700.92 ▼2 DDCK
090 ▼a 700.92 ▼b 2014
100 1 ▼a 천호선 ▼0 AUTH(211009)78891
245 1 0 ▼a 내 생의 한 획, 백남준 : ▼b 어느 문화예술행정 전문가의 회상 / ▼d 천호선 지음
260 ▼a 서울 : ▼b 눈빛, ▼c 2014
300 ▼a 232 p. : ▼b 삽화, 초상화 ; ▼c 23 cm
600 1 4 ▼a 백남준 ▼g 白南準, ▼d 1932-2006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92 2014 Accession No. 1117220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천호선(지은이)

현 ‘컬쳐리더인스티튜트’ 원장. 전 뉴욕문화원 초대 문정관을 역임, 현대무용의 거장 머스 커닝햄([굿모닝 미스터 오웰]에도 등장)무용단 후원회장 바바라 툴의 소개로 백남준 접촉 시도에 성공, 1981년 뉴욕 전위예술의 산실 ‘키친 센터’에서 열린 백남준 퍼포먼스 [Life's Ambition Realized]에서 처음 그를 만나 25년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휘트니미술관 회고전(2000), ‘코리안 아메리칸 센서빌리티’(미국 교포작가 초청 전시회),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 국립국악원 아시아소사이어티 백남준 초청 공연(1982), 1984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 준비 과정 행정적 지원, 백남준의 동료 존케이지와 머스 커닝햄 세종문화회관 공연(1984년) 추진, 문화부 문화예술국장 재직 당시 아시아 최초 ‘서울 플럭서스’ 한국 유치(1993)와 ‘바이바이키플링’ 측면 지원(1986),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다다익선’ 의 백남준과 김원의 참여 성사, , “백남준의 한국 정착”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 5
Ⅰ. 회상
 1. 설악산을 내려오다 = 15
 2. 뉴욕 한국문화원 문정관으로 일하다 = 25
 3. 뉴욕에서 백남준을 만나다 = 39
 4. 백남준의 우주 오페라 삼부작에 힘을 보태다 = 49
 5. 백남준에게〈다다익선〉을 제안하다 = 67
 6. 플럭서스 페스티벌을 서울에 유치하다 = 73
 7. 백남준의 한국 프로젝트에 참여하다 = 97
 8. 구겐하임의《백남준의 세계》전을 참관하다 = 114
 9. 마라톤을 시작하다 = 126
Ⅱ. 단상(논고ㆍ인터뷰)
 논고
  새로운 문화예술 공간의 방향 = 147
  한국도자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모색하며 = 158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구조 이론과 영화〈죽은 시인의 사회〉 = 166
  영화〈파이〉의 내용 전개와 테크노 음악의 역할 분석 = 178
  유럽의 예술영화와 할리우드 상업성의 협력관계 분석 = 193
  영화〈서편제〉에 나타난 과거지상주의적 요소 = 203
 인터뷰
  작가와의 대화 = 212
  문화의 위기, 그리고 미술과 정치의 커뮤니케이션 = 22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