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카카오 : 신들의 양식, 인간의 욕망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Durry, Andrea Schiffer, Thomas, 저 조규희, 역
서명 / 저자사항
카카오 : 신들의 양식, 인간의 욕망 / 안드레아 더리, 토마스 쉬퍼 지음 ; 조규희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자연과생태,   2014  
형태사항
447 p. : 삽화, 도표 ; 23 cm
총서사항
역사를 바꾼 물질 이야기 ;5
원표제
Kakao Speise der Gotter
ISBN
9788997429424
일반주기
부록: 카카오의 이름과 재배지역, 카카오의 재배지역과 확산 경로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31-444
000 00957namcc2200313 c 4500
001 000045806745
005 20140808093116
007 ta
008 140807s2014 ulkad b 000c kor
020 ▼a 9788997429424 ▼g 03900
040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641.3374 ▼2 23
085 ▼a 641.3374 ▼2 DDCK
090 ▼a 641.3374 ▼b 2014
100 1 ▼a Durry, Andrea ▼0 AUTH(211009)76598
245 1 0 ▼a 카카오 : ▼b 신들의 양식, 인간의 욕망 / ▼d 안드레아 더리, ▼e 토마스 쉬퍼 지음 ; ▼e 조규희 옮김
246 1 9 ▼a Kakao Speise der Gotter
260 ▼a 서울 : ▼b 자연과생태, ▼c 2014
300 ▼a 447 p. : ▼b 삽화, 도표 ; ▼c 23 cm
440 0 0 ▼a 역사를 바꾼 물질 이야기 ; ▼v 5
500 ▼a 부록: 카카오의 이름과 재배지역, 카카오의 재배지역과 확산 경로
504 ▼a 참고문헌: p. 431-444
700 1 ▼a Schiffer, Thomas, ▼e▼0 AUTH(211009)14461
700 1 ▼a 조규희, ▼e▼0 AUTH(211009)109138
900 1 0 ▼a 더리, 안드레아, ▼e
900 1 0 ▼a 쉬퍼, 토마스,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41.3374 2014 등록번호 1117221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역사를 바꾼 물질 이야기> 시리즈 다섯 번째 주제는 카카오다. 이 책은 대중에게 사랑받는 기호식품 초콜릿과 그 원재료인 카카오 사이의 간극을 역사·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심도 있게 다루었다. 카카오는 초콜릿의 화려한 이미지와는 달리 스페인의 중앙아메리카 식민 지배와 원주민 학살, 노예 노동, 열악한 재배 환경과 재배농민의 비참한 현실 등 역사의 어두운 이면과 맥을 같이 하는 물질이다.

본문은 크게 식물 자체로서의 카카오와 재배 방법/ 카카오 재배농민의 현실과 공정무역/ 카카오의 기원과 메소아메리카 역사/ 유럽 초콜릿 문화사로 나뉜다. 시리즈의 특성답게 한 주제를 다각도로 조명했다는 점, 간결하고 편안한 글투로 독자의 흥미를 끌어낸다는 점에서 잘 만들어진 잡지 같다. 순서대로 읽으면 카카오의 변천사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기에 좋지만, 관심도에 따라 주제별로 읽어도 무방하다.

혀끝에서 사르르 녹아 사라지는 초콜릿의 달콤함뿐 아니라, 그 이면에 숨겨진 쌉싸래함의 무게도 느끼게 해주는 책이다. 초콜릿과 미시사를 좋아하는 이에게는 울림이 있는 흥미를 선사할 것이고, 초콜릿과 공정무역에 관한 전문적인 내용을 원하는 이에게는 바이블이 될 것이다.

파란만장한 초콜릿 문화사
세상에서 가장 매혹적인 물질, 카카오


당신은 제게 호의를 갖고 있군요.
제가 준 작은 선물에도 미소를 짓네요.
당신 마음에 든다면야
더 큰 초콜릿도 드리지요.

1823년, 괴테가 울리케 폰 레페초프에게 보낸 시 중에서

‘카카오’를 초콜릿의 원재료로만 여기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시간을 거슬러 오르면, 카카오는 신에게 바쳐지던 값진 제물이자 권력층만이 맛볼 수 있던 부의 상징이었고, 화폐로도 통용되던 귀한 물질이었다. 그 탓에 카카오의 역사는 인류 욕망의 역사와도 점철된다.
이 책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기원해, 오늘날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초콜릿이 되기까지의 카카오의 변천사를 다룬다. 중앙아메리카의 깊숙한 열대우림에서만 자라던 카카오가 어떻게 유럽과 북아메리카, 아시아로 건너왔는지, 그 파란만장한 여정을 알알샅샅이 살핀다. 또한, 그 과정에서 일어난 스페인의 중앙아메리카 침략과 원주민 문명 파괴, 노예 노동과 오늘날까지도 이어지는 열악한 재배환경, 불평등한 무역 현실 등 카카오 잔혹사도 깊이 파고든다.
한편,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대중화된 카카오의 변신에도 주목한다. 오랫동안 마시는 식품이었던 카카오가 씹어 먹는 초콜릿으로 바뀌는 과정을, 산업화로 말미암은 초콜릿 제조기술의 발달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더불어 배타적인 초콜릿 산업을 공정하게 바꾸려는 여러 기업·단체의 활동을 상세히 예로 들며, 현재 초콜릿 산업의 현실과 방향성을 조명한다.
아직 한 번도 지면에 발표되지 않은 그림과 자료를 통해 카카오 및 초콜릿과 관련한 여러 시대의 논의와 사회적 분위기, 에피소드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내 제대로 책 읽는 맛이 난다. 한편, 카카오 재배농민 대부분은 초콜릿의 맛을 모르며, 심지어는 카카오로 무엇을 만드는지조차 모른다는 현실도 가감 없이 전달하므로, 소비자로서 초콜릿을 다시 바라보게 된다. 카카오 재배농민의 여건이 달콤해야지만 우리가 사먹는 초콜릿도 진짜 달콤한 것일 테다.

세계적 거장들이 사랑한 ‘신들의 양식’

생물분류학을 창시한 칼 폰 린네는 카카오의 속명을 테오브로마(Theobroma)라고 명명했다. ‘신들의 양식’이라는 뜻이다. 독일의 문호 괴테는 매일 아침 초콜릿 음료를 마시며 하루를 시작했다. 여행을 떠날 때도 초콜릿을 빠뜨리지 않았으며, 초콜릿을 제대로 즐기고자 당시 상당히 값비쌌던 초콜릿 잔도 서슴없이 구입했다. 또한, <마리엔바트의 비가>로 잘 알려진 울리케 폰 레페초프의 마음을 사려고 지은 시에도 초콜릿이 등장한다. 찰스 디킨스, 토마스 만,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등도 대단한 초콜릿 애호가로 알려진다.

화려한 초콜릿의 참혹한 민낯, 카카오
카카오 원산지로 알려지는 메소아메리카에서 카카오는 지배자, 귀족층만 즐길 수 있던 고급 음료이자 사치품이었다. 또한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기도 했으며, 중요한 지불 수단으로도 쓰였다. 중앙아메리카를 침략한 스페인 정복자들 역시 종교·경제적으로 중요한 카카오의 가치를 알아보고, 재산으로 소유했다. 상대적으로 카카오를 늦게 접한 다른 유럽 나라들에서도 반응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가진 자의 욕망은 더욱 견고하게 카카오를 배타적 물질로 만들었다. 한마디로 카카오는 부의 상징이었다.
카카오의 명성이 드높아지고, 그 모습이 화려해질수록 카카오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들, 즉 재배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비참해져갔다. 스페인 식민 지배 하에서 중앙아메리카 재배농민들은 공물로 바쳐야 하는 카카오 양이 너무 많아, 카카오를 재배하는 데만 기력을 쏟을 수밖에 없었다. 결국 생존도 보장받지 못하는 열악한 재배환경에서 수많은 농민이 희생되었다. 아메리카에서 카카오를 재배할 인력이 거의 사라지자, 스페인 정복자들은 이들을 대신할 노동력을 아프리카에서 찾았다. 이는 세계사에서 가장 끔찍하고 잔인한 노예무역으로 이어졌다.

사치품 카카오, 산업화의 바람을 타고 대중의 소비품이 되다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혁명은 배타적인 초콜릿 산업에도 근대적인 바람을 불어넣었다. 제조기술이 발달하며 초콜릿 또한 대량생산이 가능해졌다. 에로틱하고 호화로운 귀족의 음료 카카오는 누구나가 맛볼 수 있는 대중적 기호식품이 되었다. 성격이 달라지니 형태도 변했다. 과거, 귀족들이 값비싼 전용 잔에 따라 마시던 초콜릿 음료는 맨손으로도 먹을 수 있는 판형 초콜릿, 초콜릿 바 등으로 변했다.

여전히 초콜릿은 달콤 ‘쌉싸래’하다
옛날에 비하면 오늘날의 카카오는 분명 대중적인 물질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초콜릿은 모두에게 달콤한 물질은 아니다. 제일 큰 문제는 옛날과 별반 달라지지 않은 카카오 재배환경이고, 재배농민들의 삶이다. 이런 불평등을 해소하려면 재배농민의 생활환경과 수준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 세계적으로 공정무역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 단체와 기업도 증가하는 추세지만, 여전히 현실은 녹록치 않다. 현재 초콜릿 산업 역시 몇몇 대기업에 의해서 움직인다는 것을 감안하면, 대기업의 적극적인 태도 변화와 정치권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안드레아 더리(지은이)

사회학, 아프리카학, 민족학을 공부했으며, 현재 쾰른 초콜릿박물관의 큐레이터로 활동 중이다.

토마스 쉬퍼(지은이)

역사학자. 수년간 쾰른 초콜릿박물관에서 활동했으며, 현재는 전시기획 및 박물관 교육관련 일을 한다.

조규희(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파더본 대학교에서 독일노동문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독일문학과 정치, 독일어를 강의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카카오: 신들의 양식, 인간의 욕망』, 『낭만주의: 판타지의 뿌리』(공역), 논문은 「독일 노동문학의 역사와 현재적 의미」, 「서독의 68운동과 문화혁명」, 「노동의 서사화: 브레히트 서사극과 그 이후」, 「게으름의 권리: 근대 독일소설에 나타난 노동거부 담론」, 「노동을 통한 자기실현이 불가능한 세대의 문학」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저자 서문 = 6
1장 식물 카카오 = 17
 칼 폰 린네와 신들의 양식 = 19
 열대우림 깊숙한 곳의 열매 = 24
 카카오, 까다롭지만 눈부시게 화려하다 = 29
2장 기르고 거두다 = 37
 카카오의 변종들 = 40
 카카오와 전 세계 재배지역 = 44 
 카카오는 타고난 환경보호식물? 삼림농법 vs. 단일재배 = 49
 위험에 처한 카카오 = 52
 카카오 유치원 = 61
 향기로운 카카오 원두에 이르는 긴 여정 = 66
3장 카카오와 살아가기 = 77
 카카오 재배농민의 일용할 양식 = 79
 아동노동, 카카오 재배의 어두운 면 = 82
 아동노동을 반대하다 = 85 
 작은 프로젝트 큰 효과 = 93 
 새로운 길에서 내딛는 첫 걸음, 공정한 초콜릿 산업 = 97
4장 카카오, 세계무역 품목 = 103
 값진 화물, 카카오의 머나먼 여정 = 105
 유럽 항구에 카카오가 도착하면 = 114
 시험대에 오른 고급 상품 카카오 = 118 
 소농에서부터 대형 기업까지, 국제 카카오시장 = 122
 위험한 매력, 거래소에서의 카카오 = 128
 공정거래, 낮은 수준의 성장 = 132
5장 카카오에서 초콜릿이 되다 = 143
 달콤한 향유를 위한 값진 성분들 = 145
 더 빛나고 부드럽게! 초콜릿 제작 공정 = 155 
 다양한 갈색, 주요 초콜릿 제품들 = 162
 오감을 자극하는 초콜릿 즐기기 = 168
 초콜릿을 먹으면 행복하지만 살이 찐다? = 170
 초콜릿의 세계, 점점 더 진기해지다 = 176
6장 카카오의 기원 = 185
 여전히 베일에 싸인 고도 문명, 올멕 = 192 
 카카오의 땅, 마야 = 196
 지배자의 음료 = 210
 선인장에 앉은 독수리, 아즈텍 = 217
 음료ㆍ약ㆍ화폐였던 카카우아틀 = 227
7장 카카오와 신세계 정복 = 239
 기이한 외지인, 스페인 정복자들 = 241
 고귀한 음료 초코아틀의 개선 행진 = 252
 식민지에서 들여오는 카카오, 잔인하게 이익을 창출하는 무역 = 262
8장 카카오, 유럽에 들어오다 = 279
 구대륙에 새로운 음료가 나타나다 = 281
 약제로서의 초콜릿 = 289
 초콜릿의 확산. 해적, 사제, 공주까지 = 300
 뜨거운 음료와의 첫 경험 = 312
 단식 음료로서의 초콜릿 = 315
9장 카카오의 호화로운 변신, 초콜릿 = 321
 초콜릿, 이국적이며 에로틱한 귀족의 음료 = 323
 초콜릿은 마실 때도 화려하게 = 331
 시민계급의 새로운 음료, 국가의 새로운 수입원이 되다 = 336
 초콜릿 하우스와 '악마의 학교' = 340
 괴테에서 토마스 만까지, 유명한 초콜릿 애호가들 = 343
 '증기 초콜릿'으로 가는 길 = 346
10장 초콜릿, 대중 속으로 들어가다 = 353
 사치품에서 소비품으로 변하다 = 355
 갈색 황금의 뒷면 = 357
 독일 식민지에서 온 카카오 = 365
 혁신의 시대, 초콜릿 생산의 산업화 = 370
 쉼 없이 일하며 위기를 즐기다, 초기의 초콜릿 기업가 = 379
 초콜릿 공장의 여성 노동 = 388
 초콜릿의 변신, 건강 초콜릿에서 학생 초콜릿까지 = 391
 위조품과의 전쟁 = 396
 달콤하게 유혹하라! 초콜릿 광고의 변천사 = 401
 초콜릿, 아이들의 친구가 되다 = 410
전망을 위한 회고 = 419
부록 = 426
 카카오의 이름과 재배지역 = 427
 카카오의 재배지역과 확산 경로 = 430
참고문헌 = 431
사진 및 그림 출처 = 445
감사의 말 = 447

관련분야 신착자료

키토제닉 다이어트 카페 (2023)
김경호 (2022)
DeSalle, Rob (2022)
뚝딱이형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