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책등에 베이다 : 당신과 내가 책을 꺼내드는 순간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로
Title Statement
책등에 베이다 : 당신과 내가 책을 꺼내드는 순간 / 이로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이봄 :   문학동네,   2014  
Physical Medium
231 p. : 천연색삽화 ; 20 cm
ISBN
9788954624404
000 00611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806370
005 20140804133547
007 ta
008 140516s2014 ggka 000c kor
020 ▼a 9788954624404 ▼g 03810
035 ▼a (KERIS)BIB000013477641
040 ▼a 241050 ▼c 241050 ▼d 241050 ▼d 211009
082 0 4 ▼a 028.1 ▼2 23
085 ▼a 028.1 ▼2 DDCK
090 ▼a 028.1 ▼b 2014z6
100 1 ▼a 이로
245 1 0 ▼a 책등에 베이다 : ▼b 당신과 내가 책을 꺼내드는 순간 / ▼d 이로
260 ▼a 파주 : ▼b 이봄 : ▼b 문학동네, ▼c 2014
300 ▼a 231 p. : ▼b 천연색삽화 ; ▼c 20 cm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14z6 Accession No. 1117218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28.1 2014z6 Accession No. 15132451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14z6 Accession No. 1117218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28.1 2014z6 Accession No. 15132451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로의 에세이. 이 책은 25종의 책들을 소재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첫 번째 책은 <꼬마 니꼴라> 3권이다. 그런데 장 자크 상페의 그림이 곁들여진 르네 고시니의 것이 아니라, 김모세가 구성하고 이규성이 그림을 그린 판본이다.

또한 한강의 소설 <내 여자의 열매>에 붙인 장 제목은 '이십대의 스포츠'이다. 뜬금없이 르 코르뷔지에의 <작은 집>과 술에 대한 만화 <스트레이트 온 더 락>을 한데 엮어 이야기하기도 한다. 책을 나열한 책이니, 독서일기라 생각한다면 추천사를 쓴 소설가 김중혁의 말대로 '미로'에 빠지고 만다.

저자는 서교동에서 작은 책방 '유어마인드'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이 책의 저자이지만, 동시에 수많은 책들의 충실한 독자이기도 했다. 훌륭한 독자가 저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책에 대한 책'을 쓰는 일일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 손쉬운 예상마저 보기 좋게 배신한다. 저자는 오히려 롤랑 바르트가 <저자의 죽음>에서 이야기한 "작가의 죽음의 대가로 우리가 얻는 것은 독자의 탄생이어야 한다"는 말에 충실하다.

저자는 롤랑 바르트의 말에 기대어 이 책을 쓴 것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지금까지 본 적 없는 아주 훌륭한 '독자의 탄생'을 목격하게 된다. 이 책은 저자가 소개하고 있는 책의 작가나 줄거리 소개는 물론이고 작품의 의미를 찾지 않는다. 심지어 각각의 책에서 엄청난 분량의 문장을 인용해놓았지만, 그 인용문들은 저자의 이야기 속에 스며들어버린다.

2014년 한국형 “독자의 탄생”
우리는 그 순간을 목격한다!

작가의 죽음과 진정한 독자의 탄생


이 책은 25종의 책들을 소재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첫 번째 책은 『꼬마 니꼴라』 3권이다. 그런데 장 자크 상페의 그림이 곁들여진 르네 고시니의 것이 아니라, 김모세가 구성하고 이규성이 그림을 그린 판본이다. 또한 한강의 소설 『내 여자의 열매』에 붙인 장 제목은 <이십대의 스포츠>이다. 뜬금없이 르 코르뷔지에의 『작은 집』과 술에 대한 만화 『스트레이트 온 더 락』을 한데 엮어 이야기하기도 한다. 책을 나열한 책이니, 독서일기라 생각한다면 추천사를 쓴 소설가 김중혁의 말대로 “미로”에 빠지고 만다.
저자는 서교동에서 작은 책방 ‘유어마인드’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이 책의 저자이지만, 동시에 수많은 책들의 충실한 독자이기도 했다. 훌륭한 독자가 저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책에 대한 책’을 쓰는 일일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 손쉬운 예상마저 보기 좋게 배신한다. 저자는 오히려 롤랑 바르트가 『저자의 죽음』에서 이야기한 “작가의 죽음의 대가로 우리가 얻는 것은 독자의 탄생이어야 한다"는 말에 충실하다.
저자는 롤랑 바르트의 말에 기대어 이 책을 쓴 것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지금까지 본 적 없는 아주 훌륭한 “독자의 탄생”을 목격하게 된다.
이 책은 저자가 소개하고 있는 책의 작가나 줄거리 소개는 물론이고 작품의 의미를 찾지 않는다. 심지어 각각의 책에서 엄청난 분량의 문장을 인용해놓았지만, 그 인용문들은 저자의 이야기 속에 스며들어버린다.
이런 식이다. 프로필에서 “짧은 분량의 작품들, 3분 30초의 음악, 콩트를 편애한다”고 밝힌 저자는 5장 <다 괜찮다 對 다 망한다>에서 게으르고 끈기 없고, 나태하기 때문이라고 눙친다. 하지만 “거대한 부분보다 사소한 전체”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기 때문이라는 분명한 이유를 댄다. 그러면서, 고등어 냄새라는 사소한 것에 대한 자신의 콩트와 화가 에드워드 호퍼에 대한 작가론도 아니고, 개인 에세이도 아닌 시인 마크 스트랜드의 <빈방의 빛>의 일부를 나란히 읽게 한다. 저자의 콩트와 저자가 인용한 책의 저자인 마크 스트랜드의 글은 설득력 있게 서로를 부추긴다.
훌륭한 독자만이 뽑아낼 수 있는 인용문들, 그것이 아주 사적인 인용문으로 재탄생하는 순간이다.
“독자의 탄생”은 책에서 저자가 아닌 ‘텍스트’만 따로 떼어와 자기 식으로 이야기를 상상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 상상을 그동안 위안의 도구로만 삼거나 리뷰라는 형식을 통해 지식 권력을 드러내는 데 그쳤다면, 이 책의 저자는 자기만의 글쓰기를 시도한 것이다. 진정한 “독자의 탄생”이다.
저자는 이 세상에서 책 속 드라마의 주인공도 아니고, 이름을 날리는 작가도 아닌 그저 이름 없는 독자에 불과한 우리가 어떻게 하면 새로운 “독자의 탄생”을 획득할 수 있는가를 모범적으로 보여준다.

독자의 탄생은 젊음의 전략이다
사실 롤랑 바르트가 말한 “독자의 탄생”은 저자에게 이미 당면한 과제였다. 단지 어떻게 탄생시킬 것인가의 문제가 남았던 것이다. 세상은 모든 것이 죽었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1981년생, 국문학도였던 저자에게 바로 앞 세대의 그림자는 너무 짙다.

자세한 이유까지는 몰라도 당시 국문과 아이들 사이에서 김영하의 존재는 우리가 하려고 했던 것을 먼저 한, 아주 치사한 작가처럼 받아들여졌다. 무지였고 질투였다. 나는 그가 어떤 표정으로 말하고 어떤 몸짓으로 이야기하는지 궁금했다. “우리 갈 길을 선점하시다니, 그런데 그 전략적 오토바이는 1인승입니까? 옆에 자리 없어요?” 물어보려 했던 것일까.
-<이십대의 스포츠>에서(39쪽)

또한 저자는 대학 시절부터 최근까지 세상으로부터 끊임없이 죽음을 선고 받았다는 말로 이 책을 시작한다. “인문학의 죽음, 문학의 죽음, 서점의 위기와 출판의 죽음.”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

수많은 유령들 사이에서 다시 떠오른 것은 그 시절 보았던 펜싱 경기였다. 우측의 선수가 주춤주춤 물러서기 시작했고, 해설자는 그것을 “롱프르”라고 했다. 후퇴에도 용어가 있다니 이해할 수 없었지만 그는 다시 한번 찌르기 위한 후퇴라 말했다. 성공할지 실패할지 모르지만 다시 한번 찌르기 위해 물러나는 것. 결국 우측 선수의 마지막 한 방은 무위로 돌아갔지만 나는 혼자 중얼거렸다. ‘집중하여 물러서는 뒷걸음…’
-<유령의 롱프르>에서(20쪽)

어느 날인가,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여기까지 쓰다가, 의문이 생긴다.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은 스스로 강박하는 의미가 강한데, 글은 의무보다 의지에서 비롯되지 않을까. 의무로 쓴 글은 허약한 냄새를 남기지 않을까. 이제 그만 이 글을 폐기하기로 한다. 구겨 휴지통에 버리려 한다. 그런데 이 글은 촉감 가득한 종이 위가 아닌 모니터 상에 쓰인 것이어서, 실없는 클릭 몇 번을 해야 한다. 열 개의 손가락과 열 개의 발가락 중 단 하나의 손가락만 움직여 삭제, 삭제. 너무하다. 나는 글을 폐기하지 않기로 한다. 대신 인용의 창고에서 꺼낸 남의 글에 대해 쓰기로 한다.
-<글을 써야겠다>에서(220쪽)

‘인용’은 훌륭한 독자로서의 자세이기도 하지만, 저자가 뒷걸음 전략 중 하나로 꺼내든 것이기도 하다. 죽음을 선고 받았으며, 애당초 경쟁마저도, 즉 의자놀이 기회마저도 없는 시대라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세상에 나온 것들을 자기 식대로 인용하는 것이다. 자기만의 글을 쓰고자 한다면 타인의 책을 인용하는 것이다. 인용할 책이 세상에서 어떤 평가를 받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눈앞에 무한대로 펼쳐진 수많은 매체들을 ‘자신만의 기준’으로 편집하여, 자신의 세계로 끌어오는 것이 “롱프르” 전략이다.
다시 말하면, 이 책은 ‘88만원 세대’이며 장기불황을 직감적으로 받아들인 세대에게 “롱프르”를 제안하는 것이며, 그래서 저자가 먼저 자신의 롱프르를 펼쳐 보이는 것이다. 그의 생존 전략이 성공적인지는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알게 된다. 저자는 “이 후퇴의 기록을 따라 읽는 사람은 자연스럽게 전진하게 된다”고 말한다.
시인 이제니는 추천의 글에서 이렇게 말한다. “당신은 어떤 페이지들을 건너와 당신 자신으로 남을 수 있었는지, 당신도 당신만의 언어를, 당신만의 빛나는 먼지의 세계를 펼쳐 보이라고.”
이 책은 자신만의 언어를 찾기 위한 젊음의 시도이기도 하다. 이 책의 반짝임은 소설가 김영하에게 치기어린 목소리로 “옆에 자리 없어요?”라고 묻고 싶었다던 젊음이 이제는 “됐습니다. 내 자리는 내가 만들어볼게요”라고 말하며 아프지만 툭툭 털고 길을 찾아가는 데서 나온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로(지은이)

2009년부터 책방 ‘유어마인드’와 아트북페어 ‘언리미티드 에디션’을 운영한다. 《책등에 베이다》(2014), 《어떤 돈가스 가게에 갔는데 말이죠》(2018)를 썼다. 연희동에서 서점을 운영하며 반려자 모모미, 세 마리 고양이 모로로, 쿠리쿠리, 표표와 함께 지낸다. 《아무날에는 가나자와》를 기획하고 글을 썼다.

박진영(사진)

부산 출생. 대학과 대학원에서 다큐멘터리 사진을 공부했다. 아뜰리에 에르메스, 고은사진미술관, 금호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국내외에서 100여 회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그의 작품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아트뱅크 등에 공공소장되어 있다. &lt;책등에 베이다&gt;에 실린 사진은 ‘Hidamari’ 시리즈를 확장한 것으로 도쿄, 치바, 이즈 반도, 나가노 등지에서 촬영했다. 2014년 현재 일본 대지진 이후 쓰나미와 방사능에 대한 사진작업을 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한다. areapark.net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의 시작
서문 - 책을 핑계로 밤을 건너다
0. 유령의 롱프르 = 17
1. 유년기의 술, 시바스 리갈 -『꼬마 니꼴라 3』, 김모세 구성, 이규성 그림 = 23
2. 책등, 책의 척추 -『책과 바람난 여자』, 아니 프랑수아 = 32
3. 이십대의 스포츠 -『내 여자의 열매』, 한강 = 38
4. 작은 집과 독한 술 = 48
 『작은 집』, 르 코르뷔지에
 『스트레이트 온 더 락 1』, 후루야 미쓰토시
5. 다 괜찮아 對 다 망한다 -『빈방의 빛』, 마크 스트랜드 = 56
6. 무국적 칠면조의 밤 = 75
 『페가서스 10000마일』, 이영준
 『디자인은 보이지 않는다』, 루치우스 부르크하르트
7. 폐허 위의 붉은 얼굴 -『트웰브 핑거스(Twelve Fingers: Biography of an Anarchist)』, 조 소아레스 = 83
8. 낭독 -『캠핑의 즐거움』, 함정혜 = 91
9. 마치 우주의 충돌, 마치 지각의 변동 -『독약』, 프랑수아즈 사강 글, 베르나르 뷔페 그림 = 99
10. 마지막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은 적이 언제입니까 -『조선 기술』, 대한조선학회 편 = 108
11. 왜곡과 과장 -『파브르 식물기』, J. H. 파브르 = 116
12. 환생의 끝 - 작가정신 소설향 시리즈 = 128
13. 완전한 자립 -『벽』, 김영글 = 139
14. 드라마의 뒷면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 라이먼 프랭크 바움 = 147
15. 가장 슬픈 노래의 세계 = 155
 '가난한 사람들', 김일두
 『카메라 루시다』, 롤랑 바르트
 『쿠이 쿠이(Cui Cui)』, 린코 가와우치
16. 책 속에서 발견한 남의 돈 -『시간 상자』, 데이비드 위즈너 = 173
17. 그는 주름이 자글자글한 소년처럼 웃었네 = 178
 『천사여, 고향을 보라(Look Homeward, Angel)』, 토마스 울프
 『그대 다시는 고향에 못 가리』, 토마스 울프
18. 우울을 즐기는 건지도 모르지 = 189
 『약해지지만 않는다면 괜찮은 인생이야』, 세스
 〈인사이드 르윈〉, 코엔 형제
19. 100년 전의 실종 -『생물이 사라진 섬』, 다가와 히데오 글, 마츠오카 다츠히데 그림 = 194
20. 발명된 공동체에 쓸쓸히 산다 -『자코메티의 아틀리에』, 장 주네 = 205
21. 우리는 사실 모두 클리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214
0. 글을 써야겠다 = 219
 'The Breeze/My Baby Cries', Kath Bloom/Bill Callahan
 『5년생』, 키오 시모쿠
책의 끝
이로의 책등 = 22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