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3
제1편 공공조직 행태의 이해
제1장 공공조직 구성원의 행태 = 15
제1절 공공조직이란? = 15
제2절 공공조직 구성원이란? = 18
제2장 공공조직행태론의 구성 = 22
제1절 공공조직 형태의 형성과 발전 = 22
제2절 공공조직행태론의 주요 연구와 구성 = 23
제3장 조직행태론의 개관 = 30
제1절 조직행태론이란? = 30
제2절 조직행태론의 특징 = 32
제3절 조직행태론의 주된 종속변수 = 34
제4절 조직 행태의 기본 모형 = 38
제2편 개인 수준의 공공조직행태론
제4장 성격과 가치관 = 41
제1절 성격 = 41
제2절 가치관 = 52
제5장 지각과 학습 = 60
제1절 지각 = 60
제2절 학습 = 67
제6장 스트레스와 감정관리 = 77
제1절 스트레스의 본질 = 78
제2절 스트레스 요인과 결과 = 80
제3절 감정유해성의 의미 = 83
제4절 감정유해성의 발생 원인 = 85
제5절 관리 방안 = 88
제7장 조직몰입 = 98
제1절 조직몰입의 개념과 관련된 정리되지 않은 논쟁들 = 98
제2절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의 차이 = 102
제8장 동기부여 = 109
제1절 공직 동기 = 109
제2절 머슬로의 욕구계층이론 = 112
제3절 앨더퍼의 ERG 이론 = 114
제4절 허즈버그의 요구충족요인 이원론 = 115
제5절 맥그리거의 X, Y 이론 = 117
제6절 기대이론 = 118
제7절 목표설정이론 = 121
제3편 집단 수준의 공공조직행태론
제9장 집단역학 = 125
제1절 왜 집단을 공부하는가? = 125
제2절 집단의 정의와 유형 = 126
제3절 효과적 집단 = 129
제4절 집단 발전의 단계: 터크맨의 5단계 모형 = 130
제5절 집단의 행태적 특성 = 132
제6절 집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35
제7절 집단 의사 결정 = 140
제8절 팀의 이해 = 141
제9절 팀의 유형 = 143
제10장 커뮤니케이션 = 146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 147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원칙과 과정 = 150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156
제4절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와 극복 = 160
제11장 리더십 = 167
제1절 리더십이란? = 167
제2절 리더십의 주요 접근법: 특성이론과 행위이론 = 169
제3절 리더십의 주요 접근법: 상황이론 = 174
제4절 그래언의 리더-멤버 교환이론 = 182
제5절 리더십에 대한 영감적 접근법 = 184
제6절 진실한 리더십 = 190
제4편 조직 수준의 공공조직행태론
제12장 권력 = 195
제1절 권력의 기본 이해 = 195
제2절 권력의 과정 = 197
제3절 권력의 하위 개념들 = 198
제4절 권력의 여러 가지 관점들 = 198
제5절 권력의 원천 = 206
제6절 권력의 분포 = 211
제7절 권력의 확보 전략 = 215
제13장 갈등 = 221
제1절 갈등의 정의와 기능 = 221
제2절 갈등의 유형 = 225
제3절 갈등의 관리 = 227
제4절 갈등관리를 위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 229
제5절 협상 = 232
제14장 조직문화와 상징 = 236
제1절 조직문화의 발달 배경 = 237
제2절 조직문화의 이해 = 238
제3절 조직문화의 유형 = 247
제4절 조직문화 연구의 접근법 = 254
제5절 조직문화와 상징의 관리 = 258
제5편 네트워크 수준의 공공조직행태론
제15장 네트워크 행동과 공공조직 행태 = 265
제1절 네트워크 행동의 의의 = 266
제2절 네트워크 행동의 주요 이론 = 269
제3절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성공 요인 = 273
참고문헌 = 284
찾아보기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