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읽기 이해 : 교재학습

읽기 이해 : 교재학습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문선모 文善模
Title Statement
읽기 이해 = Reading comprehension : 교재학습 / 문선모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12  
Physical Medium
xvi, 387 p. : 삽화, 도표 ; 24 cm
ISBN
978899792742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49]-378)과 색인, 부록수록
000 00673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805343
005 20140722132446
007 ta
008 140722s2012 ulkad b 001c kor
020 ▼a 9788997927425 ▼g 93370
035 ▼a (KERIS)BIB000012943303
040 ▼a 211019 ▼d 211009
082 0 4 ▼a 372.47 ▼2 23
085 ▼a 372.47 ▼2 DDCK
090 ▼a 372.47 ▼b 2012
100 1 ▼a 문선모 ▼g 文善模 ▼0 AUTH(211009)28596
245 1 0 ▼a 읽기 이해 = ▼x Reading comprehension : ▼b 교재학습 / ▼d 문선모 지음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2
300 ▼a xvi, 387 p. : ▼b 삽화, 도표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349]-378)과 색인, 부록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47 2012 Accession No. 11172123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읽기 이해'는 읽기의 목적으로 우리들이 읽는 교재자료에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뜻한다. 이 책에서는 읽기 이해에 초점을 둔 연구들을 모아 정리하였다. 총 2부, 1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에서는 설명적 교재의 읽기 이해를 그리고 제2부에서는 이야기 교재의 읽기 이해를 제시하였다.

읽기 이해는 읽기의 목적으로 우리들이 읽는 교재자료에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뜻한다. 이 책에서는 읽기 이해에 초점을 둔 연구들을 모아 정리하였다. 이 책은 총 2부, 1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에서는 설명적 교재의 읽기 이해를 그리고 제2부에서는 이야기 교재의 읽기 이해를 제시하였다.
이 책은 특히 교육심리학의 원리와 지식을 교과에 적용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교육심리학 전공 대학원생들에게 그리고 국어, 영어 등 교과에 교육심리학의 원리와 지식을 적용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어문계열 전공 대학원생들에게 연구의 안내서로 유용할 것이다. 또한 교사가 학습의 주요 수단으로서 읽기 이해의 과정을 이해하여 학생들을 효과적인 학습자가 되도록 더 잘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문선모(지은이)

계명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한 뒤,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교육심리학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9년부터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교재학습 연구: 교재구조의 접근』(1997, 학지사), 『인간학습: 교육적 적용』(2001, 양서원), 『교육심리학: 학습·발달 중심 접근』(2004, 양서원), 『학습이론: 교육적 적용』(2007, 양서원, 문화관광부선정 우수학술도서) 등 9권이 있다. 번역서로는 『인간기억 및 인지 연구방법론』(1988, 성원사), 『인지적 교실학습』(1990, 중앙적성출판사), 『교육·심리 통계방법』(1992, 교육과학사), 『중심내용의 이해와 수업』(1995, 교육과학사), 『교재의 명제분석 요강: W. Kintsch의 명제이론』(1996, 문음사), 『이해: 인지 패러다임 1, 2』(2010, 나남,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292, 293), 『실험설계 및 통계의 기초』(2011, 시그마프레스) 등 14권이 있다. 그리고 Kintsch 모형으로 연구한 박사학위논문 「교재구조의 거시방략과 거시명제의 회상좩(1985, 경북대)이 있다. E-mail : smmoon@gnu.ac.kr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ⅴ
제1장 읽기 이해의 이론적 기초 = 1
 1. 읽기 이해 모형 = 1
  1) 자료주도 모형 = 2
  2) 개념주도 모형 = 2
  3) Kintsch의 구성-통합 모형 = 3
  4) 구성주의 모형 = 7
 2. 효과적인 읽기 이해를 위한 인지 처리 기법 = 8
  1) 선행지식 이용하기 = 8
  2) 교재구조 이용하기 = 11
  3) 추론하기 = 12
  4) 초인지 지식 이용하기 = 13
  5) 인지 처리 기법의 수업 적용 = 15
 3. 읽기 이해 방략 = 19
  1) 이해점검과 읽기 방략 = 20
  2) 읽기 준비하기 = 21
  3) 교재 내 단어ㆍ문장ㆍ아이디어의 의미 해석하기 방략 = 22
  4) 교재를 넘어서는 방략 = 25
  5) 교재 내용을 조직화ㆍ재구조화ㆍ종합화하는 방략 = 27
 4. 읽기 방략의 초인지적 인식 평가 = 29
1 설명적 교재의 읽기 이해 
 제2장 독해의 사고구술 반응 = 35
  1. 독해와 사고구술 = 35
  2. 사고구술 반응의 분류 = 37
  3. 사고구술 선행연구의 개관 = 40
  4. 연구문제 = 43
  5. 연구방법 = 44
   1) 실험 참가자 = 44
   2) 실험도구 = 45
   3) 실험설계 = 48
   4) 실험절차 = 48
   5) 자료 처리 = 49
  6. 결과 = 49
  7. 논의 및 결론 = 51
 제3장 교재구조의 조직 수준과 선행지식의 상호작용 = 57
  1. 교재구조와 교재 처리 = 57
  2. 선행지식과 교재 처리 = 59
  3. 교재구조와 선행지식의 상호작용 = 60
  4. 연구문제 = 62
  5. 연구방법 = 63
   1) 실험 참가자 = 63
   2) 실험도구 = 63
   3) 실험설계 = 64
   4) 실험절차 = 65
   5) 자료 처리 = 65
  6. 결과 = 66
   1) 주요점 회상 = 66
   2) 중심내용 파악 = 70
  7. 논의 및 결론 = 72
 제4장 인과 교재구조 훈련 = 79
  1. 교재구조와 교재 처리 = 79
   1) 교재구조의 중요성 = 79
   2) 교재구조 유형 = 81
  2. 교재구조 훈련의 효과 = 82
   1) 교재구조 훈련 = 82
   2) 인과 교재구조 훈련 = 84
  3. 연구문제 = 85
  4. 연구방법 = 86
   1) 실험 참가자 = 86
   2) 실험도구 = 87
   3) 실험설계 = 91
   4) 실험절차 = 91
   5) 자료 처리 = 93
  5. 결과 = 93
   1) 교재구조 분석 = 93
   2) 자유회상 = 94
   3) 교재 이해 = 96
  6. 논의 및 결론 = 97
 제5장 비교-대조구조의 요약하기 훈련 = 103
  1. 교재구조와 요약하기 = 103
   1) 교재구조와 교재 처리 = 104
   2) 교재 처리와 요약하기 = 106
   3) 요약하기 규칙 = 108
  2. 요약하기 훈련 프로그램 = 110
  3. 연구문제 = 111
  4. 연구방법 = 115
   1) 실험 참가자 = 115
   2) 실험도구 = 115
   3) 실험설게 = 122
   4) 실험절차 = 123
   5) 자료 처리 = 123
  5. 결과 = 126
   1) 자유회상 = 126
   2) 중심내용 파악 = 127
   3) 교재 이해 = 128
   4) 요약문 작성 = 129
  6. 논의 및 결론 = 131
 제6장 시각 교재 조직자와 교재 처리 = 139
  1. 시각 교재 조직자와 교재 처리 = 140
  2. 시각 교재 조직자의 이론적 기반 = 143
  3. 시각 교재 조직자의 효과 = 146
  4. 논의 및 결론 = 148
 제7장 교재 내 삽입그림의 유형 및 제시 방법과 중심내용 이해 = 153
  1. 그림유형의 효과 = 153
  2. 제공그림과 생성그림의 효과 = 156
  3. 선행지식의 효과 = 157
  4. 연구문제 = 158
  5. 실험 1 = 161
   1) 연구문제 = 161
   2) 연구방법 = 161
   3) 결과 = 163
  6. 실험 2 = 165
   1) 연구문제 = 165
   2) 연구방법 = 166
   3) 결과 = 169
  7. 논의 및 결론 = 172
 제8장 심상유발 조건 및 삽화제시 조건과 중심내용 이해 = 183
  1. 심상과 삽화의 이론적 기초 = 183
   1) 이중부호화 이론 = 183
   2) 생성학습 이론 = 184
  2. 심상 및 삽화와 교재 처리 = 185
   1) 읽기의 구성적 성격 = 185
   2) 심상효과 = 186
   3) 삽화효과 = 188
   4) 심상과 삽화의 상호작용 = 189
  3. 연구문제 = 191
  4. 연구방법 = 195
   1) 실험 참가자 = 195
   2) 실험도구 = 195
   3) 실험설계 = 197
   4) 실험절차 = 197
   5) 자료 처리 = 200
  5. 결과 = 201
   1) 주요점 회상 = 201
   2) 중심내용 파악 = 203
   3) 중다회귀 분석 = 204
  6. 논의 및 결론 = 206
 제9장 지식지도화 훈련과 교재학습 = 211
  1. 지식지도화와 교재학습 = 211
  2. 지식지도화 훈련의 효과 = 214
  3. 연구문제 = 218
  4. 연구방법 = 221
   1) 실험 참가자 = 221
   2) 실험도구 = 221
   3) 실험설계 = 227
   4) 실험절차 = 227
   5) 자료 처리 = 229
  5. 결과 = 231
   1) 교재 이해 = 231
   2) 자유회상 = 232
  6. 논의 및 결론 = 233
제2부 이야기 교재의 읽기 이해 
 제10장 이야기 교재의 조직 형태와 중심내용 이해 = 241
  1. 이론적 배경 = 241
  2. 연구문제 = 245
  3. 연구방법 = 247
   1) 실험 참가자 = 247
   2) 실험도구 = 247
   3) 실험설계 = 249
   4) 실험절차 = 249
   5) 자료 처리 = 250
  4. 결과 = 251
   1) 자유회상 = 251
   2) 목표제목 선정 = 251
   3) 결과제목 선정 = 255
   4) 교재 이해 = 258
  5. 논의 및 결론 = 259
 제11장 이야기 교재 등장인물 정보의 이해 : 학습장애 학생과 정상 학생의 비교 = 269
  1. 학습장애와 읽기 = 269
  2. 교재 처리 모형 = 271
  3. 학습장애 학생의 이야기 교재 이해 = 273
   1) 이야기 문법에 대한 연구 = 273
   2) 이야기의 명제 수준에 대한 연구 = 275
   3) 이야기 등장인물의 이해에 대한 연구 = 276
  4. 연구문제 = 278
  5. 연구방법 = 280
   1) 실험 참가자 = 280
   2) 실험도구 = 280
   3) 실험설계 = 281
   4) 실험절차 = 281
   5) 자료 처리 = 282
  6. 결과 = 285
   1) 이야기의 구조 분석 = 285
   2) 등장인물 정보 분석 = 287
  7. 논의 및 결론 = 290
   1) 이야기의 구조 분석 = 290
   2) 이야기의 등장인물 정보 분석 = 291
 제12장 주제확인 훈련과 이야기 주제의 이해 = 297
  1. 이론적 배경 = 297
  2. 연구문제 = 300
  3. 연구방법 = 303
   1) 실험 참가자 = 303
   2) 실험도구 = 303
   3) 실험설계 = 306
   4) 실험절차 = 306
   5) 자료 처리 = 307
  4. 결과 = 310
   1) 주제개념의 이해 = 310
   2) 방략지식 = 311
   3) 주제파악 = 311
   4) 주제적용 = 312
   5) 이야기 세부사항의 이해 = 312
   6) 이야기 구성요소의 이해 = 313
  5. 논의 및 결론 = 313
 제13장 그림제시 및 심상지시와 이야기 교재의 이해 = 319
  1. 이론적 배경 = 319
  2. 연구문제 = 322
  3. 연구방법 = 323
   1) 실험 참가자 = 323
   2) 실험도구 = 323
   3) 실험설계 = 325
   4) 실험절차 = 325
   5) 자료 처리 = 326
  4. 결과 = 326
  5. 논의 및 결론 = 328
 제14장 글 없는 그림책 이야기 꾸미기와 유아의 이야기 능력 = 329
  1. 글 없는 그림책 이야기 꾸미기 = 329
  2. 이야기 능력 = 331
  3. 선행연구의 개관 = 333
  4. 연구문제 = 335
  5. 연구방법 = 337
   1) 실험 참가자 = 337
   2) 실험도구 = 337
   3) 실험설계 = 338
   4) 실험절차 = 338
   5) 자료 처리 = 342
  6. 결과 = 344
   1) 지엽적 이야기 능력 = 344
   2) 총체적 이야기 능력 = 345
  7. 논의 및 결론 = 347
참고문헌 = 349
찾아보기 = 37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