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ⅴ
존 듀이의 생애 = ⅶ
1부 사고훈련의 문제
01 사고란 무엇인가? = 3
사고의 여러 가지 의미 = 3
사고의 중심 요소 = 10
반성적 사고의 요소들 = 13
요약 = 16
02 사고훈련의 필요성 = 18
사고의 가치 = 18
이 가치들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의 중요성 = 23
끊임없는 통제가 필요한 성향들 = 25
통제는 추론을 증거로 변환시킨다 = 32
03 사고훈련의 선천적 자원들 = 35
호기심 = 37
가정 = 41
질서 정연함 : 그 특성 = 47
04 학교 상황과 사고훈련 = 53
도입 : 방법과 조건들 = 53
타인의 습관이 미치는 영향 = 55
교과목의 영향 = 58
학교교육 목표의 영향 = 62
05 사고훈련의 수단과 목적 : 심리성과 논리성 = 65
도입 : 논리성의 의미 = 65
규율과 자유 = 72
2부 논리적 고찰
06 사고력의 분석 = 79
07 체계적 추론 : 귀납과 연역 = 91
성찰의 두 가지 움직임 = 91
귀납법의 안내 지침 = 97
조건의 실험적 다양화 = 104
연역법의 안내 지침 = 107
교육적 시사점 = 110
08 판단 : 사실의 해석 = 115
판단의 세 가지 요소 = 115
아이디어의 기원과 성격 = 123
분석과 종합 : 판단의 두 가지 기능 = 127
09 의미 : 혹은 개념과 이해 = 133
정신적 삶에서 의미의 위치 = 133
의미의 습득 과정 = 138
개념과 의미 = 143
개념이 아닌 것 = 146
의미의 정의와 조직 = 149
10 구상적 사고와 추상적 사고 = 155
11 경험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 = 165
경험적 사고 = 165
과학적 방법 = 170
3부 사고훈련
12 활동과 사고훈련 = 181
활동의 초기 단계 = 181
놀이, 일 그리고 관련 활동 = 185
건설적인 직업 = 192
13 언어와 사고훈련 = 195
사고의 도구로서의 언어 = 195
교육에서 언어적 방법의 남용 = 202
언어 사용의 교육적 시사점 = 205
14 마음훈련에서의 관찰과 정보 = 215
관찰의 성격과 가치 = 215
학교에서의 관찰 방법과 내용 = 220
정보의 소통 = 225
15 문답식 수업과 사고훈련 = 229
수업의 공식적 단계 = 230
문답식 수업의 요소 = 235
16 일반적 결론 = 244
무의식과 의식 = 244
과정과 결과 = 248
멀리 있는 것과 가까이 있는 것 = 252
옮긴이의 말 =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