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하우 위 싱크 :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하우 위 싱크 :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Dewey, John, 1859-1952 정회욱, 역
서명 / 저자사항
하우 위 싱크 :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 존 듀이 ; 정회욱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학이시습,   2011  
형태사항
ix, 259 p. ; 23 cm
원표제
How we think
ISBN
9788964069189
일반주제명
Thought and thinking Educational psychology
000 00819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803139
005 20140703113850
007 ta
008 110309s2011 ulk 000c kor
020 ▼a 9788964069189 ▼g 93370
035 ▼a (KERIS)BIB000012367794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153.4/2 ▼2 23
085 ▼a 153.42 ▼2 DDCK
090 ▼a 153.42 ▼b 2011z6
100 1 ▼a Dewey, John, ▼d 1859-1952 ▼0 AUTH(211009)54439
245 1 0 ▼a 하우 위 싱크 : ▼b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 ▼d 존 듀이 ; ▼e 정회욱 옮김
246 1 9 ▼a How we think
260 ▼a 서울 : ▼b 학이시습, ▼c 2011
300 ▼a ix, 259 p. ; ▼c 23 cm
650 0 ▼a Thought and thinking
650 0 ▼a Educational psychology
700 1 ▼a 정회욱, ▼e▼0 AUTH(211009)124475
900 1 0 ▼a 듀이, 존,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3.42 2011z6 등록번호 11172035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 <학이시습 큰글씨책>은 약시나 노안으로 독서에 어려움을 겪는 독자들을 위해 큰글씨로 만든 책입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존 듀이(지은이)

저자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미국의 저명한 철학자, 교육학자이자 사회사상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더불어 오늘날 더욱 각광받고 있다. 포스트-포스트모더니스트라 불리기도 하는 그는 여러 분야에 걸쳐 수많은 저작을 남겼는데, 철학분야의 주저로는 「경험과 자연」(1925) 「확실함의 열망」(1929) 「경험으로서의 예술」(1934) 등이 있고, 교육분야의 주저로는 「민주주의와 교육」(1916)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ⅴ
존 듀이의 생애 = ⅶ
1부 사고훈련의 문제
 01 사고란 무엇인가? = 3
  사고의 여러 가지 의미 = 3
  사고의 중심 요소 = 10
  반성적 사고의 요소들 = 13
  요약 = 16
 02 사고훈련의 필요성 = 18
  사고의 가치 = 18
  이 가치들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의 중요성 = 23
  끊임없는 통제가 필요한 성향들 = 25
  통제는 추론을 증거로 변환시킨다 = 32
 03 사고훈련의 선천적 자원들 = 35
  호기심 = 37
  가정 = 41
  질서 정연함 : 그 특성 = 47
 04 학교 상황과 사고훈련 = 53
  도입 : 방법과 조건들 = 53
  타인의 습관이 미치는 영향 = 55
  교과목의 영향 = 58
  학교교육 목표의 영향 = 62
 05 사고훈련의 수단과 목적 : 심리성과 논리성 = 65
  도입 : 논리성의 의미 = 65
  규율과 자유 = 72
2부 논리적 고찰
 06 사고력의 분석 = 79
 07 체계적 추론 : 귀납과 연역 = 91
  성찰의 두 가지 움직임 = 91
  귀납법의 안내 지침 = 97
  조건의 실험적 다양화 = 104
  연역법의 안내 지침 = 107
  교육적 시사점 = 110
 08 판단 : 사실의 해석 = 115
  판단의 세 가지 요소 = 115
  아이디어의 기원과 성격 = 123
  분석과 종합 : 판단의 두 가지 기능 = 127
 09 의미 : 혹은 개념과 이해 = 133
  정신적 삶에서 의미의 위치 = 133
  의미의 습득 과정 = 138
  개념과 의미 = 143
  개념이 아닌 것 = 146
  의미의 정의와 조직 = 149
 10 구상적 사고와 추상적 사고 = 155
 11 경험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 = 165
  경험적 사고 = 165
  과학적 방법 = 170
3부 사고훈련
 12 활동과 사고훈련 = 181
  활동의 초기 단계 = 181
  놀이, 일 그리고 관련 활동 = 185
  건설적인 직업 = 192
 13 언어와 사고훈련 = 195
  사고의 도구로서의 언어 = 195
  교육에서 언어적 방법의 남용 = 202
  언어 사용의 교육적 시사점 = 205
 14 마음훈련에서의 관찰과 정보 = 215
  관찰의 성격과 가치 = 215
  학교에서의 관찰 방법과 내용 = 220
  정보의 소통 = 225
 15 문답식 수업과 사고훈련 = 229
  수업의 공식적 단계 = 230
  문답식 수업의 요소 = 235
 16 일반적 결론 = 244
  무의식과 의식 = 244
  과정과 결과 = 248
  멀리 있는 것과 가까이 있는 것 = 252
옮긴이의 말 = 257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종석 (2023)
Cialdini, Robert B. (2023)
이일하 (2022)
Meerloo, Joost (2023)
Todd, Emmanuel (2023)
Forte, Tiago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