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02983 | |
005 | 20201229131529 | |
007 | ta | |
008 | 140407s2014 ulka 001c kor | |
020 | ▼a 9791155900147 ▼g 93510 | |
035 | ▼a (KERIS)BIB000013446437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48 ▼d 211009 ▼d 211092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618.92 ▼2 23 |
085 | ▼a 618.92 ▼2 DDCK | |
090 | ▼a 618.92 ▼b 2014z1 | |
100 | 1 | ▼a 細谷亮太 |
245 | 2 0 | ▼a (반드시 도움된다) 소아진료 노하우 / ▼d 細谷亮太 지음 ; ▼e 안상현 옮김 |
246 | 1 9 | ▼a いざというとき必ず役立つ 小??5150蕣鐥荊藿낙?g(改訂版) |
260 | ▼a 서울 : ▼b 대한의학서적, ▼c 2014 | |
300 | ▼a 286 p. : ▼b 삽화(일부천연색) | |
500 | ▼a 감수: 김동운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안상현, ▼e 역 |
700 | 1 | ▼a 김동운, ▼e 감수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8.92 2014z1 | Accession No. 13104851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edical Library/Departmental Collection/ | Call Number 구로가정의학 618.92 2014z1 | Accession No. 931002926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소아·청소년 진료의 개념부터 흔한 질환, 응급 질환, 드문 질환에 걸친 모든 상황에 대한 노하우와 함께 흔히 품는 의문을 다룬 칼럼까지 실제 진료의 참고서로서 좋다. 이 책이 소아·청소년 진료에 종사하는 모든 선생님께 도움을 줄 것이다.
[역자 서문]
「소아과주치의 필수노트」를 번역한 후 지난해 그 책을 들고 소아과에 주치의로 파견 나갔습니다. 교과서에서 얻을 수 없었던 실제적 지식을 얻을 수 있었고,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그러면서 나중에 외래에서 ‘소아·청소년’ 진료를 볼 때 참고할 수 있는 책은 없을까? 하는 아쉬운 마음이 있었는데, 때마침 「소아진료 노하우」란 책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개정 2판이 나왔다는 사실만큼 책의 질을 보장해주는 객관적 사실은 없기 때문에 믿고 책을 훑어봤습니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이 책은 교과서와 달리 실제적 지식을 전달하면서도, 마치 교과서를 보는 듯 폭넓은 범위를 다루고 있습니다. 거기다 실제 증례를 들어 설명함으로써 바로 진료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용이 충실한 만큼 제가 가정의학과 전공의를 하면서 혼자 번역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습니다. 많은 일본 의학서적이 여전히 번역 문제를 안고, 우리나라에 소개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혹시나 이렇게 좋은 책이 그 중 하나가 될까 우려해, 저를 포함해 최소 3권 이상 번역서를 낸 번역가들과 함께 5인 팀(JKMT; Japanese Korean Medical Translation)을 이루어 책 번역을 진행했습니다. 물론 번역가마다 문체 차이가 있지만, 저를 포함한 편집팀에서 수차례 교열·교정을 통해 그 차이를 없앴습니다. 이 책 자체가 여러 소아과 선생님이 파트를 나누어서 집필했기 때문에 파트마다 각 필진의 개성이 살아있는데, 그것마저 기계적으로 통일하기보다는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소아·청소년 진료의 개념부터 흔한 질환, 응급 질환, 드문 질환에 걸친 모든 상황에 대한 노하우와 함께 흔히 품는 의문을 다룬 칼럼까지 실제 진료의 참고서로서 더할 나위 없이 좋습니다. 이 책이 소아·청소년 진료에 종사하는 모든 선생님께 도움되길 기원합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안 상 현
[감수자 서문]
이 책은 소아·청소년 환자를 보는 의사들의 진료를 돕기 위해 집필됐습니다.
2년 전 「소아과주치의 필수노트」를 감수할 때는 그 책의 내용이 전공의 중심이어서 아쉬운 점이 있었는데, 이번 책은 이미 개원했거나 일선에서 소아·청소년 진료를 보는 의사 역시 도움 받을 수 있는 내용이 많아 작업하는 내내 즐거웠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는 교과서 등의 책은 실제 증례가 부족하고, 임상적으로 빈도수가 높은 것들을 실전에서 바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제가 개원을 하고 생각해 왔던 노하우뿐만 아니라, 다른 선생님의 노하우를 집대성하여 소아·청소년 진료를 하는 선생님에게 전한다면 실제 환자를 마주했을 때 당황하지 않을 수 있고 더 효율적인 진료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소아·청소년 환자를 보면서 도(道)를 닦고 있는 선생님들 모두 힘내시기 바라며, 이 책을 읽고 있는 선생님들께 감사 드립니다.
부디 이 책이 많은 환자의 건강과 마음을 어루만져주길 기원합니다.
아이본 소아청소년과 원장
김 동 운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개정판 서문 = 3 역자 서문 = 5 감수자 서문 = 6 Color Atlas = 11 약어 일람 = 14 제1장 꼭 알아야 하는 소아진료 방법ㆍ개념 1. 소아진료란?(총론) = 18 (1) 소아진료에 종사하는 의사의 역할 (2) 소아진료는 종합진료 (3)「아이 중심」이긴 하지만, 가족의 건강도 중요 (4) 소아진료 중 부모를 지원한다 (5) 문진 후에 진료, 치료 (6) 소아진료와 예방의학 (7) 소아진료는 보람 있는 일 2. 문진ㆍ진찰ㆍ검사의 노하우 = 22 (1) 시작하며 (2) 문진 (3) 진찰 (4) 검사 (5) 끝마치며 3. 약 사용법 1) 약물 치료의 기초 - 여러 가지 제형, 복용법 등 = 28 (1) 시작하며 (2) 소아의 약물 용량 (3) 소아에서 약제 투여 시 주의점 (4) 다양한 제형 (5) 약을 잘 먹이는 방법 2) 소아의 수액 - 안전하고 확실한 수액요법 = 35 (1) 소아의 체액구성과 수분대사의 특성 (2) 수액제제의 종류 (3) 수액요법 (4) 탈수 치료 제1기: 결핍량에 대한 수급(급속초기수액) (5) 제2기: Rehydration phase (6) 제3기: 24시간 균등유지 수액 (7) 소아(특히 신생아ㆍ영아)의 수액 라인의 취급방법 및 핵심 3) 소아에서의 항생제 선택 = 44 (1) 항생제 처방에 앞서 (2) 항생제 처방 (3) Empiric therapy(초기치료)의 중요사항 (4) 치료 시작 후의 중요사항 4. 소아의 성장과 발달 = 50 (1) 시작하며 (2) 신생아기 (3) 생후 1개월 (4) 영아기 (5) 유아기 (6) 학동기ㆍ사춘기 (7) 끝마치며 5. 병원 내 감염대책 = 56 (1) 시작하며 (2) 손 씻기 (3) 기본대책: 표준예방책과 감염경로별 예방책 (4) 기타 대책 6. 예방접종 = 58 (1) 예방접종 (2) 학교 감염 (3) 정리 제2장 유사 시 곤란을 겪지 않기 위한 처치 노하우 1. 소아 CPR(심폐소생술) = 70 (1) 소아의 평가법과 초기 치료 (2) 소아의 1차 응급처치와 2차 응급처치 2. 이비인후과 소아 응급질환 대응 노하우 = 80 (1) 시작하며 (2) 이물 (3) 이루, 이통 (4) 코피 3. 이물 삼킴 = 86 (1) 시작하며 (2) 미리 준비해 두어야 할 자료 (3) 문의처 (4) 기본적인 처치 (5) 검체 보존 (6) 진단과 평가 (7) 치료 (8) 담배를 삼켰을 때 증상과 대처법 4. 외상(사고ㆍ학대 등) = 92 (1) 시작하며 (2) 두부 외상 (3) 흉부 외상 (4) 복부 외상 (5) 학대 제3장 흔한 증상별 진단과 치료 1. 발열 = 100 (1) 시작하며 (2) 증례 (3) 전신상태(중증도 및 응급성) 평가 (4) 열성 질환 감별을 위한 접근 (5) 열성 질환을 감별할 때 주의점 (6) 검사 (7) 약물 선택과 사용법 (8) 상급의료기관으로 전원 (9) 입원 적응증 (10) 보호자 설명 시 주의사항 2. 구토, 설사, 복통 = 111 (1) 시작하며 (2) 구토의 감별진단과 치료 (3) 설사의 감별진단과 치료 (4) 복통의 감별진단과 치료 (5) 증례 3. 콧물, 기침 = 124 (1) 시작하며 (2) 병태생리 (3) 문진, 신체검사, 진단법 (4) 치료 (5) 증례 4. 천명, 호흡곤란 = 134 (1) 시작하며 - 호흡 이상 (2) 놓치면 안 되는 호기성 천명의 원인질환: 진단과 치료 (3) 놓쳐서는 안 된다! 호기성 천명을 일으키는 질환 5. 경련 = 148 (1) 시작하며 (2) 증례 (3) 병력 청취 (4) 일반적인 응급처치 (5) 약물요법 (6) 검사 (7) 전문의에게 의뢰 및 입원 적응증 (8) 보호자 설명 시 주의사항 6. 코피, 피하출혈 = 156 (1) 시작하며 (2) 출혈경향이 있는 경우 (3) 알레르기성 지반병 7. 발진, 습진, 두드러기 = 165 (1) 시작하며 (2) 발진 (3) 습진 8. 경부림프절종창 = 177 (1) 시작하며 (2) 진단포인트 (3) 경부림프절종창을 일으키는 대표 질환 (4) 끝마치며 9. 시력저하 = 185 (1) 소아 진찰의 어려움 (2) 진찰방법 (3) 안과 루틴검사 (4) 검사 시 산동 (5) 외상 시 주의점 (6) 진단: 어떤 질환이 있을까 (7) 당장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반드시 안과전문의에게 진료의뢰가 필요한 질환 (8) 각론 10. 청색증 = 191 (1) 시작하며 (2) 증례 (3) 병태생리 (4) 신체소견 (5) 검사 및 진단 (6) 치료 11. 황달 = 196 (1) 시작하며 (2) 황달의 진단 (3) 응급을 요하는 황달 (4) 병력 청취 (5) 신체검사 시 주의점 (6) 감별 시 주의점 (7) 황달의 연령에 따른 감별진단 진행방법 (8) 주요 질환: 특징과 감별점 (9) 끝마치며 12. 부종 = 211 (1) 시작하며 (2) 증례 (3) 병태생리 (4) 진료 방법 (5) 입원적응증 13. 선천이상과 유전카운셀링 = 217 (1) 선천이상이란? (2) 선천이상의 원인과 빈도 (3) 신체검사 방법 (4) 진단을 위한 검사 (5) 보호자 설명 시 주의사항 (6) 유전카운셀링 (7) 주의점, 어드바이스 Mini Lecture : 세계화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는 질환 = 223 제4장 질환별 케이스 스터디로 배우는 소아진료 포인트 1. 장중첩증 = 226 (1) 임상양상 (2) 진단 (3) 중증도평가 (4) 치료 2. 세균성 뇌수막염 = 231 (1) 세균성 뇌수막염의 증상 - 연령에 따른 차이 (2) 세균성 뇌수막염의 원인균 - 연령에 따른 차이 (3) 세균성 뇌수막염: 지지요법이 필요한 급성기 합병증 (4) 진단과 치료 포인트 3. 소아 1형 당뇨병 = 235 (1) 진단 포인트 (2) 치료 4. 기도 이물 = 238 (1) 진단 포인트 (2) 대응 5. 성장 장애와 비만 = 241 (1) 조기 진단을 위한 포인트 (2) 확진과 치료 6. 행동이상, 전반적 발달장애 = 244 (1) 영유아기 (2) 아동기ㆍ사춘기 (3) 전쟁 후 부적절한 다이어트 증가 (4) 식이장애의 요인 (5) 발달장애란? (6) 발달장애 양상의 불안정 행동의 증가 (7) 발달장애의 감별진단 (8) 발달장애의 다면적 이해 (9) 발달장애 교정 교육(재활 교육)의 기본 7. 반복 감염 = 256 (1) 면역결핍증이 의심되는 경우 (2) 면역결핍증의 개요 8. 선천성 심질환 = 261 (1) 시작하며 (2) 진단 포인트 (3) 치료 9. 인플루엔자 = 265 (1) 문진 포인트 (2) 진단 포인트 (3) 치료 포인트 (4) 상급의료기관으로 전원 (5) 예방 포인트 10.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 269 (1) 잠복기간 (2) 이하선이 부은 것 같은데, 과연 볼거리일까? 11. 결핵과 결핵성 수막염 = 272 (1) 어떤 소아에서 결핵을 의심해야 할까? (2) 위험 그룹: 영아 (3) BCG의 결핵 예방 효과는 완벽하지 않다 12. 자가면역질환 = 275 (1) 시작하며 (2) 진찰 포인트 (3) PFAPA 색인 = 279 Column 소아의 난치병? = 21 좌약의 공포 = 33 약간의 오해일까? 멋대로의 해석일까? = 33 한약은 어떻게 먹이나요? = 33 hospital induced hyponatremia = 37 소아의 병원내 심정지 원인 = 79 외이도에 있는 곤충을 죽이려면? = 83 외이도의 비비탄총알 = 83 행방불명이 된 비강 비비탄총알 = 83 처치에는 애정을 = 85 이물 삼킴 사고를 예방할 방법은 없나요? = 91 통계적으로 신체적학대를 예측한다 = 97 CRT란? = 101 PAT란? = 103 Rochester Criteria란? = 105 Baucher 등의 SBI예측 모델이란? = 105 전공의의 직감 = 110 호중구 감소 발열에 주의 = 110 정말로 멈추었는가? = 153 절대 놓치면 안 되는 피학대아증후군 = 164 아픈데도 씩씩한 아이(병원 내 학급) = 176 눈이 빨개지면 결막염인가요? = 189 시력검사 결과를 100% 믿어도 될까요? = 189 아토피 피부염으로 실명? = 190 외상? 학대? 흔들린 아기 증후군? = 190 저산소혈증의 속발증 = 194 임상유전전문의의 추천 = 221 말라리아로 진단되면, 약제 입수는 어떻게? = 224 위장염 뒤에 숨어있던 장중첩증, 그대로 돌려보내지 않아서 다행이다 = 227 세균성 뇌수막염의 진단과 치료 시 주의점 = 233 덱사메타손 요법의 사용 = 233 소아에서 BMI를 활용하기 위해 = 243 청색증성 심질환에서 SaO₂를 70% 이상으로 유지하는 이유는? = 263 신종플루 소동에도 끄떡없었던 토론토 = 268 볼거리 백신은 권장할 수 있는가? = 271 이전에도 볼거리라고 했었는데요? = 271 의사의 매력 =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