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ⅴ
저자 서문 = ⅶ
PART Ⅰ 기초
1 신경계 입문 = 1
인지 신경과학이란 무엇인가 = 2
신경계의 기본 구조 단위 = 3
신경해부학적 용어와 뇌의 '지리학' = 4
중추신경계의 주요 하위 구조 = 5
척수 = 7
연수 = 8
소뇌 = 9
뇌교 = 10
중뇌 = 11
시상하부 = 11
시상 = 13
주요 피질하계 = 13
대뇌피질 = 13
대뇌피질에 대한 상세한 고찰 = 15
세포구조학적 구분 = 16
일차감각 및 운동피질 = 16
IN FOCUS: '신체운동뇌도'의 발견 = 20
연합 영역 = 24
요약 = 29
핵심용어 = 30
2 뉴런들은 어떻게 서로 통신하는가 = 31
서론 = 32
신경계에서의 전기화학적 신호전달 = 32
한 뉴런 내에서 정보는 어떻게 전달되는가 = 32
뉴런 간에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는가 = 33
시냅스후 전위가 어떻게 활동전위를 발생시키는가 = 34
뉴런의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 36
신경전달물질 = 38
아미노산성 신경전달물질 = 38
신경전달물질 시스템 = 39
신경전달물질 체계 간의 상호작용 = 45
IN FOCUS: 허브가 주의, 기억, 기분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 46
신경전달의 화학적 조절 = 47
수초화 = 47
요약 = 49
핵심용어 = 49
3 방법론 = 51
서론 = 52
연구 참가 집단 = 53
국소 두뇌 손상 환자 = 53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개인 = 58
인간 이외의 동물 = 58
두뇌 해부학 측정 기법 = 59
컴퓨터단층촬영법 = 60
자기공명영상 = 60
생리적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 62
기능두뇌영상법 = 63
전자기장 기록법 = 67
IN FOCUS: 기능 자기장 연구에 참여하기 = 68
광 기록법 = 77
두뇌 활동을 조절하기 위한 기법 = 78
다방법적 접근법 = 80
행동 분석 기법 = 82
인지 이론의 역할 = 82
두뇌 손상 환자의 행동 평가 = 82
요약 = 88
핵심용어 = 89
4 반구 특성화 = 91
반구 특성화의 기초 = 92
역사적 고찰 = 93
뇌량 절단 환자의 연구 = 94
한쪽 반구에만 국재화된 손상이 있는 환자에 관한 연구 = 96
신경과적으로 정상적인 개인에 관한 연구 = 97
반구 차이의 특징 = 99
대뇌 반구 간 정보의 통합 = 101
뇌량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의 본질 = 101
반구간 상호작용의 기능 = 101
IN FOCUS: 왜 편측화된 두뇌를 가질까? = 102
대뇌반구 특성화의 발달적 관점 = 104
뇌 조직화에서의 개인차 = 107
손잡이 = 107
성별 = 108
결론 = 108
요약 = 109
핵심용어 = 109
PART Ⅱ 정신기능의 신경학적 기저
5 운동통제 = 111
서론 = 113
운동통제에 관여하는 두뇌 구조 = 113
피질하 구조 = 113
피질 영역 = 123
운동계의 통합 모델 = 136
운동장애 = 137
피질하 운동장애 = 137
IN FOCUS: 인공사지를 통제하기 위한 두뇌 활성화의 사용 = 140
피질하 운동장애 = 144
요약 = 149
핵심용어 = 149
6 초기 지각 과정 = 151
망막 = 153
광수용기 = 153
신경절 세포 = 155
수용야 = 155
망막에서 두뇌로의 경로 = 156
개시상침경로 = 157
슬상선조경로 = 158
외측 슬상핵 = 158
일차시작피질(선조피질) = 160
선조피질의 조직화 = 160
선조피질의 양안 통합 = 161
선조피질 세포의 맥락 조절 = 162
IN FOCUS: 거기에 있지 않는 것 보기: 시각 착시와 선조피질 = 164
맹시와 시각 경로 = 165
선조피질 그 이후의 시각 영역 = 168
시각 세계의 다중 지도들 = 168
V4 영역: 색 부호화에 특화된 부분인가? = 168
'무엇'과 '어디' 경로로의 확산 = 170
청각 처리 과정 = 172
청각의 계산화 문제 = 172
청각 경로의 조직화 = 173
공간 국재화에 대한 뇌간의 계산화 = 174
청각피질의 조직화 = 178
청각-시각 상호작용 = 181
결론 = 182
요약 = 182
핵심용어 = 184
7 대상 재인 = 185
'무엇' 복측 시각계 = 187
시각 대상 재인의 결함 = 189
통각 시각 실인증 = 189
연합 시각 실인증 = 190
통각실인증과 연합실인증 간의 차이 = 191
안면실인증: 얼굴실인증 = 191
대상 재인에서 범주 - 특정적 결함 = 193
대상 재인의 이론적 쟁점 = 195
대상의 희소 부호화 대 집단 부호화 = 195
재인의 불변성 문제 = 198
특질 - 근거 대 윤곽 대상 부호화 = 201
범주 특정성: 어떤 자극은 다른 자극보다 더 특별한가? = 203
청각과 촉각 양상에서의 대상 재인 = 211
다른 감각양상의 실인증 = 211
IN FOCUS: 심상: 마음의 눈으로 대상을 보다 = 212
다중양상 대상 재인 = 212
요약 = 214
핵심용어 = 215
8 공간 인지 = 217
공간 처리에 관여하는 배측 시각계 = 219
공간의 삼차원 부호화 = 220
좌우의 구분 = 220
깊이 지각 = 221
공간참조틀 = 222
소규모 공간에서의 공간 관계 = 224
공간 내 한 지점의 국소화 = 224
공간 내 지점들의 관계 = 225
구성 능력 = 226
움직임의 지각 = 228
다른 공간 능력과 구분되는 움직임 지각 = 228
자기운동 정보의 통합 = 229
회전 = 230
공간과 행동 = 231
공간 이동 = 233
IN FOCUS: 비행에 필요한 공간 능력 = 236
배측-복측 경로의 양분에 따른 문제 = 238
요약 = 239
핵심용어 = 240
9 언어 = 241
언어 처리에서 주된 역할을 하는 좌반구 = 242
뇌 손상 환자로부터 추론된 언어의 신경학적 구조 = 243
고전적인 신경학적 개념 = 244
언어심리학적 관점 = 250
언어 처리의 이중 해리 = 253
다른 연구 방법으로부터 추론된 언어의 신경학적 구조 = 253
뇌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모델과 일치하는 결과 = 253
전통적 모델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부가적 통찰 = 254
시각 언어 과정에 관한 신경학적 근거 = 259
뇌 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 259
IN FOCUS: 이중언어자의 대뇌 조직화 = 260
다른 방법을 사용한 연구 결과 = 263
비인도-유럽언어와 다른 상징 체계의 처리 = 266
가나와 간지 = 266
미국 수화 = 267
음악 = 271
언어와 우반구 = 271
언어 과정에 관한 우반구의 역할 = 272
언어 과정에 관한 양반구 모델 = 274
요약 = 275
핵심용어 = 275
10 기억 = 277
기억이란 무엇인가 = 279
기억상실증: 장기기억의 장애 = 280
기억상실증의 일반적 특성 = 281
기억상실증의 시간 범위 = 282
작업기억의 유지 = 283
기술 학습의 유지 = 285
동물을 대상으로 한 기억 연구 = 287
다중 기억 체계 = 290
이분화 개념 = 290
기억과 의식 = 291
기억에 관여하는 해마외 영역 = 292
특정 감각 정보에 관여하는 신피질 영역 = 292
기저핵 = 296
편도체: 기억과 정서의 인터페이스 = 297
전측 측두영역 = 299
부호화, 응고와 저장, 인출에 관여하는 뇌 체계 = 299
부호화 = 300
응고와 저장 = 301
인출 = 302
작업기억 = 305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 305
IN FOCUS: 수면이 기억에 도움이 되는가? = 306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 306
신경계의 손상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 308
기억 체계들 사이의 관련성 = 310
계산 모델 = 310
경험적 연구 결과 = 310
요약 = 312
핵심용어 = 313
11 주의 = 315
'주의'란 무엇인가 = 316
주의에 관여하는 뇌 구조 = 317
각성 = 317
경계와 지속주의 = 318
선택 주의 = 319
분리주의 = 330
주의 통제의 네트워크 모델 = 331
분산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 중복되는 네트워크 = 331
각성, 정위와 집행적 주의 = 331
목표 선택 대 반응에 적절한 자극 탐지 = 333
기본상태 네트워크: 주의의 부족? = 333
편측무시증: 임상측면 = 334
임상 특징 = 335
IN FOCUS: 도로에 주의를 주세요! = 336
편측무시증 이론 = 339
치료 = 341
편측무시증: 뇌-행동 관계의 이해 = 342
대상에 기초하는 주의 = 343
주의 통제에서의 좌우 반구 차이 = 344
주의를 주지 않은 자극의 처리 = 346
요약 = 347
핵심용어 = 348
12 집행기능 = 351
이론적 배경 = 353
통제적 과정과 자동적 과정의 역할 = 353
목표지향적 행동 = 356
행동의 시작 = 356
목표 혹은 과제 세트의 산출과 유지 = 358
순차 = 360
세트의 전환과 전략의 수정 = 363
자기 모니터와 평가 = 366
억제 = 368
상위 사고 = 369
추상적 사고와 개념적 사고 = 369
규칙과 추론 = 369
IN FOCUS: 기억을 억압할 수 있는가? = 370
신기함에 대한 반응과 인지적 융통성 = 373
판단과 의사 결정 = 375
집행기능에 관여하는 전두엽의 조직화 = 376
집행기능에서 작업기억의 역할 = 378
요약 = 379
핵심용어 = 379
13 정서와 사회인지 = 381
정서에 관여하는 뇌의 피질하 영역 = 383
싸우거나 도망치기 반응 = 384
공포와 정서학습 = 384
보상과 동기 = 389
정서에 관여하는 뇌의 피질 영역 = 390
정서의 신체적 단서를 표상하기 = 390
정서적으로 뚜렷한 사건을 감찰하기 = 392
의사결정에 정서를 통합하기 = 394
정서를 조절하기 = 396
정서를 의사소통하기 = 398
정서 경험 = 403
정서에서 사회 인지까지 = 405
타인의 마음상태를 이해하는 것 = 406
IN FOCUS: 거절당하는 고통 = 407
편견에 대한 인지 신경과학적 접근 = 407
요약 = 410
핵심용어 = 410
PART Ⅲ 주요 현상
14 정신병리 = 411
조현병 = 413
증상과 특징 = 413
전두엽 = 414
측두엽 = 416
기능연결성의 장애 = 418
조현병의 발병원인 = 419
치료 = 421
우울장애 = 422
증상과 특징 = 422
전두엽 = 423
후측 피질 영역 = 425
피질하 영역 = 425
치료 개입 = 426
IN FOCUS: 유전자가 불행감을 초래할 수 있는가? = 430
불안장애 = 432
증상과 특징 = 432
편도체와 해마 = 433
전두엽 = 435
대뇌반구 비대칭 = 436
강박장애의 활성화 체계 = 437
물질남용과 중독 = 437
보상 경로 = 438
안와전두피질 = 439
중독에 관여하는 다른 뇌 영역 = 440
결론과 제안 = 441
요약 = 441
핵심용어 = 442
15 뇌의 발달과 가소성 = 443
뇌의 발달 = 444
아동기의 뇌 변화 = 445
청소년기의 뇌 변화 = 451
두뇌 발달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 = 452
발달장애 = 455
정신지체 = 455
난독증 = 458
자폐증과 전반적 발달장애 = 460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 463
뇌의 가소성 = 466
뇌 손상 후 기능 회복 = 468
상해에 대한 신경생리적 반응 = 468
기능 회복의 기제 = 470
기능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71
아동의 기능 회복 = 472
IN FOCUS: 한 가지 감각양상을 박탈하면 다른 감각양상의 특별한 능력이 증진되는가 = 474
노화에 따른 뇌의 변화 = 474
노화에 따른 인지적 변화 = 474
노화에 따른 신경적 변화 = 476
노화의 효과를 늦추기 = 478
요약 = 480
핵심용어 = 481
16 전반적 인지장애 = 483
폐쇄성 두부 손상 = 485
원인론 = 485
신경심리학적 결과 = 486
IN FOCUS: 폐쇄성 두부 손상과 스포츠 = 488
치매 질환 = 490
피질 치매 = 490
피질하 치매 = 500
혼합 치매 = 505
탈수초성 질환 = 507
뇌전증(간질) = 509
식물인간상태에서의 뇌와 인지기능 = 511
요약 = 513
핵심용어 = 514
찾아보기 =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