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일반언어학 강의

일반언어학 강의 (4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aussure, Ferdinand de, 1857-1913 김현권, 역
서명 / 저자사항
일반언어학 강의 / 페르디낭 드 소쉬르 지음 ; 김현권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형태사항
xxiv, 547 p. : 삽화 ; 19 cm
총서사항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원표제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ISBN
9788966802227
일반주기
이 책은 Ch. Bally, A. Sechehaye(eds.) 편집본과 Tullio de Mauro(ed)의 편집본을 원전으로 삼아 옮긴 것임  
부록: 음운론의 원리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Linguistics Comparative linguistic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02832
005 20171129190104
007 ta
008 140627s2012 ulka 001c kor
020 ▼a 9788966802227 ▼g 00700
035 ▼a (KERIS)BIB000012710514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410 ▼2 23
085 ▼a 410 ▼2 DDCK
090 ▼a 410 ▼b 2012z2
100 1 ▼a Saussure, Ferdinand de, ▼d 1857-1913 ▼0 AUTH(211009)17478
245 1 0 ▼a 일반언어학 강의 / ▼d 페르디낭 드 소쉬르 지음 ; ▼e 김현권 옮김
246 1 9 ▼a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260 ▼a 서울 : ▼b 지식을만드는지식, ▼c 2012
300 ▼a xxiv, 547 p. : ▼b 삽화 ; ▼c 19 cm
440 0 0 ▼a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500 ▼a 이 책은 Ch. Bally, A. Sechehaye(eds.) 편집본과 Tullio de Mauro(ed)의 편집본을 원전으로 삼아 옮긴 것임
500 ▼a 부록: 음운론의 원리
500 ▼a 색인수록
650 0 ▼a Linguistics
650 0 ▼a Comparative linguistics
700 1 ▼a 김현권, ▼e▼0 AUTH(211009)94100
900 1 0 ▼a 소쉬르, 페르디낭 드, ▼e
945 ▼a KLPA
949 ▼a 지만지 사상선집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12z2 등록번호 11172025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구조주의의 선구자로 불리는 소쉬르가 주네브 대학에서 강의한 내용을 기록하고 편집한 책이다. 소쉬르의 사상과 연구 성과는 언어학뿐만 아니라 인문학의 제반 영역에 걸쳐 커다란 획을 그었다고 평가 받는다. 모든 언어를 구조적 틀 내에서 바라봄으로써 보이지 않는 법칙과 원리까지 발견하려는 소쉬르의 연구 방법이 돋보인다.

≪일반언어학 강의≫는 소쉬르가 만년에 주네브 대학에서 3차에 걸쳐 강의한 노트들을 바이와 세슈에가 한 권의 책으로 편집해서 출간한 것이다. 1907년 1월에 시작된 1차 강의는 비판적 수용 단계로서 기존 언어학의 용어를 조심스럽게 사용하고, ‘기호’나 ‘가치’ 등의 공시, 일반 언어학과 관련된 용어는 가능한 한 피했다. 1908∼1909년의 2차 강의는 재해석과 방법적 모색의 단계로서 서론은 소쉬르의 언어학에 대한 일관성 있는 해설이다. 일반언어학적 주제로서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 인도유럽언어학과 일반언어학의 문제를 다루었다. 1910∼1911년의 3차 강의는 새 패러다임을 구축해 소개한 강의로서 소쉬르의 사고를 보여 주는 가장 충실한 강의이며, 언어철학적인 인식론을 이 강의에서 잘 보여 주고 있다.
마르크스가 사회경제사의 큰 흐름의 방향을 제시하고 프로이트가 인간 심리의 숨겨진 무의식 세계를 발견했을 때, 소쉬르는 인간 정신과 문화의 매개이자 담지자인 언어의 과학적 탐구를 통해 다가올 새로운 시기의 과학 패러다임을 추구했다. 그가 20세기 인문과학에 미친 영향의 역사적 의미는 구조주의라는 거대한 패러다임을 만들어 낸 데에 있다. 유럽의 구조주의학파들은 ≪일반언어학 강의≫에 제시된 혁신적인 언어 이론과 인식론, 철학적 성찰을 수용해서 각기 독자적으로 연구 관점과 대상, 방법론을 쇄신해 학적 체계를 재구성해서 발전을 도모했다. 따라서 구조적 인식, 즉 구조의 틀 내에서 사고함으로써 과학의 제반 영역에서 숨겨진 보이지 않는 원리와 법칙을 발견하려는 인식과 과학적 절차를 제시한 공적은 바로 소쉬르에게서 유래한다. 인문학의 제반 영역, 즉 언어학을 비롯해 인류학, 문학, 철학, 정신분석학, 해석학, 기호학, 사회학과 같은 학문들이 경이적으로 발전한 것도 구조적 패러다임 덕택이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페르디낭 드 소쉬르(지은이)

1857년 11월 26일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나 1913년 2월 22일에 운명을 달리했다. 1876~1878년에 19세기 역사비교언어학을 주도한 라이프치히대학에서 수학했으며, 21세 나이에 인도유럽어 연구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인도유럽어 원시 모음 체계에 관한 논고」(1878)를 발표했다. 이후 파리 고등연구원에서 10년 동안 게르만어 비교문법, 그리스어와 라틴어 비교문법을 강의한 후, 모교 제네바대학교로 돌아가 1891년 인도유럽어 비교역사언어학과 산스크리트어 교수로 임명된다. 1896~1913년 동안 그리스어, 라틴어, 산스크리트어 비교역사문법, 게르만어 비교문법, 니벨룽겐을 강의했으며, 게르만 전설을 연구했다. 이 기간 동안 과학으로서 일반언어학의 근본적인 문제를 다룬 ‘일반언어학 강의’를 3차에 걸쳐 했는데 1907년 1차 강의, 1908~1909년 2차 강의, 1910~1911년 3차 강의가 그것이다. 20세기 현대 언어학의 이론적 토대를 수립하고 기호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의 가능성을 주창한 천재 언어학자이자 구조주의의 원류로 평가받으며, 루이 알튀세르, 롤랑 바르트, 조르주 바타유, 장 보드리야르, 피에르 부르디외, 자크 데리다, 미셸 푸코, 자크 라캉, 모리스 메를로-퐁티, 레비스트로스 등 20세기 사상 지형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독창적 사상가로도 자리매김하고 있다.

김현권(옮긴이)

1975년에 서울대 문리대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과정을 마쳤다. 파리7대학(DEA)에서 수학한 바 있으며 2002년에는 초빙교수로서 파리13대학 전산언어학연구소에서 연구했다. 한국언어학회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 명예교수로 일하고 있다. 역서로는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와 『일반언어학 노트』, 벵베니스트의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 1, 2』와 『인도유럽사회의 제도·문화 어휘 연구 1, 2』, 『마지막 강의』, 바르트부르크의 『프랑스어 발달사』, 로지의 『프랑스어 사회언어학사』, 렌프류의 『언어고고학』 등이 있고, 「소쉬르와 역사언어학의 전통」, 「동사의 다의와 전자사전에서의 표상」, 「소쉬르의 『인도유럽어 원시 모음체계 논고』와 『일반언어학 강의』의 방법론적 비교」, 「소쉬르의 《일반언어학강의》와 《제3차 강의노트》의 비교」 등 다수의 논문들을 발표했다. 또한 방송대학 대학원(아프리카 불어권 언어문화학과)에 있으면서 『아프리카 지정학』,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한 권으로 읽는 아프리카』를 번역 출간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초판 서문 = xv
재판 서문 = xxiii
3판 서문 = xxiv
서론
 제1장 언어학사 일별 = 3
 제2장 언어학의 주제와 과제 : 인접 과학과의 관계 = 14
 제3장 언어학의 대상 = 18
  1. 언어, 그 정의 = 18
  2. 인간언어 현상에서 차지하는 언어의 위치 = 25
  3. 인간 현상 내에서 언어의 위치, 기호학 = 33
 제4장 언어의 언어학과 발화의 언어학 = 38
 제5장 언어의 내적 요소와 외적 요소 = 43
 제6장 문자법에 의한 언어 표기 = 49
  1. 이 주제를 연구할 필요성 = 49
  2. 문자법의 위력, 구어 형태보다 우월한 원인 = 50
  3. 문자 체계 = 54
  4. 문자법과 발음의 불일치 원인 = 56
  5. 불일치의 결과 = 60
 제7장 음운론 = 67
  1. 정의 = 67
  2. 음운론적 문자 체계 = 69
  3. 문자 체계의 증언에 대한 비판 = 71
부록 음운론의 원리
 제1장 음운종(音韻種) = 79
  1. 음소의 정의 = 79
  2. 발성 기관과 그 기능 = 85
  3. 구강의 조음에 따른 음성 분류 = 90
 제2장 발화 연쇄의 음소 = 102
  1. 음성을 발화 연쇄에서 연구해야 할 필요성 = 102
  2. 내파와 외파 = 106
  3. 발화 연쇄에서 일어나는 외파와 내파의 결합 = 112
  4. 음절 경계와 모음점 = 117
  5. 음절 구분 이론에 대한 비판 = 119
  6. 내파와 외파의 지속 = 122
  7. 간극 4의 음소, 이중모음, 문자의 문제점 = 124
제1부 일반 원리
 제1장 언어 기호의 성격 = 133
  1. 기호, 기의, 기표 = 133
  2. 제1원리 : 기호의 자의성 = 138
  3. 제2원리 : 기표의 선적 특성 = 142
 제2장 기호의 불변성과 가변성 = 145
  1. 불변성 = 145
  2. 가변성 = 152
 제3장 정태언어학과 진화언어학 = 161
  1. 가치를 다루는 모든 과학의 내적 이중성 = 161
  2. 언어의 내적 이중성과 언어학사 = 166
  3. 실례를 통해서 본 언어의 내적 이중성 = 169
  4. 비교를 통해서 본 두 차원의 차이 = 178
  5. 방법과 원리가 대립되는 두 언어학 = 183
  6. 공시적 법칙과 통시적 법칙 = 186
  7. 범시적 관점이 있는가? = 193
  8. 공시와 통시의 혼동으로 생겨난 결과들 = 195
  9. 결론 = 199
제2부 공시언어학
 제1장 개요 = 207
 제2장 언어의 구체적 본체 = 210
  1. 본체와 단위, 정의들 = 210
  2. 단위 구분의 방법 = 213
  3. 단위 구분의 실제적 난점 = 215
  4. 결론 = 218
 제3장 동일성, 실체, 가치 = 220
 제4장 언어 가치 = 228
  1. 음성 재료로 조직된 사상으로서의 언어 = 228
  2. 개념적 측면에서 본 언어 가치 = 232
  3. 질료적 측면에서 본 언어 가치 = 240
  4. 전체로 본 기호 = 245
 제5장 통합 관계와 연합 관계 = 250
  1. 정의 = 250
  2. 통합 관계 = 252
  3. 연합 관계 = 255
 제6장 언어의 메커니즘 = 259
  1. 통합적 연대 = 259
  2. 두 형태의 어군의 동시적 기능 작용 = 261
  3. 절대적 자의성과 상대적 자의성 = 266
 제7장 문법과 그 하위 구분 = 272
  1. 정의 : 전통적 하위 구분 = 272
  2. 합리적 구분 = 275
 제8장 문법에서 추상적 본체의 역할 = 278
제3부 통시언어학
 제1장 개요 = 285
 제2장 음성 변화 = 292
  1. 절대적 규칙성 = 292
  2. 음성 변화의 조건 = 293
  3. 방법적 문제 = 296
  4. 음성 변화의 원인 = 299
  5. 음성 변화의 작용은 무한하다 = 308
 제3장 음성 진화의 문법적 결과 = 312
  1. 문법 관계의 단절 = 312
  2. 단어 합성의 소멸 = 314
  3. 음성적 쌍립어는 없다 = 317
  4. 교체 = 320
  5. 교체의 법칙 = 322
  6. 교체와 문법 관계 = 326
 제4장 유추 = 328
  1. 정의와 실례 = 328
  2. 유추는 변화가 아니다 = 332
  3. 유추 : 언어 창조의 원리 = 336
 제5장 유추와 언어 진화 = 344
  1. 유추 혁신은 어떻게 언어에 들어오는가? = 344
  2. 유추 혁신 : 해석 변화의 징조 = 346
  3. 유추 : 쇄신과 보존의 원리 = 350
 제6장 민간 어원 = 355
 제7장 교착 = 360
  1. 정의 = 360
  2. 교착과 유추 = 362
 제8장 통시적 단위, 동일성, 실체 = 366
 제2부와 제3부에 대한 보충 강의 = 373
 A. 주관적 분석과 객관적 분석 = 373
 B. 주관적 분석과 하위 단위의 결정 = 377
 C. 어원학 = 385
제4부 지리언어학
 제1장 언어의 다양성 = 391
 제2장 복잡한 지리적 다양성 = 396
  1. 한 지점에 여러 언어가 공존하는 경우 = 396
  2. 문학어와 지역 개별어 = 400
  제3장 지리적 다양성의 원인 = 403
  1. 본질적 원인, 시간 = 403
  2. 인접 지역에 대한 시간의 작용 = 407
  3. 방언에는 자연적 경계가 없다 = 412
  4. 언어들 사이에는 자연적 경계가 없다 = 417
 제4장 언어파의 전파 = 421
  1. 상호 교류와 지방색 = 421
  2. 단일 원리로 귀결되는 두 가지 힘 = 425
  3. 분리된 영토에서 일어나는 언어 분화 = 427
제5부 회고언어학의 문제, 결론
 제1장 통시언어학의 두 관점 = 437
 제2장 가장 오래된 언어와 원형 = 443
 제3장 재구 = 449
  1. 재구의 성격과 목적 = 449
  2. 재구의 확실성 정도 = 453
 제4장 인류학과 선사학에서 언어의 증언 = 457
  1. 언어와 인종 = 457
  2. 민족성 = 459
  3. 언어 고생물학 = 461
  4. 언어 유형과 사회 집단의 정신 = 467
 제5장 어족과 언어 유형 = 471
언어 주해 = 479
찾아보기 = 523
해설 = 537
지은이에 대해 = 546
옮긴이에 대해 = 54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