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왜 나는 법을 공부하는가 : 서울대 교수 조국의 내가 공부하는 이유 (13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국 류재운, 정리
서명 / 저자사항
왜 나는 법을 공부하는가 : 서울대 교수 조국의 내가 공부하는 이유 / 조국 지음 ; 류재운 정리
발행사항
파주 :   다산북스,   2014  
형태사항
247 p. ; 23 cm
ISBN
9791130602882
000 00667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802635
005 20140624183051
007 ta
008 140616s2014 ggk 000c dkor
020 ▼a 9791130602882 ▼g 13320
035 ▼a (KERIS)BIB000013498425
040 ▼a 211062 ▼c 211062 ▼d 211062 ▼d 211009
082 0 4 ▼a 340.092 ▼2 23
085 ▼a 340.092 ▼2 DDCK
090 ▼a 340.092 ▼b 2014z1
100 1 ▼a 조국 ▼0 AUTH(211009)31837
245 1 0 ▼a 왜 나는 법을 공부하는가 : ▼b 서울대 교수 조국의 내가 공부하는 이유 / ▼d 조국 지음 ; ▼e 류재운 정리
260 ▼a 파주 : ▼b 다산북스, ▼c 2014
300 ▼a 247 p. ; ▼c 23 cm
700 1 ▼a 류재운, ▼e 정리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117198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117198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1172110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5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212301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310488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51321280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513213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117198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117198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1172110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5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212301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310488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51321280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092 2014z1 등록번호 1513213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울대 교수이자 진보 지식인으로 활약하고 있는 조국 교수의 인생과 공부에 대한 여정을 담은 책. 이제껏 조국 교수가 출간한 사회과학서와 다르게 처음으로 자신의 맨얼굴을 진솔하게 풀어낸 책이다. 집필 기간에만 2년이 걸릴 정도로 심혈을 기울인 이 책은 류재운 작가가 인터뷰를 통해 조국 교수의 내밀한 이야기를 이끌어내 글로 구성하고, 이를 조국 교수가 전면 재구성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집필하며 최종적으로 완성됐다.

이 책에는 ‘엄친아’로만 보였던 조국 교수가 어쩌다가 만 16세에 서울대 법대에 입학하게 되었는지, 당시 최연소로 만 26세에 교수가 될 수 있었는지, 그러나 교수가 되자마자 왜 감옥에 가야 했는지,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대표 진보 지식인으로 활약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가 풍성하게 담겨 있을 뿐 아니라 ‘공부’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어 스토리의 흥미와 함께 깊이까지 담보하고 있다.

이 책은 ‘호모 아카데미쿠스(공부하는 인간)’ ‘호모레지스탕스(저항하는 인간)’ ‘호모 쥬리디쿠스(정의로운 인간)’ ‘호모 엠파티쿠스(공감하는 인간)’으로 이어진다.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 매순간 치열하게 고민했던 흔적을 총 4부로 나누어 구성한 것이다.

저자는 공부란 ‘자기 자신을 아는 길’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지금도 주말을 제외하곤 언제나 7평 연구실에 머무르며 전공 공부는 물론 사회를 공부하고 인간을 공부하는 일이 그에게는 여전히 즐겁다. ‘우리는 왜 공부해야 하는가’ 그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저자의 삶을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
그것이 내 공부 인생의 평생 화두였다

만 16세 서울대 법대 입학, 만 26세 당시 최연소 교수, 대표적인 진보 지식인…
이 모든 화려한 이력 뒤, 조국의 진짜 모습을 볼 수 있는 단 한 권의 책!


서울대 교수이자 진보 지식인으로 활약하고 있는 조국 교수의 인생과 공부에 대한 여정을 담은 『왜 나는 법을 공부하는가』는 이제껏 조국 교수가 출간한 사회과학서와 다르게 처음으로 자신의 맨얼굴을 진솔하게 풀어낸 책이다. 집필 기간에만 2년이 걸릴 정도로 심혈을 기울인 이 책은 류재운 작가가 인터뷰를 통해 조국 교수의 내밀한 이야기를 이끌어내 글로 구성하고, 이를 조국 교수가 전면 재구성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집필하며 최종적으로 완성됐다.
이 책에는 ‘엄친아’로만 보였던 조국 교수가 어쩌다가 만 16세에 서울대 법대에 입학하게 되었는지, 당시 최연소로 만 26세에 교수가 될 수 있었는지, 그러나 교수가 되자마자 왜 감옥에 가야 했는지,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대표 진보 지식인으로 활약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가 풍성하게 담겨 있을 뿐 아니라 ‘공부’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어 스토리의 흥미와 함께 깊이까지 담보하고 있다.
이 책은 ‘호모 아카데미쿠스(공부하는 인간)’ ‘호모레지스탕스(저항하는 인간)’ ‘호모 쥬리디쿠스(정의로운 인간)’ ‘호모 엠파티쿠스(공감하는 인간)’으로 이어진다.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 매순간 치열하게 고민했던 흔적을 총 4부로 나누어 구성한 것이다. 저자는 공부란 ‘자기 자신을 아는 길’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지금도 주말을 제외하곤 언제나 7평 연구실에 머무르며 전공 공부는 물론 사회를 공부하고 인간을 공부하는 일이 그에게는 여전히 즐겁다. ‘우리는 왜 공부해야 하는가’ 그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저자의 삶을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스펙사회에서 당신의 자존감을 지킬 유일한 방법은
공부를 즐기는 것이다”


남부러울 것 없는 이력부터 감옥 수감까지,
정반대의 이력을 가지고 있는 조국 교수가 들려주는 깊이 있는 공부 멘토링!
공부하기 싫은 사람, 앞날이 캄캄한 사람, 좌절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단비같은 책!

“내 삶의 두 축은 ‘학문’과 ‘참여’다!
서울대 조국 교수가 처음으로 풀어놓는 진솔한 스토리

울산대와 동국대를 거쳐 2001년부터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교수로서 법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는 조국 교수, 그가 신입생들에게 꼭 묻는 질문이 있다.
“공부를 잘해서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대법관, 검찰총장, 변호사, 교수 등의 선배들과 공부와는 거리가 멀었을 것 같은 조용필, 김기덕, 송강호, 김제동 같은 사람들 중 누가 더 성공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또 어떤 쪽이 더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었을까요?”
이 이야기를 들으면 학생들 표정은 떨떠름해진다. 그래도 조국 교수는 굴하지 않고 매번 묻는다. 학생들과 공유하고 싶은 공부 철학의 정수가 여기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판례를 읽으며 울컥하고, 나서서 고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실행방법을 찾아 동분서주하는, 교수이면서 정치적인 목소리도 서슴지 않는,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이 선정한 ‘양심수’이기도 한 이 수상한 남자, 그가 바로 서울대 조국 교수다.

놀고 싶어서 2년 일찍 학교를 들어갔던 아이,
책 속의 세상과 책 밖의 완전히 달랐던 세상을 깨닫다

1982년, 만 16세 서울대 법대 입학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던 한 소년, 여기에는 숨은 비화가 있다. 어느 날 골목에서 싹 사라져버린 친구들을 보니 모두 학교에 가 있는 게 아닌가. 소년은 어머니를 졸라 2년이나 일찍 학교에 들어간다. 정식 입학은 아니었지만 수업을 곧잘 따라오자 정식 입학까지 하게 된다.
경상도 부산에서 태어나 자갈치 시장에서 사람 구경을 하며 놀던 아이는 말썽쟁이 동생과 함께 다양한 사람들을 보고 자랐다. 공부를 잘해도 집안 사정 때문에 상고에 가는 친구들, 싸움만 하고 다니는 것 같아도 배려심이 넘쳤던 동생, 시장에서 큰소리 내며 장사하는 거칠지만 투박한 어른들 사이에서 소년은 절로 인간의 다양성을 알게 되었다. 고등학생 시절, 태어나 줄곧 박정희가 대통령이었던 세상을 살아온 소년이 본 한 독재자의 죽음, 대학시절 공부는 물론 연애도 뒷전이고 사회과학 책만 들입다 파고들던 잘생긴 청년, 만 26세 최연소 교수가 되었지만 바로 포승줄에 묶여 감옥에 가야 했던 이야기까지 따라가다 보면 지금 그가 왜 지금 화려한 이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굳이 정치에 대해 쓴소리를 멈추지 않는지,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무엇을 알려주고 싶어하는지, 이 사회를 어떻게 하면 보듬고 싶어 하는지에 대해 뜨겁게 느낄 수 있다.
돈 냄새보다 사람 냄새가 나는 세상을 만들고 싶어 공부한다는 그는, 자신이 정치인도, 시민운동가도, 철학자도, 구도자도 아니라고 밝힌다. 그저 그들과 손을 잡고 세상의 변화를 위해 나 자신의 역할과 소임을 기꺼이 하려는 공부하는 사람, 즉 학인(學人)일 뿐이라고 말이다.

이 시대 청년들에게 전하는 따뜻한 멘토링
“청소년 시기까지는 좋은 대학에 진학하는 것, 대학 입학 후에는 안정된 정규직 직장을 가지는 것만이 삶의 목표인 것처럼 말한다. 아이들은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소질이 있는지 생각하거나 느껴보지도 못하고 성적과 학점을 관리하고, 스펙을 쌓고, 각종 자격증을 따느라 여념이 없다.”

그는 많은 청년들이 도서관에서, 편의점에서, 사무실에서 빛을 바래고 있는 것을 안타까워한다. 학교 공부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으로 삶을 꾸려나가기 벅차하는 것 그 자체 때문이다. 스펙을 빼고 나면 초라한 인생, 무엇도 아닌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것은 슬픈 일이다.
이 책은 지금 치열하게 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용기를, 앞으로 공부를 통해 무엇인가를 실현해나가기를 꿈꾸고 있는 사람에게는 방향성을, 또한 이제껏 몰랐던 조국 교수에 대한 호기심이 있었던 사람이라면 그의 진면목을 발견하게 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조국(지은이)

1965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법학과에서 형사법을 전공하며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울산대학교와 동국대학교를 거쳐 2001년 12월부터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3년 한국형사법학회 ‘정암(定菴)형사법학술상’ 2008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우수연구상’을 받았다. 2017년 5월 이후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 민정수석비서관으로 권력기관 개혁에 매진했고, 2019년 9월 법무부장관에 임명되어 36일 동안 재직하면서 검찰개혁을 위해 노력했다. 지은 책으로는 『양심과 사상의 자유』 『형사법의 성편향』 『절제의 형법학』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인권의 좌표』 『차이의 정치와 정의』(공역)가 있다.

류재운(정리)

누군가에게 필요한 말을 글로 쓰는 것에 만족하며 지내는 글쟁이다. 지은 책으로는 『어린이를 위한 리우 선언』(공동작가), 『열두 살 키라의 만화경제교과서』(스토리작가), 『다윈코드』, 『경제위기, 내 돈을 지켜라』, 『 50만 원의 기적 - 가족의 미래를 바꾸는 아내의 비밀노트』, 『마켓3.0 시대의 스마트 비즈니스 전략』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시작하며 : 7평 연구실, 그곳에서 나는 세상을 꿈꾼다 = 6
1. '호모 아카데미쿠스' : 공부하는 인간  
 책상보다 골목이 좋았던 꼬마 = 14
 형은 '공부 1등', 동생은 '싸움 1등' = 24
 내가 가야 할 길을 스스로 선택하는 것 = 35
 학생은 '나'를 찾아가는 유목민이 되어야 한다 = 43
 몰입할 수 있는 대상을 찾다 = 48
 스펙을 빼고 나면… 나는 누구인가 = 55
 '일류 인생'이 '일류 행복'을 주는 건 아니다 = 64
 '운칠기삼' 그 30%의 가능성 = 73
2. '호모 레지스탕스' : 저항하는 인간  
 소년이 본 외눈박이 거인들의 세상 = 82
 책만으로는 배울 수 없는 진짜 세상을 보다 = 95
 사노맹 그리고 수감생활 = 106
 현재에 발 딛은 유토피아를 꿈꾸다 = 116
 변화는 내면의 작은 용기에서 시작된다 = 121
3. '호모 쥬리디쿠스' : 정의로운 인간  
 진보적 학풍의 심장, 버클리 = 130
 Kill your father! = 140
 법 공부를 잘하려면 = 147
 차가운 머리와 따뜻한 가슴을 함께 가지다 = 153
 '중용'의 '중'은 '가운데'가 아니라 '정확함' = 160
 가장 기피하던 '형사법'을 선택하다 = 168
 지금 청년에게 필요한 것은… = 175
 결국 문제 해결의 주체는 나 자신이다 = 183
4. '호모 엠파티쿠스' : 공감하는 인간  
 동네 '바보 형'에 대한 기억 = 194
 우리는 너무 많이 생각하고 적게 느낀다 = 200
 어리석음을 온몸으로 실천하는 '철부지'가 되자 = 208
 공감의 시대, 공감하는 인간 = 216
 늙지 않는 공부, 나보다 우리를 위한 시선 = 222
 '공적 지식인'이 된다는 것 = 234
 '진보적'이지만 '독립적'인 지식인 = 242
마무리하며 :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야" = 248
주석 = 25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