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503camcc2200529 c 4500 | |
001 | 000045802315 | |
005 | 20140619142110 | |
007 | ta | |
008 | 140618s2010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3892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071385 | |
040 | ▼a 247012 ▼c 247012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10z3 | |
110 | ▼a 한국교육과정학회 ▼0 AUTH(211009)68687 | |
245 | 1 0 | ▼a 교육과정 : ▼b 이해와 개발 / ▼d 한국교육과정학회 편 |
246 | 1 1 | ▼a Curriculum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0 | |
300 | ▼a xi, 615 p. ; ▼c 26 cm | |
500 | ▼a 집필자: 강성종, 강현석, 곽병선, 김경자, 김복영, 김성훈, 김원정, 김재춘, 김현정, 나장함, 박순경, 박창언, 박채형, 소경희, 손민호, 윤병희, 이원희, 임은정, 장인실, 조연순, 한혜정, 허창수, 홍후조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성종, ▼e 저 |
700 | 1 | ▼a 강현석, ▼e 저 |
700 | 1 | ▼a 곽병선, ▼e 저 |
700 | 1 | ▼a 김경자, ▼e 저 |
700 | 1 | ▼a 김복영, ▼e 저 |
700 | 1 | ▼a 김성훈, ▼e 저 |
700 | 1 | ▼a 김원정, ▼e 저 |
700 | 1 | ▼a 김재춘, ▼e 저 |
700 | 1 | ▼a 김현정, ▼e 저 |
700 | 1 | ▼a 나장함, ▼e 저 |
700 | 1 | ▼a 박순경, ▼e 저 |
700 | 1 | ▼a 박창언, ▼e 저 |
700 | 1 | ▼a 박채형, ▼e 저 |
700 | 1 | ▼a 소경희, ▼e 저 |
700 | 1 | ▼a 손민호, ▼e 저 |
700 | 1 | ▼a 윤병희, ▼e 저 |
700 | 1 | ▼a 이원희, ▼e 저 |
700 | 1 | ▼a 임은정, ▼e 저 |
700 | 1 | ▼a 장인실, ▼e 저 |
700 | 1 | ▼a 조연순, ▼e 저 |
700 | 1 | ▼a 한혜정, ▼e 저 |
700 | 1 | ▼a 허창수, ▼e 저 |
700 | 1 | ▼a 홍후조,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 2010z3 | Accession No. 1117193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과정 용어의 ‘세속화’와 교육과정 개정의 정치적 예속화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비학문적 논의가 지배적인 상황에서, 한편으로 교육과정 개정 현장과의 거리두기를 시도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교육과정 전공자들의 반성적 사고와 비판적 논의를 소개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이다. 이 글들을 통해서 최근 우리 사회에서 일고 있는 교육과정의 세속화나 예속화로 인하여 야기된 교육과정에 대한 혼란스러운 생각들이 정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00년대 이후 들어 우리 사회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은 교육과정 개정의 정치적 예속화이다. 교육과정이 일반시민들의 관심을 끌게 되자 대통령 후보들이 선거 공약으로 교육과정 개정을 약속하게 되었고, 그 결과 교육과정 개정은, 개정의 필요가 축적되거나 현장의 요구가 반영되어 이루어지기 보다는 새로운 정부가 등장하면서 선거 공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 처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 고시 직후 출범한 이명박 정부가 2009년 12월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함으로써 2010년 현재 우리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자율화’조치 외에도 제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동시에 적용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고 있으며, 현장의 많은 교사들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피로감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 책은 교육과정 용어의 ‘세속화’와 교육과정 개정의 정치적 예속화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비학문적 논의가 지배적인 상황에서, 한편으로 교육과정 개정 현장과의 거리두기를 시도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교육과정 전공자들의 반성적 사고와 비판적 논의를 소개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이다. 이 책의 글들을 통해서 최근 우리 사회에서 일고 있는 교육과정의 세속화나 예속화로 인하여 야기된 교육과정에 대한 혼란스러운 생각들이 정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한국교육과정학회(지은이)
<저술편찬위원회> 위원장: 김재춘(영남대학교 교수) 위 원: 김영천(진주교육대학교 교수), 성열관(경희대학교 교수), 소경희(서울대학교 교수), 한혜정(건국대학교 강사) <집필자 소개> 강성종(한국우진학교 교사) 강현석(경북대학교 교수) 곽병선(한국교육학회장) 김경자(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복영(인천대학교 교수) 김성훈(강원대학교 교수) 김원정(공주대학교 교수) 김재춘(영남대학교 교수) 김현정(호주 Griffith University 박사과정) 나장함(조선대학교 교수) 박순경(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 박창언(부산대학교 교수) 박채형(부산교육대학교 교수) 소경희(서울대학교 교수) 손민호(인하대학교 교수) 윤병희(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이원희(대구교육대학교 교수) 임은정(경북대학교 BK21 교수) 장인실(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조연순(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한혜정(건국대학교 강사) 허창수(인하대학교 강사) 홍후조(고려대학교 교수)

Table of Contents
제1부 교육과정의 이해 제1장 Schutz의 현상학적 동기 이론과 교육목적론 비판 / 윤병희 제2장 교육 가치론에 대한 하나의 시론: ''노동''으로서의 ''학교교육''대 ''놀이''로서의 교육 / 김재춘 제3장 교육과정 이해에 있어서의 ''텍스트 읽기''의 의미 / 박순경 제4장 미국의 전통주의자와 재개념주의자 간의 교육과정 담론의 함의: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 김복영·허창수 제5장 연구 전통별로 살펴본 수업에서의 질적 연구의 동향 및 과제 / 손민호 제6장 교육과정연구의 질적 연구에서 ''자서전적 방법''이 가지는 의의 / 한혜정 제7장 교사와 교육과정의 관계를 이해하기: Ted Aoki의 공헌 / 김성훈 제8장 Popkewitz의 관점에서 본 교육변화의 세계적 경향과 과제: 변화의 의도되지 않은 결과를 중심으로 / 나장함 제2부 교육과정의 개발 제9장 글로벌 시대의 교육과정 구성 방향 / 이원희 제10장 학교교육 맥락에서 ''역량''의 교육과정적 의미 / 소경희 제11장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의 탐색 / 곽병선 제12장 내러티브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과 과제 / 강현석 제13장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사례: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 조연순 제14장 일반계 고교 교육과정의 특성화와 다양화 방안 / 홍후조 제15장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모형 탐구 / 장인실 제16장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평가 모형 / 김경자 제17장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교사 / 박채형 제18장 교육내용과 교육법제 / 박창언 제19장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의사결정과정 이해 / 김원정 제20장 호주의 환경교육 교육과정 이해: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 김현정 제21장 한국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검토 과제 /강성종 제22장 대학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특징: 4개 대학 교양 교육과정 결정 사례를 중심으로 / 임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