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어 대화 화제와 말차례 체계

한국어 대화 화제와 말차례 체계 (Loan 1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성현 朴性眩
Title Statement
한국어 대화 화제와 말차례 체계 / 박성현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집문당,   2008  
Physical Medium
vi, 356 p. ; 24 cm
Series Statement
텍스트 언어학 총서 ;7
ISBN
893031363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29-238)과 부록수록
000 00666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802308
005 20140619143451
007 ta
008 140618s2008 ggk b 000c kor
020 ▼a 8930313639 ▼g 93710
035 ▼a (KERIS)BIB000011476548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410 ▼2 23
085 ▼a 410 ▼2 DDCK
090 ▼a 410 ▼b 1997g1 ▼c 7
100 1 ▼a 박성현 ▼g 朴性眩 ▼0 AUTH(211009)84259
245 1 0 ▼a 한국어 대화 화제와 말차례 체계 / ▼d 박성현
260 ▼a 파주 : ▼b 집문당, ▼c 2008
300 ▼a vi, 356 p. ; ▼c 24 cm
440 0 0 ▼a 텍스트 언어학 총서 ; ▼v 7
504 ▼a 참고문헌(p. 229-238)과 부록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 1997g1 7 Accession No. 1117194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 번에 한 사람이 말하고, 한 사람의 말이 끝나면 곧 다른 사람이 말을 하도록 해서 대화의 질서를 유지하는 말차례 체계는 여러 사회?관습적인 요인 외에 화제라는 언어내적인 요인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본서는 한국어의 실제 대화 자료의 분석을 통해 말차례 체계의 구체적인 운용과 화제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했다.
말차례 체계는 말차례를 구성하는 단위, 발화의 차례가 지켜지도록 하는 원리와 제약으로 이루어진다. 말차례 구성 기본 단위는 회복 가능한 생략 요소를 포함한 문장이다. 한국어에는 그 기본 단위의 마지막에 와서 말차례 단위 표지 역할을 하는 어미가 존재하며 그 단위 표지는 억양과 함께 화자 전환 가능 지점인 전이 적정 위치의 표지 역할을 한다. 그리고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은 누구나 말차례를 가질 수 있는데 대화 화제에 적정한 발화를 해야 한다.
대화에는 하나의 문장 경계를 넘어 여러 말차례가 함께 관련되게 말하고 있는 대화 화제가 존재하며, 하나의 대화 화제를 가지는 말차례 전부는 하나의 대화장을 형성한다. 각각의 대화장은 그 아래 하위 대화 화제를 가지는 하위 대화장을 가진다. 새로운 화제가 도입되면 화제 확립과정을 거치며, 화제는 계속해서 변화한다. 대화장과 대화장 사이에는 화제의 단절이 일어나는 화제 전환이 일어나고 하위 대화장 간에는 화제의 연결을 볼 수 있는 화제 추이가 일어나는데 그러한 화제 전개를 화제 전개도로 나타낼 수 있다.
대화 화제의 전개는 그 대화에 참여한 사람들이 가지는 목표와 관심사에 따라 달라지는데 특별한 목표나 관심사가 존재하면 이전의 화제로 돌아가는 화제 복귀가 많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운 화제만 도입되는 단순 화제 전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화제 복귀가 잦은 화제에 대한 대화장의 경우 말차례를 가지는 화자가 제한된다. 한편 대화가 끊기지 않도록 말차례를 가져야 할 경우 침묵을 지키는 것은 현재 화제에 대한 거부로 받아들여져 화제의 전환을 가져온다. 화제와 말차례 체계는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성현(지은이)

서울대학교 문학박사(언어학 전공)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대학 교수 [저서] 『외국어 습득론과 한국어 교수』 『한국어 대화 화제와 말차례 체계』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ⅲ
제1장 서론 = 1
 1.1. 연구 목적과 대상 = 3
 1.2. 말차례 체계에 대한 선행 연구 개관 = 4
 1.3. 말차례가지기 체계의 기본 개념 = 6
  1.3.1. 말차례 = 7
  1.3.2. 전이 적정 위치 = 8
  1.3.3. 말차례가지기 규칙 = 9
 1.4. 자료 = 10
 1.5. 전사 = 12
 1.6. 이 글의 구성 = 19
제2장 말차례 단위와 전이 적정 위치 = 21
 2.1. 말차례 구성 단위 = 24
  2.1.1. 통사적 구성 단위 = 24
  2.1.2. 정보 단위 = 40
 2.2. 겹침과 반응 발화 = 47
  2.2.1. 겹침 = 47
  2.2.2. 반응 발화 = 62
 2.3. 전이 적정 위치 = 68
제3장 한국어의 말차례가지기 체계 = 75
 3.1. 화자와 수령자 = 77
 3.2. 말차례와 관련된 단위로서의 말차례 = 85
  3.2.1. 반응 표현 부분 = 87
  3.2.2. 반응 요구 부분 = 99
  3.2.3. 중심 표현 부분 = 104
  3.2.4. 각 부분의 순서 = 107
  3.2.5. 각 부분과 관련된 겹침 = 112
 3.3. 말차례가지기 규칙 = 117
  3.3.1. 말차례가지기 규칙 = 117
  3.3.2. 그 밖의 몇 가지 = 125
제4장 대화의 화제 = 131
 4.1. 대화의 화제 = 133
  4.1.1. 대화 분석의 화제에 대한 선행 연구 = 133
  4.1.2. 대화 화제 = 135
 4.2. 대화 화제의 전개 = 156
  4.2.1. 대화 화제의 도입과 확립 = 157
  4.2.2. 화제 추이와 화제 전환 = 170
 4.3. 화제 표지 = 177
  4.3.1. 말차례 화제 표지 = 177
  4.3.2. 화제 전환 표지 = 187
제5장 대화 화제와 말차례가지기 = 195
 5.1. 말차례 체계에 대한 위반과 화제 전환 = 197
 5.2. 화제가 말차례가지기에 미치는 제약 = 204
제6장 결론 = 223
참고문헌 = 229
부록 = 23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