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민주주의혁명 시기 사회민주주의당의 두 가지 전술 개정판

민주주의혁명 시기 사회민주주의당의 두 가지 전술 개정판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Lenin, V.I. (Vladimir Il'ich), 1870-1924 최호정, 역
서명 / 저자사항
민주주의혁명 시기 사회민주주의당의 두 가지 전술 / 레닌 지음 ; 최호정 옮김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고양 :   박종철출판사,   2014  
형태사항
207 p. ; 21 cm
총서사항
레닌 에센스 ;02
ISBN
9788985022705 9788985022682 (세트)
요약
민주주의혁명과 노동자계급 / 김태호
일반주기
러시아어판 완역  
이 책은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 산하 맑스주의-레닌주의 연구소가 1984년에 발간한 러시아어판 『레닌선집(Избранные сочинения)』(전10권)의 해당 부분을 번역한 것임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02046
005 20170526173442
007 ta
008 140616s2014 ggk 000c kor
020 ▼a 9788985022705 ▼g 04300
020 1 ▼a 9788985022682 (세트)
035 ▼a (KERIS)BIB000013490803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rus
082 0 4 ▼a 335.43 ▼2 23
085 ▼a 335.43 ▼2 DDCK
090 ▼a 335.43 ▼b 2014z2 ▼c 2
100 1 ▼a Lenin, V.I. ▼q (Vladimir Il'ich), ▼d 1870-1924
245 1 0 ▼a 민주주의혁명 시기 사회민주주의당의 두 가지 전술 / ▼d 레닌 지음 ; ▼e 최호정 옮김
250 ▼a 개정판
260 ▼a 고양 : ▼b 박종철출판사, ▼c 2014
300 ▼a 207 p. ; ▼c 21 cm
440 0 0 ▼a 레닌 에센스 ; ▼v 02
500 ▼a 러시아어판 완역
500 ▼a 이 책은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 산하 맑스주의-레닌주의 연구소가 1984년에 발간한 러시아어판 『레닌선집(Избранные сочинения)』(전10권)의 해당 부분을 번역한 것임
520 4 ▼a 민주주의혁명과 노동자계급 / 김태호
700 1 ▼a 최호정, ▼e▼0 AUTH(211009)7481
740 2 ▼a Избранные сочинения
900 1 0 ▼a 레닌, 블라지미르 일리치, ▼e
900 1 0 ▼a Ленин, В.И. ▼q (Владимир Ильич),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3 2014z2 2 등록번호 1117190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레닌 에센스 2권. 당시까지 벌어졌던 어떤 민주주의혁명보다 급진적인 방식으로 급진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레닌과 볼셰비키의 주장을 담았다.

당시까지 벌어졌던 어떤 민주주의혁명보다 급진적인 방식으로 급진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레닌과 볼셰비키의 주장.

의심할 나위 없이 혁명은 우리를 가르치고, 인민 대중을 가르칠 것이다. 하지만 투쟁하는 정당에게 문제는 이제, 우리가 혁명에 뭔가를 가르칠 실력이 되겠는가 하는 점이다.
(「서문」 중에서)

사회민주주의자는 프롤레타리아트가 사회주의를 위하여 가장 민주주의적이고 공화주의적인 부르주아지 및 소부르주아지와 필연적으로 계급투쟁을 벌여야 한다는 것을 한순간도 잊어서는 안 된다. 이 점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사회민주주의당이 개별적이며 독자적인 엄격한 계급적 당이어야 할 절대적 의무가 이로부터 나온다.
(「10. “혁명적 꼬뮌”, 그리고 프롤레타리아트와 농민의 혁명적 민주주의 독재」 중에서)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지은이)

본명 블라디미르 일리치 울리야노프. 인류 최초의 성공한 노동자계급 혁명인 러시아 혁명을 지도하여 소련의 초대 국가원수가 되었다. 마르크스 이후 가장 위대한 혁명사상가이자 역사상 가장 뛰어난 혁명지도자로 인정받고 있다. 1870년 볼가 강변의 심비르스크에서 교육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나로드니키 운동에 참여했던 맏형 알렉산드르가 차르 암살 혐의에 연루되어 1887년 처형당한 것을 계기로, 반차르 운동과 마르크스주의에 관심을 갖게 된다. 같은 해 가을 카잔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했으나 불법집회에 참석했다가 제적당하고, 그후 추방된 혁명가들과 사귀면서 마르크스주의 사상서를 탐독했다. 1891년 최고 점수로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했으며, 1893년까지 변호사로 일했다. 이후 혁명운동에 투신하여 1895년 노동계급해방투쟁동맹을 조직했으며, 체포와 유형의 세월을 거친 뒤 1900년 국외로 망명, 독일 뮌헨에서 플레하노프, 마르토프 등과 함께 《이스크라Iskra》를 창간했다. 러시아 정부의 탄압 때문에 런던에서 열린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당 대회에서 당원 자격 문제를 놓고 플레하노프, 마르토프, 트로츠키와 맞서 직업적 혁명가주의를 관철시킴으로써 볼셰비키(다수파)가 되었다. 1905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귀국했으나 혁명의 실패로 1907년 다시 망명하여 주로 스위스에 머물면서 연구와 저술에 전념하다가, 1917년 2월 혁명 직후 독일의 봉인열차를 타고 귀국했다. 같은 해 10월 무장봉기로 부르주아 임시정부를 전복하고 프롤레타리아 혁명정권을 수립한 다음, 1919년 제3인터내셔널인 공산주의자 인터내셔널(약칭 코민테른)을 결성했다. 1924년 1월 21일 저녁 고리키에서 뇌동맥경화증으로 사망했다. 마르크스의 과학적 사회주의 사상을 발전시켜 레닌주의를 확립했으며, 세계를 해석하는 틀을 만든 마르크스를 뛰어넘어 세계를 변혁하는 실험에 최초로 성공했던 인물이다. 제국주의와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고, 세계 각국의 혁명운동과 사회주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최호정(옮긴이)

서울대학교 미학과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노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 빙엄턴에서 번역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옮긴 책으로는 『반투 스티브 비코』, 『도스또예프스키와 함께 한 나날들』, 『무엇을 할 것인가』, 『외국어 완전 정복』, 『킬러스 와이프』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9
1. 긴박한 정치 문제 = 15
2. 임시혁명정부에 관한 러시아사회민주주의노동자당 제3차 대회 결의안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것은 무엇인가? = 19
3. "짜르 체제에 대한 혁명의 결정적 승리"란 무엇인가? = 29
4. 군주제의 해소와 공화제 = 37
5. 어떻게 "혁명을 진전시켜야" 하는가? = 45
6. 일관성 없는 부르주아지와의 투쟁에서 손이 묶인 처지가 될 위험성은 어떤 쪽에서 프롤레타리아트를 위협하는가? = 50
7. "정부에서 보수주의자들을 제거하는" 전술 = 70
8.『해방』주의와 신『불꽃』주의 = 77
9. 혁명기에 극단적 반대파의 당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89
10. "혁명적 꼬뮌", 그리고 프롤레타리아트와 농민의 혁명적 민주주의 독재 = 94
11. 러시아사회민주주의노동자당 제3차 대회 결의안과 "협의회"의 몇몇 결의안의 개략적인 비교 = 109
12. 부르주아지가 민주주의혁명에서 물러서면 민주주의혁명의 강도가 약해지는가? = 116
13. 결론. 우리가 감히 승리할 수 있겠는가? = 129
후기 : 다시 한 번『해방』주의에 대해, 다시 한 번 신『불꽃』주의에 대해 = 144
 1. 부르주아 자유주의적 현실주의자들은 왜 사회민주주의적 "현실주의자들"을 찬양하는가? = 145
 2. 마르띠노프 동지, 문제를 새롭게 "심화"하다 = 155
 3. 독재에 대한 속류 부르주아적 묘사와 맑스의 견해 = 167
후주 = 181
인물 해설 = 190
간행물 해설 = 196
해제 : 민주주의혁명과 노동자계급 / 김태호 = 19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