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61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801972 | |
005 | 20140617131149 | |
007 | ta | |
008 | 140616s2014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68171307 ▼g 937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428.0071 ▼2 23 |
085 | ▼a 428.0071 ▼2 DDCK | |
090 | ▼a 428.0071 ▼b 2014 | |
100 | 1 | ▼a 황기동 ▼0 AUTH(211009)59865 |
245 | 1 0 | ▼a 현대 교실영어와 교수법 = ▼x Modern classroom English & teaching method / ▼d 황기동 지음 |
246 | 3 1 | ▼a Modern classroom English and teaching method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4 | |
300 | ▼a x, 323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03-316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8.0071 2014 | 등록번호 1117191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가 현재까지 연구한 교실영어를 이용한 교수법에 대한 주요 연구를 더 쉽게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대부분의 자료는 저자가 2008년 영국의 Birmingham 대학에서 TESL/TEFL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고 연구발표한 자료를 중점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에 사용된 교실영어와 교수법의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5년부터 2011년까지 본교에 재직 중인 원어민들의 회화수업에서 전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은 저자가 현재까지 연구한 교실영어를 이용한 교수법에 대한 주요 연구를 더 쉽게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대부분의 자료는 저자가 2008년 영국의 Birmingham 대학에서 TESL/TEFL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고 연구발표한 자료를 중점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에 사용된 교실영어와 교수법의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5년부터 2011년까지 본교에 재직 중인 원어민들의 회화수업에서 전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교재에 있는 교실 영어가 아닌 현재 사용되는 영어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원어민의 수업만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책은 현장 교실영어가 아니라 교수법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별도의 참고자료가 필요하지 않다. 이 책은 아홉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의 구성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1부 서론에서는 연구 주제에 대한 개략적 설명과 연구의 목적 및 방향을 서술하였다.
2부에서는 주제에 대해 현재까지 연구된 여러 학자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여기에 정리된 연구 자료는 장차 관련 분야의 연구에도 상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3부에서는 2부에서 제시된 교수법이론을 실제 우리 학생들의 수업에 적용하여 그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상당 부분이 최근의 교수법이론과 일치하지만, 이론과는 다른 몇 가지 특성도 드러나고 있었다. 또한 모든 분석에서 우리 학생들의 적극적인 담화 참여자료가 부족한 점이 아쉬운 부분으로 남았다.
4부에서는 이론 및 연구결과를 간단히 요약 정리하였다.
이 책은 영어 선생님의 교수 능력과 우리 학생들의 적극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데 다소 도움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1. 원어민 교실영어 = 1 1. 서론 = 1 2. 교실영어의 기능별 분류 = 3 3. 원어민 교실영어의 기능과 특성 = 12 4. 요약 및 결론 = 28 〈부록〉발화행위와 주요 표현 = 32 2. 교실 관용표현 = 73 1. 서론 = 73 2. 관용표현의 성질 = 75 3. 교실 관용 표현 = 91 4. 요약 및 결론 = 107 3. 어휘 교수법 = 109 1. 서론 = 109 2. 어휘 교수법에 대한 이론 = 112 3. 원어민 교사의 어휘 교수법 = 123 4. 요약 및 결론 = 138 〈부록〉어휘별 교수방법 = 140 4. 질문의 수정 = 141 1. 서론 = 141 2. 질문의 수정 이론 = 143 3. 원어민 교사의 수정 전략 = 150 4. 요약 및 결론 = 169 5. 전략적 능력과 성취 전략 = 171 1. 서론 = 171 2. 전략적 능력 = 172 3. 성취전략 = 182 4. 요약 및 결론 = 198 6. 학습자 질문 = 200 1. 서론 = 200 2. 질문의 의의와 분류 = 202 3. 학습자 질문 = 209 4. 요약 및 결론 = 227 〈부록〉학습자 질문의 유형 = 230 7. 질문에 대한 이론 = 235 1. 서론 = 235 2. 질문에 대한 규정 = 237 3. 질문에 대한 네 가지 이론 = 242 4. 요약 및 결론 = 251 8. 협력적 의미절충이론 = 253 1. 서론 = 253 2. 선행 이론 = 254 3. 협력적 의미절충이론의 특징 = 262 4. 요약 및 결론 = 274 9. 학습자의 의미절충 유발요인 = 277 1. 서론 = 277 2. 의미절충 유발요인 = 279 3. 학습자 유발 요인 = 283 4. 요약 및 결론 = 299 참고문헌 = 303 주요용어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