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동아시아) 영토분쟁과 국제협력

(동아시아) 영토분쟁과 국제협력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승률, 저 정경영, 저 전재성, 저
단체저자명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서명 / 저자사항
(동아시아) 영토분쟁과 국제협력 = Territorial disput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East Asia /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편
발행사항
서울 :   디딤터,   2014  
형태사항
432 p., 도판 [1]장 : 삽화(일부천연색) ; 23 cm
ISBN
9788996946816
일반주기
집필진: 이승률, 정경영, 전재성 외 10인  
감수: 우스 거버(Urs Gerber), 케빈 세퍼드(Kevin Shepard), 안드레이 란코프(Andrei Lankov)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92-408
000 01087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801945
005 20140617172644
007 ta
008 140520s2014 ulkaf b 000c kor
020 ▼a 9788996946816 ▼g 93340
035 ▼a (KERIS)BIB000013482883
040 ▼a 211048 ▼c 211048 ▼d 211048 ▼d 211009
082 0 4 ▼a 341.42 ▼2 23
085 ▼a 341.42 ▼2 DDCK
090 ▼a 341.42 ▼b 2014
110 ▼a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245 2 0 ▼a (동아시아) 영토분쟁과 국제협력 = ▼x Territorial disput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East Asia / ▼d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편
260 ▼a 서울 : ▼b 디딤터, ▼c 2014
300 ▼a 432 p., 도판 [1]장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3 cm
500 ▼a 집필진: 이승률, 정경영, 전재성 외 10인
500 ▼a 감수: 우스 거버(Urs Gerber), 케빈 세퍼드(Kevin Shepard), 안드레이 란코프(Andrei Lankov)
504 ▼a 참고문헌: p. 392-408
700 1 ▼a 이승률, ▼e▼0 AUTH(211009)17576
700 1 ▼a 정경영, ▼e▼0 AUTH(211009)39794
700 1 ▼a 전재성, ▼e▼0 AUTH(211009)34467
910 0 ▼a NACSI, ▼e
910 0 ▼a The Northeast Asian Community Studies Institute,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1.42 2014 등록번호 1117191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연구총서 제2집. 동아시아의 안정과 평화, 공동번영에 심대한 위협과 도전이 되고 있는 쿠릴열도/북방영토, 독도/다케시마,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 남중국해 난사군도 분쟁과 이어도/쑤옌자오 관할권 분쟁 등 주요 영토분쟁 별 배경과 이슈를 고찰 한 후 분쟁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2013년 초부터 1년 이상 동아시아 영토분쟁 직접 당사국 전문가는 물론 미국과 유럽의 전문가까지 참여하여 심층적이 연구와 치열한 토론을 거친 연구산물이다. 집필진들은 동아시아 영토분쟁이 군국주의 전쟁의 유산이며, 동아시아 세력재편과 맞물려 진행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전략인식하에 영토분쟁별 역사적 배경과 현안 이슈, 당사국의 입장과 해결방안, 지역과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동아시아 영토분쟁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방향 제시
본 책은 동아시아의 안정과 평화, 공동번영에 심대한 위협과 도전이 되고 있는 쿠릴열도/북방영토, 독도/다케시마,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 남중국해 난사군도 분쟁과 이어도/쑤옌자오 관할권 분쟁 등 주요 영토분쟁 별 배경과 이슈를 고찰 한 후 분쟁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2013년 초부터 1년 이상 동아시아 영토분쟁 직접 당사국 전문가는 물론 미국과 유럽의 전문가까지 참여하여 심층적이 연구와 치열한 토론을 거친 연구산물이다.
집필진들은 동아시아 영토분쟁이 군국주의 전쟁의 유산이며, 동아시아 세력재편과 맞물려 진행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전략인식하에 영토분쟁별 역사적 배경과 현안 이슈, 당사국의 입장과 해결방안, 지역과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영토분쟁 해결을 위해 동아시아에 또 다른 재앙을 자초할 군사적 방법이 아닌 외교안보협력과 위기관리시스템 구축 및 공동 개발 등 국제협력을 통한 전략과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동아시아 영토분쟁 진단과 처방이 필요한 이유
동아시아 영토분쟁은 지역 내 안보 현안 가운데 가장 중요하면서 민감한 이슈 중 하나이다. 쿠릴열도/북방영토, 독도/다케시마, 이어도/쑤옌자오, 센카구열도/댜오위다오, 남중국해 난사군도를 둘러싸고 진행되는 최근의 긴장은 동아시아 세력 재편과정에서 갈등으로 야기되고 있으며, 영토분쟁 당사국의 국익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데서 비롯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과 대결의 이면에는 미중 간 패권경쟁과 중일 간 경쟁관계과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지역 내 안보질서가 얼마나 불안정한가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문제가 평화적인 방법에 의해 해결되지 않는다면 관련국은 물론 지역과 국제사회의 안보 및 경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파괴력이 도사리고 있다. 영토분쟁으로 인한 양자 또는 지역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전략과 정책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이 절실한 이유다.
-서장 중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연구총서 제2집
연구총서 제1집 『제3의 지평: 동북아공동체와 한반도의 미래전략』(디딤터, 2012)에 이어 발간하는 총서 제2집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엮은이)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주관 하에 진행된 '신(新)북방정책' 연구에 참여한 8명 <b>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설립 목적 </b> 동북아 국가 간의 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제관계를 조성하고 역내 시장의 자유화와 경제공동체 건설을 위한 제도적 협력방안을 연구, 정책개발, 정책자문, 용역사업 및 공익사업을 수행함으로써 한반도를 주축으로 하는 동북아지역의 경제발전과 평화번영에 기여하고자 한다. <b>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사업 소개</b> 첫째,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동북아 국가 간의 인적교류, 기술이전 및 문화교류와 차세대 교육을 위한 비전학습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둘째, 남북한 및 주변국가와의 관계개선을 위한 동북아 경제, 교육, 문화, 역사, 평화전략에 관한 연구 및 용역사업을 수행하며, 셋째, 남북한 경제협력 및 동북아경제공동체 연구를 위한 국제 간 정보제공과 교류협력을 통해 공동체 형성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넷째, 동북아미래포럼, 전문가정책포럼, 국제학술회의, 학술세미나, 이슈진단전문가포럼, 한반도통일경제포럼, 동북아 역내국가 현지전문가들과의 한반도정책진단 등을 개최하며, 이 산물을 학술자료 발간과 뉴스레터로 배포한다. <b>집필진 (집필 순)</b> 이승률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이사장 박종수 GEPI 이사장 성원용 인천대학교 동북아국제통상학부 교수 윤성학 고려대학교 러시아CIS연구소 CORE 교수 유영철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국제전략실장 변현섭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 김동수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책임연구원 이태림 법무법인 세종 러시아PG 선임외국변호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발간사 = 5
머리말 = 8
서장 / 정경영 = 15
제1부 동아시아 패권경쟁과 주요 국가의 전략 평가 = 29
 제1장 패권경쟁이 동아시아 질서에 미치는 함의 = 37
  제1절 미중 글로벌 패권경쟁 / 전재성
  제2절 중일 지역 패권경쟁 / 리춘푸
  제3절 영토분쟁이 지정학과 경제에 미치는 함의 / 홍정표
 제2장 주요 국가의 전략 및 군사력 평가 = 81
  제1절 미국의 전략과 군사력 / 김홍철
  제2절 중국의 전략과 군사력 / 박창희
  제3절 일본의 전략과 군사력 / 다케사다 히데시 ; 정경영
  제4절 러시아의 전략과 군사력 / 박종수
제2부 동아시아 영토분쟁 당사국의 시각 = 149
 제1장 쿠릴열도/북방영토 분쟁 = 159
  제1절 러시아 시각 / 박종수
  제2절 일본 시각 / 다케사다 히데시
 제2장 독도/다케시마 영토분쟁 = 177
  제1절 한국 시각 / 김동명
  제2절 일본 시각 / 다케사다 히데시
 제3장 이어도/쑤옌자오 관할권분쟁 = 205
  제1절 한국 시각 / 한관수
  제2절 중국 시각 / 리춘푸
 제4장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 영토분쟁 = 235
  제1절 일본 시각 / 다케사다 히데시
  제2절 중국 시각 / 리춘푸
 제5장 남중국해 난사군도 영토분쟁 = 251
  제1절 중국 시각 / 리춘푸
  제2절 아세안 시각 / 제프리 오다니엘
  제3절 제3의 시각 / 박창희
제3부 국제협력을 통한 영토분쟁 해결방안 = 281
 제1장 유럽 사례와 시사점 / 에릭 쥬앙 = 287
 제2장 외교적 해결방안 / 김홍철 = 297
 제3장 안보협력방안 / 정경영 = 311
 제4장 경제협력방안 / 이승률 ; 정경영 = 339
결론 및 정책제안 / 정경영 = 369
참고문헌 = 392
핵심어 = 409
집필진 약력 = 41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