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다문화가정 구성원에 대한 투트랙(two track)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시균 朴時均
서명 / 저자사항
다문화가정 구성원에 대한 투트랙(two track)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 박시균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13  
형태사항
576 p. : 도표 ; 24 cm
총서사항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60집
ISBN
9788930316309 9788930315005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 437-446)과 색인, 부록수록
000 00851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801779
005 20140613135859
007 ta
008 140120s2013 ulkd b 001c kor
020 ▼a 9788930316309 ▼g 94370
020 1 ▼a 9788930315005 (세트)
035 ▼a (KERIS)BIB000013365864
040 ▼a 211032 ▼c 211032 ▼d 211032 ▼d 211009
082 0 4 ▼a 495.780071 ▼2 23
085 ▼a 497.80071 ▼2 DDCK
090 ▼a 497.80071 ▼b 2013z3
100 1 ▼a 박시균 ▼g 朴時均 ▼0 AUTH(211009)63292
245 1 0 ▼a 다문화가정 구성원에 대한 투트랙(two track)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 ▼d 박시균
246 3 ▼a 다문화가정 구성원에 대한 투트랙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260 ▼a 서울 : ▼b 집문당, ▼c 2013
300 ▼a 576 p. : ▼b 도표 ; ▼c 24 cm
440 0 0 ▼a 아산재단 연구총서 ; ▼v 제360집
504 ▼a 참고문헌(p. 437-446)과 색인, 부록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97.80071 2013z3 등록번호 1117189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97.80071 2013z3 등록번호 5110227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80071 2013z3 등록번호 1513213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97.80071 2013z3 등록번호 1117189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97.80071 2013z3 등록번호 5110227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80071 2013z3 등록번호 1513213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재 한국에서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에 대한 한국어 교육에 대해 실제적이고 깊이 있게 접근한 책. 이 책은 이주여성과 그 자녀를 전체적인 큰 틀 안에 같이 넣고 연구한 것이 특징이다. 결혼이주여성과 자녀는 같은 가정의 구성원이고 또 자녀의 학교 교육 등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본서는 현재 한국에서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에 대한 한국어 교육에 대해 실제적이고 깊이 있게 접근한 책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저서 및 논문들이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분리해서 한국어/국어 교육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를 다루고 있지만 본서는 이주여성과 그 자녀를 전체적인 큰 틀 안에 같이 넣고 연구한 것이 특징이다. 결혼이주여성과 자녀는 같은 가정의 구성원이고 또 자녀의 학교 교육 등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투 트랙(two track)이란 표현이 사용되었고 교육기관에 대한 실제 현장 조사와 이들 구성원들에 대한 다차원적 시각을 반영하기 위해 결혼이주여성(534), 다문화가정 자녀(182), 이주여성에 대한 한국어 교사(32), 다문화가정 자녀를 가르치는 유치원, 초, 중, 고 교사(153), 일반 한국인(490)에 이르기까지 총 인원 1,391명에 다차원적 설문조사를 진행해 설문조사와 현장조사의 분석 결과를 싣고 이들 구성원들에 대한 종합적이고 유기적인 한국어/국어 교육의 방안을 찾고 있다.
설문조사는 한국어 교육 방안에 가장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다문화’라는 개념과 ‘다문화 가정’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 국어교육(국어교원 자격증 주관부처: 교육부) 대 한국어교육(한국어교원 자격증 주관부처: 문화관광부)의 모호한 영역 경계 및 갈등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본서를 통해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사회적 이슈인 ‘다문화 문제’ 및 ‘다문화가정’ 문제에 대한 다양한 계층의 시각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시균(지은이)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국어학·언어학 학사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국어음운론 석사 호주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음성학·음운론 박사 (현) 군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YTN 뉴스말모이 감수위원 (현) KBS 한국어진흥원 자문위원 (전) 한국어교원 3급 국어음운론·음성학 출제위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37
 1.2.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의 범위와 내용 = 39
제2장 다문화가정의 실태
 2.1. 결혼이주여성 현황 = 49
 2.2.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 57
 2.3. 학교별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 61
제3장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문제점
 3.1. 언어장벽 = 70
 3.2. 경제적 어려움 = 71
 3.3. 문화차이 = 73
 3.4. 자녀양육 = 75
 3.5. 편견 및 차별 = 77
제4장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에 대한 한국어/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현 실태
 4.1.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실태 = 81
 4.2.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한)국어 교육 현황 = 91
  4.2.1.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현황 = 92
  4.2.2.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재 현황 = 96
  4.2.3. 다문화가정 자녀 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육 쪽에서의 접근 = 99
  4.2.4.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언어교육)과 관련된 최근 연구 = 101
 4.3. 정부기관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현황 = 105
  4.3.1. 여성가족부 = 105
  4.3.2. 법무부 = 107
  4.3.3. 교육부 = 108
  4.3.4. 전북지역 기관별 한국어 교육 관련 현황 = 111
  4.3.5. 전라북도 3대 도시와 광주광역시의 한국어 교육사업 실제 만족도 연구 = 114
제5장 한국어 교원 현황과 보완 대책
 5.1.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어 교원 현황 = 151
 5.2. 다문화가정 자녀와 국어 교원 현황 = 155
제6장 설문조사
 6.1. 결혼이주여성 = 165
  6.1.1. 피조사자 선택방법 = 165
  6.1.2. 피조사자 수 및 조사형태 = 166
  6.1.3. 설문조사 문항분석 = 167
  6.1.4. 설문조사 결과분석 = 170
 6.2. 다문화가정 자녀 = 193
  6.2.1. 피조사자 선택방법 = 193
  6.2.2. 피조사자 수 및 조사형태 = 194
  6.2.3. 설문조사 문항분석 = 195
  6.2.4. 설문조사 결과분석 = 197
 6.3.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 = 228
  6.3.1. 피조사자 선택방법 = 228
  6.3.2. 피조사자 수 및 조사형태 = 229
  6.3.3. 설문조사 문항분석 = 229
  6.3.4. 설문조사 결과분석 = 231
 6.4.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 = 260
  6.4.1. 피조사자 선택방법 = 260
  6.4.2. 피조사자 수 및 조사형태 = 261
  6.4.3. 설문조사 문항분석 = 261
  6.4.4. 설문조사 결과분석 = 263
 6.5. 비다문화가정 = 300
  6.5.1. 피조사자 선택방법 및 목적 = 300
  6.5.2. 피조사자 수 및 조사형태 = 300
  6.5.3. 설문조사 문항분석 = 301
  6.5.4. 설문조사 결과분석 = 302
 6.6. 각 피조사 집단 간 비교 분석 = 312
  6.6.1. 각급별 다문화가정 자녀 비교 = 313
  6.6.2.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 비교 = 330
  6.6.3.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각급별 교사 비교 = 344
  6.6.4. 다문화가정 구성원별 다문화 인식 비교 = 355
  6.6.5. 비다문화가정 구성원별 다문화 인식 비교 = 359
제7장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위한 투 트랙의 개선된 한국어 교육방안의 제시
 7.1.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어 교육방안 = 374
  7.1.1.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어 교육방안 = 374
  7.1.2. 교사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 및 (재)교육방안 = 391
  7.1.3. 교사 양성 질 강화를 위한 방안 = 396
  7.1.4. 일반 국민에 대한 다문화이해 교육방안 = 398
  7.1.5. 제도 및 여건 개선방안 = 401
 7.2.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한국어 교육방안 = 405
  7.2.1.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한)국어 교육방안 = 405
  7.2.2. 교사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 및 (재)교육방안 = 410
  7.2.3. 교사 양성 질 강화를 위한 방안 = 411
  7.2.4. 일반학생 및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다문화이해 교육방안 = 412
  7.2.5. 제도 및 여건 개선방안 = 414
 7.3. 한국어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한 그 밖의 개선방안 = 424
제8장 결론 = 431
참고문헌 = 437
부록 1: 결혼이주여성 대상 설문지 = 447
부록 2: 결혼이주여성 대상 설문지(중국어) = 461
부록 3: 결혼이주여성 대상 설문지(일본어) = 475
부록 4: 결혼이주여성 대상 설문지(베트남어) = 490
부록 5: 다문화가정 자녀 유아, 초등 저학년 대상 설문지 = 505
부록 6: 다문화가정 자녀 초등 고학년, 중고등학생 대상 설문지 = 511
부록 7: 한국어 집합교사 대상 설문지 = 518
부록 8: 한국어 방문교사 대상 설문지 = 527
부록 9: 유아교사 대상 설문지 = 536
부록 10: 초등교사 대상 설문지 = 542
부록 11: 중ㆍ고등교사 대상 설문지 = 548
부록 12: 비다문화가정 대상 설문지 = 554
부록 13: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 = 561
찾아보기 = 57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