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나, 소시오패스 : 차가운 심장과 치밀한 수완으로 세상을 지배한다 (Loan 3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Thomas, M. E. 김학영, 역
Title Statement
나, 소시오패스 : 차가운 심장과 치밀한 수완으로 세상을 지배한다 / M. E. 토머스 지음 ; 김학영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푸른숲,   2014  
Physical Medium
383 p. ; 23 cm
Varied Title
Confessions of a sociopath : a life spent hiding in plain sight
ISBN
9791156755173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Psychopaths
000 00885namcc2200289 c 4500
001 000045801695
005 20140612085246
007 ta
008 140611s2014 ggk 000c kor
020 ▼a 9791156755173 ▼g 031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6.85/82 ▼2 23
085 ▼a 616.8582 ▼2 DDCK
090 ▼a 616.8582 ▼b 2014
100 1 ▼a Thomas, M. E.
245 1 0 ▼a 나, 소시오패스 : ▼b 차가운 심장과 치밀한 수완으로 세상을 지배한다 / ▼d M. E. 토머스 지음 ; ▼e 김학영 옮김
246 1 9 ▼a Confessions of a sociopath : ▼b a life spent hiding in plain sight
246 3 0 ▼a 소시오패스
260 ▼a 파주 : ▼b 푸른숲, ▼c 2014
300 ▼a 383 p. ; ▼c 23 cm
650 0 ▼a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650 0 ▼a Psychopaths
700 1 ▼a 김학영, ▼e
900 1 0 ▼a 토머스, M. E.,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6.8582 2014 Accession No. 12122995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6.8582 2014 Accession No. 15132367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6.8582 2014 Accession No. 12122995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6.8582 2014 Accession No. 15132367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전 세계 백만 명 이상이 방문한 블로그 ‘소시오패스월드 닷컴’의 운영자이자 현직 법학 교수인 M. E. 토머스. 그녀는 제 발로 의사를 찾아가 소시오패스 검사와 진단을 요구했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뼈대로 검증된 이론과 블로그에서 수많은 사람들과 나눈 간접 경험을 더해 어렴풋한 소시오패스의 이미지를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그녀의 말에 따르면, 소시오패스는 정말로 위험하다. 그들은 공감을 모르며 충동에 따라 행동한다. 또 사람들을 조종하고 파멸시킬 수 있으며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일반적이지 않은 자신의 모습을 명확히 인식하고 보통 사람들 틈에 섞여 살아가기 위해 필사적으로 사회적 규범을 학습한다. 부단한 연습을 통해 타인들의 감정에 공감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

이 책은 위험한 소시오패스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보통 사람들에게 보내는 ‘경고’이자 자신이 다른 존재임을 인정해달라는 수줍은 ‘말 걸기’다. 소시오패스들을 위한 ‘변명’이자 그들을 대표한 ‘고백’이다. 위험하지만 치명적인 매력의 소유자 소시오패스, 그들은 자기 자신을 이렇게 인식하고 있다. “소시오패스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방법으로 세상을 더욱 다채롭고 흥미진진하게 만들어주는 사람들이다.”

우리 사회에서 25명 중 1명은 소시오패스다
하지만 당신은 나를 결코 알아채지 못할 것이다

‘친사회적’이고 ‘성공한’ 소시오패스인 저자가 고백하는
그들의 위협적인 영향력의 실체

[출간 의의]

두려움이자 선망의 대상인 소시오패스의 과감한 자기고백을 담은 책, 《나, 소시오패스(Confessions of a Sociopath)》가 도서출판 푸른숲에서 출간되었다. 소시오패스는 최근 드라마나 영화, 소설에 꾸준히 등장할 정도로 인기 있는 소재다.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으로, 또 셜록 홈즈나 닥터 하우스처럼 닮고 싶을 정도로 매력적이면서 비범한 능력을 가진 괴짜로 그려지고 있다. 현실에서의 그들은 기업이나 조직의 최상층에 올라갈 확률이 높다. 이른바 ‘성공한’ 사람들 중에 소시오패스가 많다는 얘기다. 카리스마, 뛰어난 지적 능력과 집중력, 지나친 합리성 등 그들의 특성이 현대 사회가, 특히 기업과 조직이 선호하는 인간상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에 25명 중 1명꼴로 소시오패스가 있다고 하니(이는 우울증이나 식이 장애 환자들보다 더 많은 수치다), 우리는 좋든 싫든 이들의 영향력 안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그들의 실제 모습은 어떨까?
여기에 해답을 준 한 사람이 있다. 전 세계 백만 명 이상이 방문한 블로그 ‘소시오패스월드 닷컴www.sociopathworld.com’의 운영자이자 현직 법학 교수인 M. E. 토머스다. 제 발로 의사를 찾아가 소시오패스 검사와 진단을 요구했던 그녀는 자신의 삶을 뼈대로 검증된 이론과 블로그에서 수많은 사람들과 나눈 간접 경험을 더해 어렴풋한 소시오패스의 이미지를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어린 시절부터 학창시절, 검사와 변호사로 활동한 때 그리고 존경받는 법학 교수가 된 지금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삶을 소상하게 독자들 앞에 펼쳐놓으며 소시오패스라는 다르면서도 특별한 인간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다.
그녀의 말에 따르면, 소시오패스는 정말로 위험하다. 그들은 공감을 모르며 충동에 따라 행동한다. 또 사람들을 조종하고 파멸시킬 수 있으며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일반적이지 않은 자신의 모습을 명확히 인식하고 보통 사람들 틈에 섞여 살아가기 위해 필사적으로 사회적 규범을 학습한다. 부단한 연습을 통해 타인들의 감정에 공감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 이 책은 위험한 소시오패스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보통 사람들에게 보내는 ‘경고’이자 자신이 다른 존재임을 인정해달라는 수줍은 ‘말 걸기’다. 소시오패스들을 위한 ‘변명’이자 그들을 대표한 ‘고백’이다. 위험하지만 치명적인 매력의 소유자 소시오패스, 그들은 자기 자신을 이렇게 인식하고 있다. “소시오패스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방법으로 세상을 더욱 다채롭고 흥미진진하게 만들어주는 사람들이다.”

[내용 소개]

소시오패스, 그들은 누구인가


소시오패스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라고도 부를 수 있는데,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DSMMD,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rs)에서는 이것을 ‘타인의 인권을 무시하거나 방해하는 광범위한 패턴’으로 규정하고 있다. 여러 가지 이론이 있지만 선천적으로 타고난 기질이 후천적으로 강화되거나 소멸되기도 한다는 이론이 학계에서 가장 힘을 얻고 있다. 선천적으로 타고났다는 점은 그들의 뇌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는데, 뇌에서 나타나는 특질은 다음과 같다.

-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회백질이 매우 적다.
- 감정 센터인 편도체가 작으며, 의사결정과 관련이 깊은 전전두엽 피질과 편도체 사이의 연결도 빈약하다: 이들의 생각이 감정의 지배를 받지 않을 뿐 아니라 감정에 이끌려 의사를 결정하지 않는다는 점을 의미한다.
- 뇌의 양쪽 반구에 퍼진 뇌량(좌우의 대뇌반구를 언결하는 부분)이 길고 가늘다: 반구 사이의 정보 교환이 비정상적으로 빠르다.
- 자극에 반응할 때 뇌에서 분비되는 도파민은 보통 사람들의 네 배에 달한다: 소시오패스의 충동성과 위험 추구적 성향이 설명된다.
- 보통 사람에 비해 백질이 평균 22~26퍼센트 많다: 백질은 정보를 조합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상관없는 사실들을 조합해 거짓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지어내는 능력이 더 높다는 것을 뜻한다.

내가 소시오패스임을 알게 된 순간

저자는 변호사인 아버지와 피아노 교사였다가 배우로 데뷔한 어머니 밑에서 셋째 아이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자잘한 절도, 방화, 폭력 등 말썽을 저질렀지만 공부를 잘하고 독서를 좋아했던 덕에 선머슴 취급을 받긴 했어도 문제아로 낙인찍히지는 않았다. 학교 성적은 늘 상위권이었고 대학에서는 충동적으로 타악기를 전공했다. 졸업 후 음악 관련 일을 하다 역시 충동적으로 로스쿨에 들어갔다. 별다른 준비 없이도 들어갈 수 있는 전문대학원이었기 때문이다. 입학시험 성적이 좋아 아이비리그 중 한 곳의 로스쿨에 들어갔고 수석으로 졸업했다. 이후 로스앤젤레스에서 최고로 꼽히는 로펌에 들어갔으나 업무에 흥미를 느끼지 못해 근무 태만으로 해고당했다.
2년 동안 실업 급여로 연명하면서 충동에 사로잡혀 살아왔던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과정을 가졌다. 로펌 인턴 시절에 한 동료에게서 ‘혹시 소시오패스가 아니냐’라는 질문을 받은 것이 떠올라 관련 서적들을 탐독하고 소시오패스적인 성향 탓에 자신이 문제를 겪고 있는 것이라는 자가진단을 내렸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안도감을 느꼈다. 자신의 상황을 ‘소시오패스’로 설명할 수 있다면 세상에 자기와 비슷한 사람들이 더 있으리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녀는 ‘소시오패스월드 닷컴’이라는 블로그를 개설해 ‘종족’을 찾아나섰다. 블로그에 글을 쓰고 달린 댓글들로 소통하면서 때로는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의 이메일을 받으면서 소시오패스라는 성향을 더욱 명확히 인식하게 되었다.

내 뇌에는 ‘꺼짐 스위치’가 없다
_소시오패스를 이해하는 키워드 ①충동과 무공감


그녀의 삶은 충동과 무공감이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소시오패스는 “잠재적 위험, 정신적 충격,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 대해 자연스러운 불안감이나 공포심이 적기” 때문에 난폭 운전, 소소한 절도, 찻길에서 자전거 타기 등 일상생활에서도 충동 욕구를 충족하는 위협적인 행동들을 벌이고 인생의 중대사인 진로를 즉흥적으로 결정한다. 가진 돈을 몽땅 털어 고위험 옵션 상품에 투자했다가 모조리 날리기도 한. 더욱 의아한 것은 이러한 일에 그녀는 전혀 충격을 받거나 동요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녀는 “끊임없이 장밋빛 렌즈를 통해 세상을 바라볼 만큼 낙천적이고 자부심이 극단적으로 넘치는 사람”으로 자신을 설명한다.
충동에 충실한 결과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기도 하는데, 이는 선천적으로 공감 능력이 결여되었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이들은 사회에서 도덕이 존재한다는 것은 알지만 이를 꼭 지켜야 한다는 의무적인 압박감이 없다. 친구와 동업을 하면서 몇 달 동안 적자를 내는 상황이었고, 친구는 암에 걸린 아버지를 간호하느라 지친 상태였지만 그녀는 자신이 타인을 판단하는 잣대, 즉 유용성 측면에서 그 친구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이유로 아무렇지도 않게 절교해버린다.(p.196) 때로는 동네에서 남의 자전거를 몰래 타다가 발견한 주인이 화를 내자 그런 상황에서는 응당 사과해야 한다는 점을 알지 못해 사용료를 지불하겠다는 발언으로 자전거 주인을 폭발하게 만들기도 한다.(p.191)

여덟 살 때 나는 바다에서 수영을 하다가 거의 빠져 죽을 뻔했다. 자세한 부분까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나를 압도해버린 바다의 힘만은 분명히 기억한다. 마치 공기처럼, 부정형의 거대한 물이 나를 산 채로 삼키려 했다. 어머니 말로는 인명 구조원이 나를 물에서 꺼내 인공호흡을 했는데 호흡이 돌아오자마자 내가 깔깔거리며 웃었단다. 절묘한 타이밍! 죽음은 어느 순간에도 찾아올 수 있다는 것을, 하지만 뭐 그리 나쁘지만은 않다는 것을 그 순간에 깨달았다. 죽음에 대한 공포는 거기서 더 커지지 않았다. _p.150

성공 사다리의 꼭대기를 차지하는 사람들
_소시오패스를 이해하는 키워드 ②성공


소시오패스가 성공을 추구할까? 그보다 본성에 충실하다 보니 성공에 이르렀다고 말하는 편이 더 정확하다. 소시오패스의 특질은 그들이 기업이나 조직의 리더일 때 빛을 발한다. 경영자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에서 최상층 관리자는 ‘훌륭한 의사전달자, 뛰어난 전략적 사색가, 창의성이 뛰어난 사람’으로 보인다고 밝혀졌다. 동시에 이들은 소시오패스 특질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소시오패스는 사회적 규범에 얽매이지 않는다. 도덕적 판단보다 그저 자신의 위치에서 최고의 결과를 이끌어내는 데만 집중한다. 저자는 아이비리그 중 한 곳의 로스쿨을 수석으로 졸업했다. 그녀의 이력서는 겉으로 보기엔 아무런 흠결이 없다. 그러나 올A를 받기 위해 수업을 골라 듣고 교수님에게 성적을 올려달라고 요구하고 학내 법률 리뷰에 양성평등 원칙을 들이대어 편집위원 자리를 얻어내고 그 경력을 이용해 로펌에 인턴으로 들어간다. 졸업 후에는 최고로 꼽히는 로펌에 취직하고, 이후 검사, 개업 변호사를 거쳐 매 학기마다 강의 평가에서 최고점을 받는 법학 교수로 승승장구한다.
저자는 홀로코스트 생존자의 손해배상 청구 건을 맡은 적이 있다. 남편은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부인은 서류가 약간 이상했고 빠진 부분이 있었다. 저자는 보증인을 세워보자는 제안을 했는데, 부인이 “이 서류는 내가 아니예요”라면서 극구 만류했다. 부인은 유대인이 아니었고 서류를 훔쳐냈던 것이다. 보통 사람들이라면 사건 자체를 맡는 것을 꺼렸겠지만, 저자는 흔쾌히 노부인을 도와 서류를 완벽하게 꾸며냈다.(p.23~25)
소시오패스들이 가진 또 다른 능력, ‘조종’을 통해 그녀는 법조인인 자신의 직업에서 뛰어난 능력을 드러낸다. 재판에서 그녀는 배심원을 선정할 때부터(미국에서는 재판에 참석하는 검사와 변호사가 인터뷰를 통해 배심원을 고른다) 그들에게 간단한 질문을 던지는 척 기를 살려주면서 그들을 조종한다. 재판이 시작되기도 전에 그들을 사로잡는 것이다.

선빔과 스콧 페이퍼 사의 CEO이던 앨 던랩은 회계 부정으로 미 증권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기 전까지만 해도 사업 전환과 인원 감축의 귀재로 통했다. 존 론슨의 《사이코패스 테스트》를 보면 던랩은 자신에 게 사이코패스의 특징이 상당히 많다고 인정하면서 그것은 기업의 리더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질이라고 재정의하고 있다. 일례로 그는 ‘조종’이라는 말도 다른 사람을 자극하고 이끄는 능력이라고 재해석한다. 기업 세계에 도사리고 있는 수많은 역경에서 살아남으려면 극도의 자신감이 필요하다며 그는 이렇게 말했다.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 물론 공감 능력이 없기 때문이겠지만 소시오패스는 해고나 인원 감 축처럼 보통 사람이 개입하고 싶어 하지 않는 지저분한 일에 적격자다. 실제로 인사 결정에서 보여준 무자비함 때문에 던랩은 ‘전기톱 앨’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_p.29~30

‘현실성’ 획득하기
_소시오패스를 이해하는 키워드 ③적응


소시오패스에게는 확실한 자아감이라는 것이 없다. 자신을 스스로 인식하기보다 타인의 눈에 비친 모습의 자신을 바라보며 인식한다는 의미다. 소시오패스들은 어렸을 적부터 남다른 행동으로 주목을 받기 때문에(어른들의 눈에는 귀엽게 보일지라도) 또래 집단에서 종종 왕따를 당하기도 한다. 성인이 되어서는 가진 것이 점점 많아지면서 한순간의 실수로 자신의 명성과 인간관계를 망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소시오패스는 이러한 일들을 거치면서 경험치를 축적하며 ‘극단적 경험주의자’의 면모를 보인다. 선천적으로 공감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상황들을 접하고 나서야 사회에서 용인하는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알게 되는 것이다. 자아가 형성이 되고, 그러면서 “소시오패스적 성향을 좀 더 생산적이고 전문가다운 행동으로 충족하는 법을 터득하면서 지나친 충동을 억제하는 방법도 익히게” 된다. 소시오패스들이 신문의 사회면 1면이 아닌 경제면이나 정치면에 등장하는 이유도 이것일 것이다.

그렇게 몇 해가 흘렀다. 자기 분석 시간이 지난 지금, 나는 나 자신에게나 가족 그리고 몇 명 되지 않는 친구에게 근본적으로 정직해야 한다는 걸 배웠다. 그럭저럭 지내기 위해, 오늘도 나는 정상인의 가면을 쓰고 세상으로 나간다. 그것은 고독한 일일 수도 있다. 너무 오랫동안 힘들게 정상인인 척을 하느라 지친 것도 사실이다. 그래도 마지못해서일망정 정상적이고 안정된 사람 흉내를 내다보니 어느 정도는 진짜가 되었다. _p. 257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M. E. 토머스(지은이)

변호사이자 매 학기마다 학생들의 강의 평가에서 최고점을 받는 법학 교수다. 법률 저널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하고 있으며 법학 관련 학술회의에도 꼬박꼬박 참석하는 학자다. 또한 교회 주일학교 교사로 봉사하는 모르몬교도이자 양성애자이며 전 세계 백만 명 이상이 방문한 ‘소시오패스월드 닷컴http://www.sociopathworld.com/’ 블로그 운영자다. 변호사인 아버지와 피아노 교사였다가 배우로 데뷔한 어머니 밑에서 셋째 아이로 태어났다. 어렸을 적부터 자잘한 일탈로 점철된 일상을 보냈으나 책을 좋아하고 학교 성적이 좋았던 탓에 어른들의 눈에 문제아로 낙인찍히지는 않았다. 학창 시절 밴드부에서 활동했고, 대학에서는 충동적으로 타악기를 전공했다. 이후 음악 관련 일을 하다 아이비리그 중 한 곳의 로스쿨에 합격했고 수석으로 졸업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최고로 손꼽히는 로펌에 들어갔으나 업무에 흥미를 느끼지 못해 근무 태만으로 해고당했다. 2년 정도 실업 급여로 연명하며 충동에 사로잡혀 살아왔던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여름방학 로펌 인턴 시절에 한 동료에게서 ‘혹시 소시오패스가 아니냐’라는 질문을 받은 것이 떠올라 관련 서적들을 탐독하고 소시오패스라는 자가진단을 내렸다. ‘소시오패스월드 닷컴’이라는 블로그를 개설했고, 공식적인 진단을 받는 것이 블로그 독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겠다는 생각에 제 발로 의사를 찾아가 검사 및 진단을 받았다. 이후 검사로, 개업 변호사로 활동하다 법학 교수가 되었고 현재 삶에 충분히 만족하고 있다. M. E. 토머스는 웹상에서 쓰는 필명이다.

김학영(옮긴이)

번역한 책 한 권이 누군가에게는 가치 있는 생각거리를 던져 주고 또 누군가의 지친 삶에 작은 기쁨이 되어 주길 바란다. 과학책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가장 큰 희열과 보람을 느낀다. 옮긴 책으로는 《찰스 다윈 서간집 기원》 《찰스 다윈 서간집 진화》 《편집된 과학의 역사》 《의도적 눈감기》 《나, 소시오패스》 《크리에이션》 《원자, 인간을 완성하다》 《과학은 반역이다》 《우주에서 떨어진 주소록》 《멸종하거나, 진화하거나》 《스페이스 미션》 《프리먼 다이슨의 의도된 실수》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잃어버린 지구》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 5
심리학적 진단 소견서 = 6
1장 나는 소시오패스다, 당신처럼
 소시오패스는 누구인가 = 17
 도덕성은 판단 기준이 아니다 = 23
 성공 사다리의 꼭대기를 차지하는 사람들 = 26
 공감자들의 세상에서 나는 별난 사람 = 31
 '소시오패스월드 닷컴'을 개설하다 = 36
2장 소시오패스라는 진단
 고칠 수 없는 별난 구석 = 50
 소시오패스의 프로파일 = 54
 소시오패스는 어디에나 있다 = 60
 식별과 진단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 = 64
 내 뇌에는 '꺼짐 스위치'가 없다 = 73
 박사와의 면담 = 79
3장 섬뜩하면서도 기이한
 아버지의 위선과 어머니의 피해의식 = 95
 유일하게 부모님을 찾지도 않고 울지도 않은 아이 = 102
 애늙은이, 선머슴, 모범생 = 109
 아버지와의 게임 = 114
 달라도 너무 다른 내 가족들 = 122
4장 양털을 뒤집어쓴 작은 늑대
 꼬마 '괴짜' 소시오패스 = 137
 본능적인 공격성 = 143
 위험 추구적 성향 = 150
 안전에 대한 무관심 = 157
 일찌감치 알게 된 성적 욕망의 힘 = 160
5장 도덕은 얼마나 비효율적인가
 내가 도덕이 아닌 정의를 좋아하는 이유 = 172
 모르몬교도 소시오패스 = 176
 반사회적인 것은 범죄인가? = 182
 내 규범은 내가 만든다 = 189
 내가 누구인지를 알게 된 순간 = 199
6장 성자, 스파이, 그리고 연쇄살인범
 시스템 갖고 놀기 = 210
 직업, 내 삶을 통제할 출발점 = 219
 재판장은 나의 무대 = 227
 승리에 대한 집착 = 233
 얼음처럼 차가운 여우 = 241
 '현실성' 획득하기 = 250
7장 일반인 코스프레하는 외계인
 소시오패스의 감정 세계 = 263
 때로는 나도 나를 감당할 수 없다 = 271
 욕망의 분출구, 파멸시키기 = 279
 검고 차가울 뿐, 심장은 있다 = 288
8장 소시오패스의 사랑
 사랑은 권력이다 = 299
 기꺼이, 즐겁게 상처를 주다 = 305
 성적 취향의 이중성 = 311
 소유냐, 이용이냐 = 317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사랑의 가치 = 327
 언제쯤 정착해야 할까? = 335
9장 카인을 위해
 태어난 소시오패스 vs 길러진 소시오패스 = 342
 어린 소시오패스가 성장한 이후 = 350
 양육이냐, 치료냐 = 357
 소시오패스도 공감자들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 = 362
에필로그 = 367
감사의 말 = 38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Comer, Ronald J (2023)
Liu, Jie (2022)
Vasquez, Melba Jean Trinida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