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8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801023 | |
005 | 20140603145658 | |
007 | ta | |
008 | 140602s2013 ggkad 000c kor | |
020 | ▼a 9788966850648 ▼g 93670 | |
035 | ▼a (KERIS)BIB000013110548 | |
040 | ▼a 211042 ▼c 211042 ▼d 211009 | |
082 | 0 4 | ▼a 781.25 ▼2 23 |
085 | ▼a 781.25 ▼2 DDCK | |
090 | ▼a 781.25 ▼b 2013 | |
100 | 1 | ▼a 이동민 ▼0 AUTH(211009)128216 |
245 | 1 0 | ▼a 대중음악을 위한 화성학 = ▼x Popular music harmony / ▼d 이동민 저 |
246 | 3 0 | ▼a 화성학 |
260 | ▼a 파주 : ▼b 음악세계, ▼c 2013 | |
300 | ▼a 403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25 2013 | Accession No. 1117187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25 2013 | Accession No. 15132923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25 2013 | Accession No. 1117187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25 2013 | Accession No. 15132923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실용음악의 기초 악전 및 기초 이론, 코드 진행, 텐션, 코드스케일, 코드 보이싱 등에 관해 자세히 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제 음악의 예시가 있어서 직접 해당 음악을 들어보면서 적용된 사례를 이해할 수 있다. 단순한 이론이 아닌 대중음악에 초점을 맞추어서 쓰임새에 따라 각각 나눠서 설명하고, 음과 음과의 관계 뿐 아니라 Sound(소리)의 관점까지 제시하여 근본적인 접근을 할 수 있다.
실용음악과 학생 및 작곡가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책으로 실용음악의 기초 악전 및 기초 이론, 코드 진행, 텐션, 코드스케일, 코드 보이싱 등에 관해 자세히 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화성학을 공부하기는 했지만 왜 이렇게 사용해야 하는지... 텐션은 어떤 원리로 사용하는지...또 모드는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하고 실제로 적용된 음악들은 어떤 음악이 있는지...이런 궁금증을 가진 분들을 위해 만든 책입니다.
대중음악을 위해 한걸음 더 다가간 또 하나의 화성학 책!
[이 책의 특징]
1. 단순히 결론만을 이야기함으로 암기를 하게 하는 화성학이 아닌 원리에 대해 설명하여 이해시키는 화성학 책입니다.
2. 실제 음악의 예시가 있어서 직접 해당 음악을 들어보면서 적용된 사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단순한 이론이 아닌 대중음악에 초점을 맞추어서 쓰임새에 따라 각각 나눠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4. 음과 음과의 관계 뿐 아니라 Sound(소리)의 관점까지 제시하여 근본적인 접근을 할 수 있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동민(지은이)
Berklee College of Music 버클리 음대 (Dual Major) - Contemporary Writing & Production (대중음악작곡 전공) - Music Synthesis (Sound Design & Making 전공) - Principle Instrument - Voice * Drama - 친애하는 당신에게 (JTBC) OST * 장근석 - Japan 아레나 콘서트 및 앨범 * December - 사랑보내기 작사 * Magic & Musical 음악 감독 * Inchen Mini Concert 음악 감독 * 뮤지컬 Paradise@online - 안무 및 음악 편곡 * 국제음반 <서울음반 자회사> 주관 / Singer 대회 본선 진출 * 영화 ‘Over the Rainbow' 출연 - 뮤지컬 배우역 * 뮤지컬 ‘Fame Concert' 출연 * 뮤지컬 ‘수천’ 출연 * 영화 ‘Center Stage' - 한국 시사회 Opening 안무 * 2002 WorldCup D-50 원구단 축제 안무 * Modafe 2003 <국제 현대무용제> 안무 * Earth, Wind & Fire (Boston Concert)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시작하며... 음악(Music) = 14 음악과 화성학(Music&Harmony) = 15 음악 제작(Music Production) = 16 Section 1 Foundation(기초편) Chapter 1. 소리란?(What is Sound?) = 20 1. 음악과 소리(Music&Sound) = 20 2. 소리의 정의(Sound) = 20 3. 소리의 3대 요소(Sound&Note) = 22 Chapter 2. Basic Foundation(기초 악전) = 28 1. 음이름과 계이름(Pitch name&Scale note name) = 28 2. 음정(Interval) = 30 3. 계명창(Solfege,Solfeggio) = 38 4. 센트(Cent) = 38 5. 음자리표(Clef) = 39 6. 타악기 음자리표(Neutral Clef, Percussion Clef) = 41 7. 타브 악보(Tablature) = 41 8. 박자(The Beat) = 43 9. 템포&템포용어(Tempo with Beat) = 47 10. 틱(Tick) = 52 11. 리듬 스타일(Rhythmic Beat Style) = 52 12. 강세-강약(Accent-Strong&Weak Stress Beat) = 55 13. 마디(Measure) = 55 14. 미터(Meter) = 56 15. 박자표(Time Signature) = 59 16. 정박&엇박(On Beat&Off Beat) = 60 17. Out of Beat = 61 18. 다운 비트&업 비트(Down Beat&Up Beat) = 61 19. 프런트 비트&백 비트(Front Beat&Back Beat) = 61 20. 스윙 비트(Swing Beat, Swing Groove) = 62 21. 운율 강세(Metrical Accent) = 62 22. 폴리 미터(Poly Meter) = 62 23. 폴리 템포(Poly Tempo) = 63 24. 셈여림표(Dynamic Marks) = 64 25. 강세 표기(Accent Marks) = 66 26. 이음줄&붙임줄(Slur&Tie) = 67 27. 선행음, 당김음, 계류음(Anticipation, Syncopation, Suspension) = 67 28. 연주 방법(Articulation) = 68 29. 꾸밈음(Ornament note) = 72 30. 늘임표&브레이크(Fermata&Break) = 73 31. D.C., D.S., Coda&Fine = 74 32. 옥타브 기호(Octave Marks) = 76 Chapter 3. Form within the Music = 77 1. 음악 형식(Form within the Music) = 11 2. 용어 정리(the terms in Form) = 77 3. The type of Song Forms = 87 Chapter 4. 장르, 튠, 스타일(Genre, Tune , Style) = 91 1. 장르(Genre), 튠(Tune), 스타일(Style) = 91 2. 음악 장르(Music Genre) = 92 3. 음악 튠(Music Tune) = 93 4. 음악 스타일(Music Style) = 98 5. 용어의 혼용(Words/Genre, Tune, Style) = 103 6. 왜 Genre, Tune, Style을 구분하는 것인가? = 103 Chapter 5. 타임 테이블(Basic Time Table) = 104 1. 타임 테이블(Time Table) = 104 2. 타임 테이블 가이드(Basic Time Table) = 104 Section 2 Diatonic Sound(기본 Sound) Chapter 6. 스케일&음(Scale&Note) = 114 1. 스케일(Scale) = 114 2. 메이저 스케일(장음계, Major Scale) = 117 3. 마이너 스케일(단음계, Minor Scale) = 118 Chapter 7. 조표(Key Signature) = 121 1. 조표(Key Signature) = 121 2. 임시표 순서(Order of Accidental) = 124 3. 각 조표별 기준음(Key note in Key Signature) = 124 Chapter 8. 소리의 구조(Structure of Sound) = 126 1. 소리의 구조(Structure of Sound) = 126 2. Frequency Quality(Harmonics Structure) = 126 3. Volume Quality(볼륨 엔벨로프,Volume Envelope) = 129 4. 배음과 음의 안정도(Overtone) = 131 Chapter 9. 코드의 구조와 기능(Chord Structure&Function) = 134 1. 코드(Chord) = 134 2. 하모닉 스트레스(Harmonic Stress) = 140 3. 코드의 기능(Chord Function) = 141 Chapter 10. 코드 표기법(Chord Notation) = 147 1. 코드 표기 법(Chord Notation) = 147 2. 기본 코드 표기법(Basic Chord Notation in Popular Music) = 148 3. 대중음악에서의 로마자 표기법(Chord Rome Notation in Popular Music) = 148 4. 클래식 음악에서의 로마자 코드 표기 법(Chord Rome Notation in Classical Music) = 150 Chapter 11. 다이아토닉 음&코드(Diatonic note&Chord) = 151 1. 다이아토닉(Diatonic) = 151 2. 다이아토닉 음(Diatonic note) = 151 3. 다이아토닉 코드(Diatonic Chord) = 152 Chapter 12. 코드 진행(Chord Progression) = 153 1. 코드 진행(Chord Progression) = 153 2. 조성 음악&모달 음악(Tonal Music&Modal Music) = 153 3. 코드 진행의 이해(The Understanding of Chord Progression) = 154 4. 도미넌트 코드의 해결(Resolution of Dominant Function Chord) = 155 5. 도미넌트 해결(Dominant Resolution) = 156 6. 허위 해결(Deceptive Resolution) = 157 7. 지연 해결(Delayed Resolution) = 158 8. 코드 진행 과정(Chord Progression Process) = 159 9. 코드 진행(Chord Progression)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점 = 163 10. 준비 구간/턴 어라운드(Prepared Section/Turn Around Section) = 163 Chapter 13.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와 해결(Dominant 7th Chord&Resolution) = 164 1. 도미 넌트 세븐스 코드(Dominant 7th Chord) = 164 2.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의 해결(Resolution of Dominant 7th Chord) = 164 3. 도미넌트 해결(Dominant Resolution) = 165 4. 허위 해결(Deceptive Resolution) = 168 5. 지연 해결(Delayed Resolution) = 169 Chapter 14. 5도권(Circle of Fifth) = 171 1. 5도권(Circle of Fifth) = 171 2. 장3도 관계의 연관성(Triangle of Major 3rd) = 172 3. 단3도 관계의 연관성(Square of Minor 3rd) = 172 4. 장2도 관계의 연관성(Hexagon of Major 2nd) = 173 5. 반음계 연속 관계의 연관성(Chromatic Relationship of Minor 2nd) = 173 6. 관계조의 의미와 활용(Meaning&Using of Key Relationship) = 173 7. 관계조의 응용(Advanced Using of key Relationship) = 174 Chapter 15. 케이던스(Cadence) = 175 1. 케이던스(Cadence) = 175 2. 정격 종지(Authentic Cadence) = 175 3. 변격 종지(Plagal Cadence) = 178 4. 반 종지(Half Cadence) = 179 5. 허위 종지(Deceptive Cadence) = 180 6. 케이던스의 응용(Variation of Cadence) = 181 Chapter 16.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와 연관IIm(Dominant 7th Chord&Related IIm) = 184 1. 연관 IIm?(Related Ilm?) = 184 2. 화성 분석 시 표기 방법(Harmonic Analysis Notation) = 184 Chapter 17. 목표 코드와 턴 어라운드(Target Chord&Turn Around) = 185 1. 목표코드(Target Chord) = 185 2. 턴 어 라운드(Turn Around) = 185 3. 도미넌트 해결을 활용한 턴 어라운드(Turn Around with Dominant Resolution) = 186 4. 케이던스를 활용한 턴 어 라운드(Turn Around with Other Cadence) = 187 5. 전조를 활용한 턴 어라운드(Turn Around with Modulation) = 187 Chapter 18. 멜로디와 코드진행 연관성(Melody Phrase&Chord Progression) = 189 1. Melody Phrase와 Chord Progression간의 상관 관계 = 189 2. 코드 배치(Chord Position) = 190 Chapter 19. 멜로디 안에서의 음(note in Melody) = 191 1. 멜로디 안에서의 음의 역할(note in the Melody) = 191 2. 멜로디에 쓰인 음의 분류(Type of notes in the Melody) = 191 3. 수평적 음(Horizontal note) = 195 4. 수직적 음(Vertical note) = 193 Chapter 20. 수평적인 관점에서의 음(Horizontal note) = 195 1. 수평적 음(Horizontal note) = 195 2. 중심음(Target note) = 195 3. 꾸밈음(Approach note) = 197 4. 중심음의 의미(Meaning of Target note) = 200 Chapter 21. 수직적인 관점에서의 음(Vertical note) = 202 1. 수직적 음(Vertical note) = 202 2. 기본적인 코드톤(Basic Chord Tone) = 202 3. 비화성음(non Chord Tone) = 202 4. 텐션 노트(Tension note) = 203 5. 텐션 노트 찾기(How to find Tension note) = 204 6. 어베일러블 텐션 노트(Available Tension note [in Major Key]) = 209 7. 스케일 노트(Scale note) = 211 8. 텐션 노트와 스케일 노트의 위치(Position of Tension note&Scale note) = 211 9. 텐션 노트의 사용(Using Tension note in Melody) = 211 10. 텐션 노트 찾기 TIP(Tip of Tension note to find) = 214 Chapter 22. 코드 스케일(Chord Scale) = 218 1. 코드 스케일(Chord Scalc) = 218 2. 다이아토닉 코드 스케일(Diatonic Chord Scale) = 218 3. 논 다이아토닉 코드 스케일(non Diatonic Chord Scale) = 219 4. 코드 스케일의 쓰임(Using of Chord Scale) = 219 Section 3 Sound Extension(사운드의 확장) Chapter 23. 모드(Musical Mode) = 222 1. 모드(Musical Mode) = 222 2. 모드와 스케일(Mode&Scale) = 222 3. 모드의 기초(Basic of Mode) = 222 4. 모드의 기본적인 활용(Using of Mode) = 226 5. 모드 스케일 찾기(How to find Mode Scale) = 226 6. 간단한 모드의 역사(History of Mode) = 227 Chapter 24. 피날리스&콘피날리스(Finalis Tone&Confinalis Tone) = 234 1. 피날리스&콘피날리스(Finalis Tone&Confinalis Tone) = 234 2. 피날리스(FinalisTone) = 234 3. 콘피날리스(Confinalis Tone) = 236 4. 피날리스와 콘피날리스의 의미(Meaning of Finalis Tone&Confinalis Tone) = 238 Chapter 25. Characteristic note = 239 1. 캐릭터리스틱 음(Characteristic note) = 239 2. 캐릭터리스틱 음 찾기(How to find Characteristic note) = 239 3. Characteristic note 음의 방향성 = 242 4. 그 밖의 모드에서의 캐릭터리스틱 음(Characteristic note of Other Mode) = 242 Chapter 26. Related Key = 239 1. 관계조(Related Key) = 243 2. 클래식 음악에서의 관계조(Classical Related Key) = 243 3. 대중음악에서의 관계조(Popular Related Key) = 244 4. 관계조의 쓰임(Using of Related Key) = 245 Chapter 27. 코드 페이크(Chord Fake) = 246 1. 모드의 의미(the meaning of Mode) = 246 2. 모드의 기본적인 활용(Basic Using of Mode) = 246 3. 코드 페이크와 모달 인터체인지(Chord Fake&Modal Interchange) = 247 4. 코드 페이크의 기준(Standard of Chord Fake) = 248 5. 코드 페이크의 활용(Using of Chord Fake) = 248 6. 코드 페이크의 의미(the meaning of Chord Fake) = 251 7. 무조성과 조성(Modality&Tonality) = 251 8. Major Key에서 코드 모양과 기능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모드(Available Mode of Chord Shape&Function in Major Key) = 252 9. Sound Color Extension = 253 10. 코드 페이크&모달 인터체인지의 예(Chord Fake&Modal Interchange Example) = 253 Chapter 28. 코드 색채감과 안정도(Chord Color&Stability) = 254 1. 코드의 안정도(Chord Stability) = 254 2. 코드의 색채감(Chord Color) = 256 3. 기능성, 안정성과 색채감을 고려한 코드 진행(Chord Progression with Function, Stability&Color) = 257 Chapter 29. Chord Quality&Sound Quality = 258 1. 코드 퀄리티(Chord Quality) = 258 2. 사운드 퀄리티(Sound Quality) = 258 3. 코드 퀄리티와 사운드 퀄리티의 일치(Matching between Chord Quality&Sound Quality) = 259 Chapter 30. 마이너 스케일과 코드(Minor Scale&Chords) = 260 1. 메이저 스케일과 마이너 스케일(Major Scale&Minor Scale) = 260 2. 마이너 스케일(Minor Scale) = 260 3. 마이너 스케일의 코드(Chord in Minor Scale) = 262 4. 마이너 스케일에서의 모드(Mode in Minor Scale) = 264 5. 마이너 스케일의 코드의 기능(Function of Chord(in Minor Scale)) = 269 6. 마이너 스케일의 텐션 노트(Tension note in Minor Scale) = 277 7. 자주 쓰이는 마이너 코드(Major Using Chord in Minor Scale) = 289 Chapter 31.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Secondary Dom. 7th Chord) = 289 1.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의 출발점(Start Point of Secondary Dom. 7th Chords) = 289 2. 프라이머리 스케일&세컨더리 스케일(Primary Scale&Secondary Scale) = 289 3. Primary Dom.7th Chord&Secondary Dom. 7th Chord) = 295 4. 세컨더리 도미넌트 7th 코드의 로마자 표기 방식(Notation of Secondary Dom. 7th Chord) = 295 5. 세컨더리 도미넌트 7th 코드의 해결 및 화성분석 표기(Dominant Resolution' of Secondary Dom. 7th Chord) = 296 6.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텐션(Tension note of Secondary Dom. 7th Chord) = 297 7. 세컨더리 도미넌트 7th 코드의 모드(Mode of Secondary Dom. 7th Chord) = 303 8. 세컨더리 도미넌트 7th 코드의 위치(Position of Secondary Dom. 7th Chord) = 304 Chapter 32. Related IIm of Secondary Dominant 7th Chord = 305 1. 세컨더리 도미넌트 7th 코드의 Related IIm(Related Ilm of Secondary Dom. 7th Chord) = 305 2. Related Ilm의 사용(Using of Related IIm Chord) = 305 3. Related Ilm의 기능 역할(Function of Related Ilm) = 306 4. Related Ilm의 모드와 텐션(Mode&Tension note of Related Ilm) = 307 5. Related Ilm의 회성분석 및 표기(Analysis&Notation of Related Ilm) = 309 Chapter 33. 익스텐디드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Extended Dom. 7th Chord) = 310 1. 익스텐디드 도미넌트 7th 코드(Extended Dom. 7th Chord) = 310 2. 익스텐디드 도미넌트 7th 코드의 모드와 텐션(Mode&Tension note of Extended Dom. 7th Chord) = 311 3. 익스텐디드 도미넌트 7th 코드의 화성분석 및 표기(Analysis&Notation of Extended Dom. 7th Chord) = 311 4. 익스텐디드 도미넌트 7th 코드의 시용(Using of Extended Dom. 7th Chord) = 312 5. 익스텐디드 도미넌트 7th 코드의 변형형(Variation of Extended Dom. 7th Chord) = 312 Chapter 34. 섭스티튜트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Substitute Dom. 7th Chord) = 314 1. 도미넌트 기능 코드의 추가적 필요성(Question of Dominant Functional Sound) = 314 2. 섭스티튜트 도미넌트 7th 코드(Substitute Dominant 7th Chord) = 314 3. 섭스티튜트 도미넌트 7th 코드의 기능(Function of Substitute Dominant 7th Chord) = 316 4. 섭스티튜트 도미넌트 7th 코드의 모드(Mode of Substitute Dominant 7th Chord) = 318 5. 섭스티튜트 도미넌트 7th 코드의 텐션(Tension note of Substitute Dominant 7th Chord) = 318 6. 섭스티튜트 도미넌트 7th 코드의 회성분석 및 표기(Notation of Substitute Dom. 7th Chord) = 319 7. 세컨더리 도미넌트 7th 코드의 Sub V7(Sub V7 of Secondary Dom. 7th Chord) = 320 8. 섭스티튜트 도미넌트 7th 코드의 시용(Using of Substitute Dom. 7th Chord) = 321 9. Conclusion of Substitute Dominant 7th Chord = 322 Section 4 More Scale&Thinking Point Chapter 35. 블루스(Blues Scale&Music) = 324 1. 블루스(Blues) = 324 2. 블루스에서 쓰이는 코드와 기능(Chords with Blues) = 325 3. 기본적인 블루스 형태(Basic Blues Form) = 326 4. 응용된 블루스 형태(Variation of Blues Form) = 327 5. 대중음악에서 블루스가 가지는 의미(Meaning of Blues in Popular Music) = 329 Chapter 36. 비밥(Bebop Scale&Music) = 330 1. 비밥(Bebop) = 330 2. 메이저 비밥 스케일(Major Bebop Scale) = 331 3. 마이너 비밥 스케일(Minor Bebop Scale[Melodic Minor Bebop Scale]) = 331 4. 도미넌트 비밥 스케일(Dominant Bebop Scale) = 332 5. 하모닉 미이너 비밥 스케일(Harmonic Minor Bebop Scale) = 332 6. 도리안 비밥 스케일(Dorian Bebop Scale) = 333 7. 얼터드 비밥 스케일(Altered Bebop Scale) = 333 8. 반음계 비밥 스케일(Whole Tone Bebop Scale[Chromatic Bebop Scale]) = 333 9. 비밥이 대중음악에 있어시 차지하는 의미(Meaning of Bebop Scale&Music in Popular Music) = 334 Chapter 37. 테트라 코드(Tetrachord&Scale) = 335 1. 테트라 코드(Tetrachord) = 335 2. 스케일과 테트라 코드(Scale&Tetrachord) = 336 3. 테트라 코드의 활용(How to use Tetrachord) = 338 Chapter 38. Dom. 7th Chord&Expected Sound = 339 1. 도미넌트 코드와 텐션(Dom. 7th Chord&Tension note) = 339 2. Dom. 7th Chord+T9, T13(Mixolydian) = 340 3. Dom. 7th Chord+T♭9, T♭13(Mixolydian♭9, ♭13) = 340 4. Dom. 7 th Chord+Altered Tension(Altered Dom. Scale) = 341 5. Whole Tone Scale with Dom. 7th Augmented = 341 6. Dom. 7th Chord+T#11(Lydian♭7) = 342 7. 기대되는 사운드(Expected Sound) = 342 Section 5 Case by Case Chapter 39. 클리셰(Cliche) = 346 1. 클리셰(Cliche) = 346 2. 코드 클리셰(Chord Cliche) = 346 3. 라인 클리셰(Line Cliche) = 347 4. 베이스 모션 클리셰(Bass Motion Cliche) = 348 Chapter 40. Contiguous Pattern = 349 1. 컨티규어스 패턴(인접 연속 패턴, Contiguous Pattern) = 349 2. 컨티규어스 패턴의 기준(Standard of Contiguous Pattern) = 349 3. 패턴 예시(Pattern Example) = 350 4. 컨티규어스 패턴의 사용(Using of Contiguous Pattern) = 350 Chapter 41. 디미니쉬드 코드(Diminished 7th Chord) = 351 1. 디미니쉬드 코드의 기능(Function of Diminished 7th Chord) = 351 2. 패싱 디미니쉬드 코드(Passing Diminished Chord) = 351 3. Compressed Diminished Chord(Compound Dim. Chord) = 354 4. 디미니쉬드 코드가 사용 가능한 텐션(Available Tension note of Diminished Chord) = 355 5. 디미니쉬드 코드가 사용 가능한 코드 스케일(Chord Scale of Diminished Chord) = 355 Chapter 42. Special Function Chord = 358 1. Special Function Chord = 358 2. Special Function Chord of Blues Scale = 358 3. Special Function Chord from Melodic Minor = 359 4. Diffcrcnce&Meaning between Special Function Chord(based on Diatonic note)&Secondary Dom. 7th Chord = 361 5. Difference&Meaning between Special Function Chord(based on non-Diatonic note)&Substitute Dom. 7th Chord = 362 6. Conclusion of Special Function Chord = 363 Chapter 43. 전조(Modulation) = 364 1. 전조(Modulation) = 364 2. 전조의 목적(Subjcct of Modulation) = 364 3. Original Key&Target Key = 365 4. 전조의 방법(The way of Modulation) = 366 5. 간접 전조(More Detail about non-Direct Modulation) = 368 6. Tip of Modulation in Popular Music = 369 7. 전조 표기(Notation of Modulation Sign) = 370 8. 전조된 곡 예시(Modulation Example) = 371 Chapter 44. #IVm7(♭5) = 376 1. #lVm7(♭5) = 376 2. Related Ilm로 활용하는 #IVm7(♭5)(#IVm7(♭5) as Related Ilm) = 376 3. 세컨더리 도미넌트 7th Chord의 변형형으로서의 #IVm7(♭5)(#IVm7(♭5) as Secondary Dom.7th Chord) = 377 4. Chord Fake(Lydian)로서의 #IVm7(♭5)(#IVm7(♭5)/5 as Lydian(코드 페이크)) = 378 5. 모달 인터체인지(Lydkn ♭7)로서의 #IVm7(♭5)(#IVm7(♭5) as Lydian ♭7(Modal Interchange)) = 378 6. 클리셰(Cliche)로서의 #IVm7(♭5)(#IVm7(♭5) for Cliche) = 379 7. #IVm7(♭5)의 의미와 역할(Meaning of #IVm7(♭5)) = 380 Chapter 45. 모달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 = 381 1. 모달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 = 381 2. 모달 인터체인지 기준(Modal Interchange) = 382 3. 모달 인터체인지의 사용(Using of Modal Interchange) = 383 4. 대중음악에 있어 모달 인터체인지의 의미(Modal Interchange in Popular Music) = 384 Chapter 46. 페달 포인트(Pedal Point) = 385 1. 페달 포인트(Pedal Point) = 385 2. 페달 포인트의 사용(Using of Pedal Point) = 387 Chapter 47. Compound Chord = 388 1. 컴피운드 코드(Compound Chord) = 388 2. 인버견 코드, 전위 코드(Inversion Chord) = 388 3. 하이브리드 코드, 변형 코드(Hybrid Chord) = 390 4. 폴리 코드, 어퍼 스트럭쳐 코드, 분수 코드(Poly Chord, Upper Structure Chord) = 393 Chapter 48 코드 보이싱 기초(Chord Voicing Intro) = 395 1. 코드 보이싱(Chord Voicing) = 395 2. 밀집 위치&개리 위치(Close Position&Open Position) = 395 3. 블록 보이싱, 쉘 보이싱, 클러스터 보이싱(Block Voicing, Shell Voicing, Cluster Voicing) = 396 4. 드롭 보이싱(Drop Voicing) = 398 5. 업 보이싱(Up Voicing) = 400 6. 보이싱 만들기(Make Voicing) = 400 책을 마무리하며... Music&Harmony = 402 Good Music/Good Sound =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