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64n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799418 | |
005 | 20140515133809 | |
007 | ta | |
008 | 090325s2014 ulka b 000c bkor | |
020 | ▼a 9788994347257 ▼g 93180 | |
040 |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70092 ▼2 23 |
085 | ▼a 616.89170092 ▼2 DDCK | |
090 | ▼a 616.89170092 ▼b 2014 | |
100 | 1 | ▼a Hopkins, Linda ▼q (Linda B.) ▼0 AUTH(211009)118764 |
245 | 1 0 | ▼a 거짓자기 : ▼b 천재 정신분석가 마수드 칸의 삶 / ▼d 린다 홉킨스 지음 ; ▼e 임말희 옮김 |
246 | 1 9 | ▼a False self : ▼b the life of Masud Khan |
250 | ▼a 재판 | |
260 | ▼a 서울 : ▼b NUN, ▼c 2014 | |
300 | ▼a 518 p. : ▼b 삽화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 p. 514-518 | |
586 | ▼a 그라디바상, 2007 | |
586 | ▼a 괴테상, 2006 | |
600 | 1 0 | ▼a Khan, M. Masud R. |
650 | 0 | ▼a Psychoanalysts ▼z Great Britain ▼v Biography |
700 | 1 | ▼a 임말희, ▼e 역 ▼0 AUTH(211009)6193 |
900 | 1 0 | ▼a 홉킨스, 린다,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70092 2014 | 등록번호 1117175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린다 홉킨스(지은이)
임상의학자, 템플대 의대 겸임교수 역임. 미국 정신분석발전협의회(NAAP) 공인 정신분석가. 현재 펜실베니아 웨인에서 풀타임 임상가로 작업 중.
임말희(옮긴이)
1971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불어교육과, 파리8대학에서 공부했으며 무속신앙과 카톨릭 영성에 영향을 받았다. 현재 파리에 머물면서 귀스타브 플로베르 작품에 관한 정신분석적 문학비평 박사논문을 쓰는 중이다. 현재 정신분석 전문출판사 눈(NUN)의 편집주간으로 국내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국제적인 정신치료 전문가들의 작업을 꾸준히 소개하고 있다. <스토리텔링을 통한 어린이 심리치료>(공역),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의 치료>, <윌프레드 비온 입문> 등을 번역했다.

목차
역자서문 = 8 저자서문 = 10 저자주 = 12 들어가며 = 15 1부 식민지 시절의 인도(1924∼1945) = 29 제01장 몽고메리에서의 어린 시절 = 31 제02장 봉건적 양육 = 40 2부 런던에서의 초기 시절(1946∼1959) = 51 제03장 오해 = 53 제04장 정신분석 훈련 초창기와 서구에서의 사생활 = 60 제05장 정착과 더불어 위니캇에게 분석 받기 시작하다 = 67 제06장 초창기 임상 작업(인터뷰) = 81 3부 축복의 시간: 칸의 전성기(1960∼1964) = 95 제07장 마수드와 스베틀라나 = 97 제08장 혁명의 시기에 일하다 = 111 제09장 임상 작업(인터뷰) = 115 제10장 치유의 벗들 = 125 제11장 블라디미르 그라노프와의 우정 = 130 제12장 스톨러 부부와의 우정 = 138 4부 정신분석에의 공헌 = 157 제13장 참자기 = 161 제14장 의존적 퇴행 = 169 제15장 성인을 위한 놀이치료 = 176 제16장 도착과 성정체성에 관한 문제들 = 180 제17장 편집 작업과 위니캇의 홍보 = 191 5부 추락의 시작(1965) = 209 제18장 거짓자기 = 211 제19장 암스테르담에서의 불명예 = 218 6부 축복과 굴욕(1966∼1970) = 229 제20장 인생의 닻을 잃어버리다 = 231 제21장 휴경기 = 241 제22장 결혼의 종말 = 252 제23장 임상 작업(인터뷰) = 262 제24장 빅토르 스미르노프 = 283 7부 "최악은 아직도 멀었다"(1971-1976) = 297 제25장 "가장 심한 상처를 받았던 해" = 299 제26장 위니캇의 부재 = 310 제27장 나쁜 꿈들 = 325 제28장 알코올에 의한 해법 = 334 제29장 임상 작업(인터뷰) = 341 제30장 계속 나아가다 = 358 제31장 행운이여, 안녕 = 366 8부 아홉 인생을 사는 고양이(1977∼1980) = 385 제32장 살아남기 = 387 제33장 로버트 스톨러와의 분석 = 400 제34장 살인 광란, 광기 : 도스토예프스키를 읽다 = 412 제35장 행운의 여신이 미소 짓다 : 마지막 사랑 = 420 제36장 후기의 임상 작업(인터뷰) = 434 9부 위엄과 무능력(1981∼1989) = 455 제37장 한 남자의 그림자 = 457 제38장 어느 광인의 최후 = 466 제39장 사후 = 481 후기 : 스베틀라나 베리오소바를 만나다 = 501 BIBLIOGRAPHY = 509 REFERENCE =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