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빗물이 흘러 강이 되는 다문화 : 대한민국의 미래, 이민정책에서 길을 찾다

빗물이 흘러 강이 되는 다문화 : 대한민국의 미래, 이민정책에서 길을 찾다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길남
서명 / 저자사항
빗물이 흘러 강이 되는 다문화 : 대한민국의 미래, 이민정책에서 길을 찾다 / 박길남 지음
발행사항
파주 :   Bookstar,   2014  
형태사항
381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88997383320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79-381
000 00680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799254
005 20140516173404
007 ta
008 140429s2014 ggkad b 000c kor
020 ▼a 9788997383320 ▼g 03330
035 ▼a (KERIS)BIB000013475096
040 ▼a 211005 ▼c 211005 ▼d 211009
082 0 4 ▼a 325.519 ▼a 303.482 ▼2 23
085 ▼a 325.53 ▼2 DDCK
090 ▼a 325.53 ▼b 2014z1
100 1 ▼a 박길남 ▼0 AUTH(211009)92454
245 1 0 ▼a 빗물이 흘러 강이 되는 다문화 : ▼b 대한민국의 미래, 이민정책에서 길을 찾다 / ▼d 박길남 지음
260 ▼a 파주 : ▼b Bookstar, ▼c 2014
300 ▼a 381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79-381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53 2014z1 등록번호 1117176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가 오랫동안 출입국관리 공무원으로 재직하면서 보고 느꼈던 경험을 바탕으로 ‘선진 이민행정’을 폭넓게 아우르고 있다. 저자가 바라는 ‘선진 이민행정’은 대한민국에 들어와 살고 있는 외국인들이 법과 제도의 규제 때문에 불편한 점이 없는지를 찾아내 이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외국에 나가지 않고도 이국적인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도심 속의 다문화 마을’과 ‘우리 역사 속의 다문화 사례’ 및 귀화인 10만 시대를 맞이하여 최근 우리나라에 귀화한 다섯 명을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여권, 비자, 국적, 영주권, 난민 등 딱딱하고 무거운 주제들을 흥미로운 사건들과 여권 속의 비밀 등 사례를 들어가며 알기 쉽고 재미있게 풀어썼다.

머리를 넘어 가슴으로 이해하는 다문화
대한민국의 미래, 이민정책에서 길을 찾다!

◈ 도서의 개요


우리나라에 내리는 빗물은 구름을 타고 전 세계를 떠돌다 우리나라 상공에 들어와 흘러내린 것이다. 다양한 출처와 속성을 가지고 있는 빗물도 섞이면 그 형태를 알아보기 어려우나 본질은 유지된다.
세계화된 지구촌에서 누구나 이방인이 될 수 있다. 이 땅에 들어와 살고 있는 외국인도 나 자신과 똑같은 인간으로 생각하고 외국인이 겪는 문제는 곧 나의 문제이고, 그들이 차별받고 핍박받는다면 이 또한 나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상대방의 입장에 서서 나 자신을 바라보는 ‘역지사지’ 정신이 필요한 때이다.
이 책의 저자는 2007년 법무부 서울출입국사무소 기획팀장으로 근무하던 시절 결혼이민자들의 국내 정착과 사회통합을 추진한 바 있다. 당시에는 '재한외국인 처우기본법'과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되기 전이라 결혼이민자들의 국내 정착 지원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그래서 결혼이민자들의 조기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당신과 함께 하는 이민행정(Immigration with You)’의 약자인 ‘I with You’를 슬로건으로 채택해 ‘서울출입국 결혼이민자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저자는 서울출입국 결혼이민자 네트워크 활동, 결혼이민자 가족과 출입국 가족이 함께한 가을운동회, 서울출입국이 결혼이민자를 돕기 위해 개설한 인터넷 카페 활동 등을 통해 다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 책은 저자가 오랫동안 출입국관리 공무원으로 재직하면서 보고 느꼈던 경험을 바탕으로 ‘선진 이민행정’을 폭넓게 아우르고 있다. 저자가 바라는 ‘선진 이민행정’은 대한민국에 들어와 살고 있는 외국인들이 법과 제도의 규제 때문에 불편한 점이 없는지를 찾아내 이를 개선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들이 대한민국을 제2의 고향으로 생각하고 열심히 살아가면서 ‘코리안 드림’을 실현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는 외국에 나가지 않고도 이국적인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도심 속의 다문화 마을’과 ‘우리 역사 속의 다문화 사례’ 및 귀화인 10만 시대를 맞이하여 최근 우리나라에 귀화한 다섯 명을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여권(passport), 비자(visa), 국적, 영주권, 난민 등 딱딱하고 무거운 주제들을 흥미로운 사건들과 여권 속의 비밀 등 사례를 들어가며 알기 쉽고 재미있게 풀어썼다.
한편, 우리 국민이 해외여행을 할 때 여권을 분실하거나 사건?사고를 당하는 경우라든가, 인천공항에서 출국할 때 출국금지를 당하거나 미국 공항에 입국할 때 이민심사관의 질문에 제대로 답변을 못해 입국거부를 대비한 알찬 정보도 실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길남(지은이)

출입국관리공무원에 임용된 후 김포ㆍ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를 거쳐 현재 법무부 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 심사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출입국관리공무원으로 재직하면서 장기국외훈련(미국 이민정책 연구과정), KOTRA 투자비자 담당관,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침해 조사관으로 파견 근무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무경험을 쌓기도 했다.저서로는《대한민국 출입국심사제도에 관한 연구》,《미국의 출입국관리제도에 관한 고찰》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다문화사회의 이해 = 15
 제1장 빗물이 흘러 강이 되는 다문화 = 17
 제2장 '다문화사회' 10년의 변화 = 21
  1. 도심 속의 다문화 마을 = 24
  2. 외식산업에도 다문화 바람 = 29
  3. 통신 및 의료관광 산업에도 다문화 바람 = 31
 제3장 한국의 다문화 및 저출산ㆍ고령화 현상 = 33
  1. 다문화 현상에 대한 이해 = 33
  2. '사진신부'와 결혼이주여성 = 35
  3. 결혼이민자 국내 정착 지원 및 다문화정책의 방향 = 43
  4. 저출산ㆍ고령화 현상과 개방적 이민정책 = 49
 제4장 숫자로 본 다문화사회의 현주소 = 53
  1. 체류외국인 현황 = 53
  2. 외국인근로자 50만여 명 = 56
  3. 외국국적 동포 60만여 명 = 59
  4. 결혼이민자 20만여 명 = 60
 제5장 인종차별을 넘어 성숙한 다문화사회로 = 64
  1. 다문화 속의 인종차별 = 64
  2. 국가인권위원회의 '인종차별 진정사건' 권고 사례 = 65
  3. 머리를 넘어 가슴으로 이해하는 다문화 = 69
제2부 우리나라 이민의 역사 = 75
 제1장 역사가 주는 교훈 = 77
  1. 위기를 기회로 바꾼 중공민항기 불시착 사건 = 78
  2. 미국 이민정책의 변천 과정과 교훈 = 80
  3. 우리의 슬픈 이민의 역사와 '역지사지' 정신 = 88
  4. 하와이 이주 한인의 교훈 = 89
 제2장 우리나라 '해외이민(Emigration)'의 역사 = 91
  1. 조선족과 고려인의 이주사 = 92
  2. 사탕수수 농장에 깃든 하와이 이주 한인의 애환 = 93
  3. 에네켄 농장에 맺힌 멕시코 이주 한인의 한(恨) = 96
  4. 서독으로 간 광부와 간호사 = 98
  5. 1965년「수정 이민법」과 제3의 미국 이민 물결 = 100
  6. 1989년 해외여행 전면 자유화 = 106
  7. 소중한 인적자원인 700만 재외동포 = 108
 제3장 우리나라 '국내이민(Immigration)'의 역사 = 113
  1. 우리나라 이민행정의 연혁 = 113
  2. 중국동포의 애환과 방문취업제 = 119
  3. 외국인근로자 유입과 고용허가제 = 131
  4.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및 정책목표 = 141
제3부 역사 속의 다문화 사례와 귀화인 10만 시대 = 145
 제1장 단일민족과 외래 귀화 성씨 = 147
 제2장 단일민족 의식 형성 과정 = 151
 제3장 우리 역사 속의 다문화 사례 = 154
  1. 황조가 = 154
  2. 처용가 = 156
  3. 김수로왕의 왕비가 된 아유타국의 공주 '허황옥' = 158
  4. 베트남 왕족 출신 귀화인 '이용상' = 160
  5. 네덜란드 출신 귀화인 '벨테브레' = 162
 제4장 귀화인 10만 시대 = 166
  1. 특별귀화자 1호 '인요한' = 169
  2. 최초의 귀화인 공기업 사장 '이참' = 172
  3. 귀화인 1호 국회의원 '이자스민' = 174
  4. 독도 지킴이, 일본 출신 귀화인 '호사카 유지' = 176
  5. 필리핀 출신 첫 귀화 경찰관 '아나벨' = 177
제4부 우리나라 이민행정 제도의 이해 = 179
 제1장 출입국심사서비스 키스(KISS)와 센스(SENS) = 181
  1. 공항이 주는 의미 = 181
  2. 공항과의 인연 = 183
  3. 우리나라 제1의 관문 인천국제공항 = 187
  4. 국경관리 3개 기관 CIQ = 190
  5. 출입국심사의 중요성 = 193
  6. 출입국심사 혁신 브랜드, 키스(KISS) = 196
  7. 자동출입국심사서비스, 센스(SENS) = 205
  8. 외국인 입국심사 시 지문날인 및 개인정보 보호 = 211
  9. 미국의 출입국심사제도 = 218
 제2장 여권 속의 비밀을 찾아 = 222
  1. 여권의 유래와 집조(執照) = 222
  2. 기계판독여권(MRP)과 여권 속의 비밀 = 224
  3. 한글 성명의 영문 표기 = 227
  4. 여권의 효력과 상실 = 228
  5. 여권의 종류 및 신청서류 = 230
  6. 해외여행 중 여권을 분실하면? = 233
  7. 여행경보제도 = 235
  8. 출국금지와 권리구제 = 237
 제3장 비자(visa)란 무엇인가? = 241
  1. 비자의 유래와 효력 = 241
  2. 한국 비자의 종류 = 244
  3. 미국 비자의 종류 = 247
  4. 비자와 체류자격 = 253
  5. 비자와 사증발급인정서 = 255
  6. 비자면제협정과 무비자 입국 = 257
  7. 재외동포 비자와 방문취업 비자 = 260
  8. 기업투자 비자와 네팔인 구릉 씨의 성공 스토리 = 265
  9. 원어민 강사 비자와 '아포스티유' = 268
  10. 워킹홀리데이(working holiday) 비자 = 271
  11. 비자 및 체류자격제도의 개선 = 271
 제4장 복수국적과 영주권 = 274
  1. 국적ㆍ시민권ㆍ영주권의 차이 = 274
  2. 대한민국 국적 취득 및 절차 = 276
  3. 알아두면 유익한 복수국적 상식 = 280
  4. 원정출산 등 복수국적의 문제점 = 288
  5. 복수국적과 김종훈 씨 낙마 사건의 교훈 = 293
  6. 영주자격제도 = 296
 제5장 난민과 인권 = 302
  1. 난민의 개념과 재정착 난민 = 303
  2. 박해의 개념과 강제송환 금지의 원칙 = 306
  3. 베트남 보트피플과 전제용 선장의 휴먼 스토리 = 308
  4. 우리나라 난민 현황 및「난민법」의 주요 내용 = 312
  5. 기타 난민 관련 사항 = 315
제5부 선진 이민행정 구현을 위한 제언 = 321
 제1장 출입국행정 환경의 변화 = 323
  1. 출입국관리행정에서 이민행정으로 = 323
  2. 체류사무소 민원 혼잡도 해소 = 324
  3. 출입국관리사무소 명칭 변경 = 326
  4. '이민다문화청' 설립 = 328
 제2장 해외 우수인재 유치와 글로벌 환경 조성 = 332
  1. 우리나라 외국인 전문인력의 현주소 = 332
  2. 세계는 '글로벌 인재(global talent)' 유치 경쟁 = 333
  3. 우리나라의 글로벌 인재 유치 관련 이민정책 = 336
  4. 해외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글로벌 환경 조성 = 338
 제3장 '인권 친화적'인 이민행정의 구현 = 341
  1. 불법체류자 발생 원인과 단속 = 342
  2. 인권 친화적인 이민행정의 중요성 = 348
  3. 출입국업무와 외국인 인권의 조화 = 351
 제4장 50년의 역사를 간직한 서울남부출입국사무소를 '대한민국 이민사박물관'으로 = 356
  1. 서울남부출입국사무소의 연혁 = 356
  2. 미국 이민사박물관(Ellis Island Immigration Museum) = 357
  3. 희망의 섬(Isle of Hope), 눈물의 섬(Isle of Tears) = 360
  4. 인천의 '한국이민사박물관'을 찾아 = 362
  5. 서울남부출입국사무소를 대한민국 이민사박물관으로 활용해야 하는 이유 = 364
제6부 성숙한 다문화사회로의 지평을 열며 = 36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