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디어 시민권

미디어 시민권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병남
서명 / 저자사항
미디어 시민권 / 이병남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형태사항
xix, 87 p. ; 19 cm
총서사항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ISBN
9791130401805 9791130400990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32n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99143
005 20140520171924
007 ta
008 140514s2014 ulk b 000c kor
020 ▼a 9791130401805 ▼g 04300
020 1 ▼a 9791130400990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3.44 ▼2 23
085 ▼a 323.44 ▼2 DDCK
090 ▼a 323.44 ▼b 2014
100 1 ▼a 이병남 ▼0 AUTH(211009)48569
245 1 0 ▼a 미디어 시민권 / ▼d 이병남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4
300 ▼a xix, 87 p. ; ▼c 19 cm
440 0 0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504 ▼a 참고문헌 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44 2014 등록번호 1117177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신문, 방송, 인터넷, 소셜 미디어에서 확보해야 하는 시민의 권리는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참여적 측면이 강조된다. 디지털 미디어 혁명으로 언론, 방송, 통신의 구별이 무의미해지는 정보화사회에서도 언론 자유를 어디까지 보장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유효하다. 전통 미디어의 역할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현시점에서 시민 미디어의 개념을 알아보고, 액세스권, 알권리 등과 함께 시민 저널리즘의 현황과 미래를 살펴본다.

언론의 자유를 포괄하는 커뮤니케이션 권리를 행사하는 주체는 시민이다. 시민의 권리는 공동체나 연대적 가치와 결부된 공동체적인 것으로 개념화하여 정치적·역사적·사회운동적 맥락에서 포착하기도 한다. 신문, 방송, 인터넷, 소셜 미디어에서 확보해야 하는 시민의 권리는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참여적 측면이 강조된다. 디지털 미디어 혁명으로 언론, 방송, 통신의 구별이 무의미해지는 정보화사회에서도 언론 자유를 어디까지 보장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유효하다. 전통 미디어의 역할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현시점에서 시민 미디어의 개념을 알아보고, 액세스권, 알권리 등과 함께 시민 저널리즘의 현황과 미래를 살펴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병남(지은이)

강원대학교와 한림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지역미디어>(2009, 공저)가 있다. “미디어지원제도의 성과와 한계”(2010),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관련 신문뉴스 프레임 분석”(2010), “디지털시대의 라디오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2012)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01 시민과 언론의 자유
02 시청자 주권
03 미디어 액세스권
04 옴부즈맨
05 시민 저널리즘
06 퍼블릭 액세스
07 공동체 라디오
08 인터넷과 시민권
09 소셜 미디어와 시민권
10 시민 언론 운동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