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3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98970 | |
005 | 20140513101147 | |
007 | ta | |
008 | 061226s2006 ulka 001c kor | |
020 | ▼a 9788932017471 ▼g 93600 | |
035 | ▼a (KERIS)BIB000010782312 | |
040 | ▼a 222003 ▼d 244002 | |
082 | 0 4 | ▼a 700.1 ▼2 23 |
085 | ▼a 700.1 ▼2 DDCK | |
090 | ▼a 700.1 ▼b 2006g3 | |
100 | 1 | ▼a 박이문, ▼d 1930- |
245 | 1 0 | ▼a 예술 철학 / ▼d 박이문 지음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c 2006 ▼g (2011 3쇄) | |
300 | ▼a 320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현대의 지성 ; ▼v 13 |
504 | ▼a 참고문헌(p. 308-310)과 색인수록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Course Reserves/ | Call Number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700.1 2006g3 | Accession No. 151320534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83년 출간된 <예술 철학>의 개정판.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 작품은 어떻게 규정되며, 그것을 해석하는 방법과 논리는 어떻게 설정되는가', 예술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것의 기능과 가치는 어디서 찾을 것인가'. 이러한 근원적인 질문들에 대한 답을 진지하게 모색한 저작이다.
'예술의 종말은 이제 예술이 취해야 할 특정한 역사적 방향과 같은 것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미래 역사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떠한 방향도 나머지 다른 방향들과 동등하게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술 철학>은 미국의 예술 철학자 아서 단토(Arthur Danto)의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예술 작업들을 가능 체계로 포섭하는 예술 작품 양상론의 관점에서 예술을 정의하려는 시도이다.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서양의 예술 작품들을 예로 들어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검토하고, 예술을 둘러싼 여러 문제를 해부하고자 했다. 지은이 박이문 교수의 글쓰기는 난해한 철학적 문제들을 구체적 사례 안에서 재구성하고, 엄밀한 논리를 끊임없이 되물어가며 조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새롭게 펴낸 개정판에서는 초판에 있었던 오자, 서툰 어휘 및 문장을 다듬고 많은 한자를 모두 한글로 바꾸었다. '양상론적 예술의 정의'라는 지은이의 논문도 첨가했다. 단토의 철학에 관한 논평집 <아서 단토(Arthur Danto)>에 실린 지은이의 영어 논문을 번역한 이 글은, <예술 철학>의 내용을 새롭게 요약하는 의미를 지닌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이문(지은이)
서울대학교 불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소르본 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도미하여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독일, 일본, 미국 등지에서 30여 년 동안 지적인 탐구와 후학 양성을 위해 교수 생활을 한 뒤 귀국했다. 이후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 퇴임했으며, 2009년까지 연세대학교 특별 초빙 교수로 재직했다. 그리고 포항공과대학교, 미국 시몬스 대학교 명예교수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 『문학과 철학』, 『문명의 위기와 문명의 전환』, 『현상학과 분석철학』, 『노장사상』, 『과학철학이란 무엇인가』 등과 시집 『나비의 꿈』, 『울림의 공백』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개정판을 내면서 책머리에 예술의 철학적 문제 제1부 작품 제1장 실재적 정의 제1절 표상론 제2절 표현론 제3절 형식론 제2장 제도적 정의 제1절 열린 개념론 제2절 제도적 존재 제3절 가능 유일 세계로서의 예술 작품 제2부 해석 제3장 해석의 기능 제1절 언어의 비정상적 용도 제2절 비정상적 언어 제3절 예술 언어의 비정상성 제4장 해석의 내용 제1절 예술가의 의도 제2절 언어의 대상 제3절 작품의 세계 제5장 해석의 논리 제1절 비문자 언어 제2절 축어 의미와 상위 언어 제3절 해석의 구조 제4절 다양성과 단일성 제3부 평가 제6장 가치의 규준 제1절 작품의 속성소 제2절 감상자의 반응 제3절 기능적 평가 제7장 작품의 기능 제1절 장식적 기능 제2절 교육적 기능 제3절 심리학적 기능 제4절 자율적 기능 제8장 예술적 가치 제1절 미적 가치 제2절 예술적 가치 제3절 평가의 실제 맺는 말 별첨 - 양상론적 예술의 정의 참고 서적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