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 경향 (Loan 1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태영
Title Statement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 경향 = Recent trends i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research / 김태영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13  
Physical Medium
ix, 299 p. : 삽화, 도표 ; 24 cm
ISBN
9788968170171
General Note
부록: 1. 학습 동기가 유발되는 영어 교실을 만들기 위한 체크리스트, 2. 제2언어 학습동기 설문 문항 작성시 중요 체크 항목 37개, 3. 제2언어 학습 동기 설문지 샘플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33-252)과 색인수록
000 00888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98732
005 20140509171236
007 ta
008 140508s2013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8170171 ▼g 93370
035 ▼a (KERIS)BIB000013121227
040 ▼a 247023 ▼c 247023 ▼d 211009
082 0 4 ▼a 428.0071 ▼2 23
085 ▼a 428.0071 ▼2 DDCK
090 ▼a 428.0071 ▼b 2013z1
100 1 ▼a 김태영 ▼0 AUTH(211009)33390
245 1 0 ▼a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 경향 = ▼x Recent trends i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research / ▼d 김태영 지음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3
300 ▼a ix, 299 p. : ▼b 삽화, 도표 ; ▼c 24 cm
500 ▼a 부록: 1. 학습 동기가 유발되는 영어 교실을 만들기 위한 체크리스트, 2. 제2언어 학습동기 설문 문항 작성시 중요 체크 항목 37개, 3. 제2언어 학습 동기 설문지 샘플 외
504 ▼a 참고문헌(p. 233-252)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1 2013z1 Accession No. 11171738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의 이론적 경향, 다양한 연구방법 및 한국 상황에 최적화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책이다. 우리나라에서 학생들이 형성하는 영어 학습 동기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진지하게 연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최신 이론, 연구 방법, 한국적 적용이 망라되어 있으므로 학술적 가치가 있다.

이 책은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의 이론적 경향, 다양한 연구방법 및 한국 상황에 최적화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책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학생들이 형성하는 영어 학습 동기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진지하게 연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최신 이론, 연구 방법, 한국적 적용이 망라되어 있으므로 학술적 가치가 있다. 이 책에서 다루는 1950년대 이후의 세계적 연구 경향, 그리고 최근의 사회문화이론과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languaging) 활동은 한국적 상황을 반영하는 영어 학습 동기를 다년간에 걸쳐 연구한 학술적 노력의 성과물이다. 또한 이 책에는 1980년대 말까지 학계의 지배적 연구방법 패러다임이었던 정량적 설문지법에 의한 영어 학습 동기 연구방법 이외에 정성적 면담법에 의한 해석적 영어 학습 동기 연구법 및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을 선별적으로 모두 활용하는 혼합연구법(mixed methods)의 개요가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학술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최신 연구 경향에 대한 심도있는 설명과 소개를 통해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미국 및 유럽에 편향된 제 2언어 학습 동기 이론을 답습하는 수준이 아닌, 새로운 이론과 연구 방법에 의한 자생적인 한국적 연구의 토대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영어 학습 동기의 중요성과 동기 증진의 필요성을 다시 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 영어 학습 동기 연구서로서 2000년대 들어 최초로 집필된 이 책은 다음과 같이 총 여섯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서론으로 각 단원의 소개와 영어 학습 동기 및 영어 교육의 한국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 2장은 1950년대에 태동하여 2013년 현재까지의 제 2언어 학습 및 영어 학습 동기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시대별 변화상을 조망하였다. 제 3장에서는 영어 학습 동기 연구를 둘러싼 철학적 의미를 살폈다. 특히 정량적 연구와 정성적 연구의 절대 다수가 하향적/상향적 환원주의(reductionism)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점을 철학적 관점에서 규명하였고, 이를 벗어나는 대안적 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제 4장에서는 최근 영어 학습 동기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사회문화이론의 개요와 이 이론을 통해 우리가 영어 학습 동기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하였고, 영어 교육 현장에 실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languaging) 활동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서는 영어 학습 동기 연구를 위한 방법론에 대해 제시하였고, 정량적, 정성적, 혼합연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실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설문지 예시와 면담 문항의 예시, 혼합연구의 범주를 소개하였고, 5장 말미에는 연구방법론 서적들을 소개하여 초심자들도 연구가 가능할 수 있게 배려하였다. 제 6장은 향후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예측과 전망을 하며, 전체 책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다. [부록]에는 교실에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에 도움이 되는 체크리스트, 설문 문항 작성시의 유의사항, 설문지 실제 예시, 연구 초심자들이 자주 틀리는 APA 스타일 요약, 영어 학습 동기 면담 문항 예시를 포함하였다. 또한 국문과 영문 색인을 포함하여 책의 중요 개념에 대해서 해당 페이지를 손쉽게 찾을 수 있게 배려하였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이 책은 학부 고학년생, 대학원생, 영어 교사, 일반인이 영어 학습 동기에 대해서 체계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집필되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자가 다년간의 연구 활동과 대학원 수업을 통해 축적된 것으로 심화된 내용을 알기 쉽게 제시하고 있다.
(2) 이 책은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수행된 영어 및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의 세계적인 동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으므로, 최신 이론을 습득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익한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3) 이 책은 연구자들에게 균형잡힌 연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풍부한 예시와 관련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부록에는 연구 수행에 필요한 각종 설문지, 체크리스트, APA 스타일 등이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석·박사 논문 및 연구 보고서를 집필하려는 독자에게 긴요한 참고 도서이다.
(4) 이 책은 영어 교사들에게 한국 영어 교실 상황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학습 동기 증진 활동의 구체적인 예시와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활동들을 통해 영어 교사들은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고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태영(지은이)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온타리오교육학 연구소(OISE/University of Toronto)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세계적 권위자인 Merrill Swain 교수 지도하에 제2언어교육학(영어교육 전공)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수정 7차 교육과정용 중학교 영어교과서를 집필(공저)에 참여했고, 국비유학생 선발 심사위원, EBS 고등학교 수 능듣기 A형 교재 책임검토위원을 역임했다. 국내외 영어 교육 관련 전문 학술지에 현재까지 약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된 관심사는 제2언어 학습/교수 동기 및 탈동기, 제2 언어 학습자 요인,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행위이론, 복잡계 이론 등이다. 최근 『영어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 경향』(한국문화사, 2013)과 『한국의 영어학습 동기 연구』(한국문화사, 2015) 출간했으며, 현재 탁월한 연구업적 을 낸 중앙대학교 Distinguished Scholar로 2014년부터 선출되어 영어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한국응용언어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영 어교육학회,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사회언어학회 등 다 수의 학회에서 편집이사 및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 이메일: tykim@cau.ac.kr 대학원 스터디 웹 카페: http://cafe.daum.net/eed09 학술 논문 다운로드: http://works.bepress.com/taeyoungkim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Ⅴ
제1장 서론 = 3
 1.1. 책을 쓴 이유와 구성 = 3
 1.2. 학습 동기 없는 한국의 영어 교실 = 8
 1.3. 영어 교육 연구와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위상 정립 = 13
제2장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의 시대별 변화상 = 19
 2.1. Gardner의 사회교육 모형(Socio-educational Model) = 22
 2.2. 1990년대 전후의 사회교육 모형에 대한 비판들 = 31
 2.3. D??00F6?nyei의 과정 모형(Process Model) = 39
 2.4.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45
 2.5. Norton[Peirce]의 정성적 여성주의 연구: 투자 대 동기(investment vs. motivation) = 50
 2.6. D??00F6?nyei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L2 Motivational Self System) = 52
제3장 심화된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를 위한 철학적 배경 지식 = 65
 3.1. 근ㆍ현대 유럽 철학 사조의 변화 = 66
 3.2.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의 철학사적 이해 = 72
 3.3. 제 2언어 학습 동기에 적용된 하향식 환원주의와 상향식 환원주의 = 76
 3.4. 환원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제 3의 길 = 80
제4장 영어 학습 동기의 최근 연구 경향 = 83
 4.1. 사회문화이론 = 85
  4.1.1.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 개념 = 85
  4.1.2. Leont'ev의 1세대 행위이론(Activity Theory) 모형 = 96
  4.1.3. Engestr??00F6?의 2세대 행위이론 모형 = 112
  4.1.4. 제 2언어 학습 동기의 행위이론적 종합 정리 = 118
 4.2. 행위이론과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의 개념적 유사성 = 125
 4.3. 탈동기화의 개념 및 최근의 연구 경향 = 133
 4.4. 교실친화적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연구 = 144
  4.4.1.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의 실제 적용 사례 = 151
  4.4.2. 언어하기 활동을 통한 영어 학습 동기의 변화 = 157
 4.5. 일반적 수준에서의 손쉬운 학습 동기 증진 팁 = 163
제5장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론 = 167
 5.1. 심리측정학적 정량적 설문지법(1950-1980년대): 설문 작성, 시행, 분석의 실천적 방안들 = 168
 5.2. 정성적 면담법(1990-2010년): 면담의 이론과 실천 방안 = 184
  5.2.1. 면담법을 활용한 선행 연구들 = 189
  5.2.2. 면담 자료 수집 및 분석의 고려 사항 = 191
  5.2.3. 컴퓨터보조 질적자료 분석 소프트웨어(CAQDAS)의 활용 = 198
  5.2.4. 면담의 실천적 요령들 = 203
 5.3. 혼합 연구법(2010년 이후 현재 및 미래) = 208
 5.4. 유용한 응용언어학 및 영어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적 = 216
제6장 요약 및 향후 전망 = 221
 6.1. 미래의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 전망 = 222
  6.1.1. 우리 상황에 기반한 학술 연구 및 교실에의 실천적 적용 = 223
  6.1.2. 탈동기화에 대한 관심과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 = 225
  6.1.3. 영어 교사의 가르치고자 하는 동기 연구 = 227
 6.2. 앞으로의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 방법 = 229
참고문헌 = 233
부록 1 학습 동기가 유발되는 영어 교실을 만들기 위한 체크리스트 = 255
부록 2 제 2언어 학습 동기 설문 문항 작성시 중요 체크항목 37개 = 260
부록 3 제 2언어 학습 동기 설문지 샘플 = 263
부록 4 APA Style 중요 양식 안내:〈영어교육〉지 = 271
부록 5 제 2언어 학습 동기 관련 실제 인터뷰 문항 = 276
색인(한영) = 281
색인(영한) = 29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