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227namcc2200349 c 4500 | |
001 | 000045798678 | |
005 | 20140508093546 | |
007 | ta | |
008 | 140508s2013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6875467 ▼g 94370 | |
020 | 1 | ▼a 9788966875450 (전2권)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75.006 ▼2 23 |
085 | ▼a 375.006 ▼2 DDCK | |
090 | ▼a 375.006 ▼b 1998a ▼c RRT2013-1-1 | |
245 | 0 0 | ▼a 교육내용, 교수학습, 교육평가가 연계된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안 탐색 : ▼b 영어 교과 사례를 중심으로 / ▼d 주형미 연구책임 ; ▼e 가은아 [외] 공동연구 |
246 | 1 1 | ▼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 ▼b designing a prototype for English digital textbooks |
260 |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3 | |
300 | ▼a xi, 161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T 2013-1-1 |
500 | ▼a 공동연구: 남창우, 안종욱, 박도영, 윤지환 | |
504 | ▼a 참고문헌: p. 151-157 | |
700 | 1 | ▼a 주형미, ▼e 연구책임 ▼0 AUTH(211009)119856 |
700 | 1 | ▼a 가은아, ▼e 연구 ▼0 AUTH(211009)79007 |
700 | 1 | ▼a 남창우, ▼e 연구 ▼0 AUTH(211009)42814 |
700 | 1 | ▼a 안종욱, ▼e 연구 ▼0 AUTH(211009)114805 |
700 | 1 | ▼a 박도영, ▼e 연구 ▼0 AUTH(211009)50031 |
700 | 1 | ▼a 윤지환, ▼e 연구 ▼0 AUTH(211009)92444 |
830 | 0 |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T 2013-1-1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006 1998a RRT2013-1-1 | 등록번호 1117163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 ㅣ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ㅣ 3 가. 관련 정책 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ㅣ 3 나. 연구 목적 ㅣ 6 2. 연구 내용 ㅣ 6 가. 국내·외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사례 탐색 ㅣ 6 나.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육평가 연계 방안 모색 ㅣ 7 다. 영어 디지털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ㅣ 7 라.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 구현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정책 방안 모색 ㅣ 7 3. 연구 방법 ㅣ 8 가. 문헌 조사 ㅣ 8 나. 전문가 협의회 ㅣ 9 다. 개발 협의체 구성·운영 ㅣ 9 라. 세미나 ㅣ 10 Ⅱ. 선행 연구 분석 ㅣ 11 1.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 및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ㅣ 13 2. 디지털교과서 사용편의성 연구 ㅣ 17 3. 영어 디지털교과서 연구 ㅣ 18 4. 시사점 ㅣ 23 Ⅲ.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사례 분석 ㅣ 25 1.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개발 현황 ㅣ 28 2.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사례 ㅣ 34 가. 국내 디지털교과서 사례 ㅣ 36 나. 국외 디지털교과서 사례 ㅣ 63 Ⅳ. 디지털교과서 개발 원리 ㅣ 69 1.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 ㅣ 71 2. 디지털교과서 설계 요소 ㅣ 73 가. 내용 구성 설계 ㅣ 74 나. 교수·학습 방법 설계 ㅣ 77 다. 평가 설계 ㅣ 79 3. 교육내용, 교수·학습, 교육 평가 연계 원리 ㅣ 84 Ⅴ. 영어 디지털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ㅣ 89 1. 프로토타입 개발 개요 ㅣ 91 가. 프로토타입 개발 환경 ㅣ 91 나. 프로토타입의 구조 ㅣ 94 다. 프로토타입 주요 기능 목록 ㅣ 97 2. 프로토타입 주요 기능 예시 ㅣ 102 가. 수준별 학습 및 기능 ㅣ 102 나. 협력적 학습 및 기능 ㅣ 108 다. 과제 중심 학습 및 기능 ㅣ 115 라. 평가 및 관리 기능 ㅣ 117 마. 기타 ㅣ 126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ㅣ 133 1. 결론 ㅣ 135 2. 정책 제언 ㅣ 138 가. 디지털교과서 개발 관련 정책 제언 ㅣ 138 나. 디지털교과서 적용 관련 정책 제언 ㅣ 146 * 참고문헌 ㅣ 151 * Abstract ㅣ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