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을 위한 교수ㆍ학습 모형 개발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을 위한 교수ㆍ학습 모형 개발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혜숙, 연구책임 이영아, 연구 이동엽, 연구 임정훈, 연구
서명 / 저자사항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을 위한 교수ㆍ학습 모형 개발 / 김혜숙 연구책임 ; 이영아, 이동엽, 임정훈 공동연구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형태사항
xi, 221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RRT 2013-2
ISBN
9788966875481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07-217
000 01178namcc2200349 c 4500
001 000045798676
005 20140508092123
007 ta
008 140508s2013 ulka b 000c kor
020 ▼a 9788966875481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75.006 ▼2 23
085 ▼a 375.006 ▼2 DDCK
090 ▼a 375.006 ▼b 1998a ▼c RRT2013-2
245 0 0 ▼a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을 위한 교수ㆍ학습 모형 개발 / ▼d 김혜숙 연구책임 ; ▼e 이영아, ▼e 이동엽, ▼e 임정훈 공동연구
246 1 1 ▼a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the effective use of paper and digital textbooks
260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3
300 ▼a xi, 221 p. : ▼b 삽화 ; ▼c 26 cm
490 1 0 ▼a 연구보고 ; ▼v RRT 2013-2
504 ▼a 참고문헌: p. 207-217
700 1 ▼a 김혜숙, ▼e 연구책임 ▼0 AUTH(211009)9936
700 1 ▼a 이영아, ▼e 연구 ▼0 AUTH(211009)72613
700 1 ▼a 이동엽, ▼e 연구 ▼0 AUTH(211009)131794
700 1 ▼a 임정훈, ▼e 연구
830 0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T 2013-2
900 1 0 ▼a Kim, Hye-sook, ▼e 연구책임
900 1 0 ▼a Lee, Young-a, ▼e 연구
900 1 0 ▼a Lee, Dong-yub, ▼e 연구
900 1 0 ▼a Leem, Jung-hoon, ▼e 연구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6 1998a RRT2013-2 등록번호 1117163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 ㅣ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ㅣ 3
가. 연구의 필요성 ㅣ 3
나. 연구의 목적 ㅣ 6
 2. 연구 내용 ㅣ 6
가. 선행 연구 분석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틀 탐색 ㅣ 6
나. 국내외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현황 분석 ㅣ 7
다.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타당성 검토 ㅣ 7
라. 디지털교과서 활용 효과 제고 방안 및 정책 발전 방향 제시 ㅣ 7
 3. 연구 방법 ㅣ 8
가. 문헌 연구 ㅣ 8
나.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례 조사 ㅣ 8
다. 심층 면담 ㅣ 9
라. 수업 관찰 ㅣ 9
마. 전문가 협의회 ㅣ 9
바. 세미나 ㅣ 10
  
Ⅱ. 이론적 배경 ㅣ 11
 1. 교수설계 모형 분석 ㅣ 13
 2. 디지털교과서 활용 관련 선행 연구 분석 ㅣ 18
가. 디지털교과서 관련 선행 연구 개관 ㅣ 18
나. 사회 디지털교과서 선행 연구 ㅣ 21
다. 과학 디지털교과서 선행 연구 ㅣ 22
라. 영어 디지털교과서 선행 연구 ㅣ 23
  
Ⅲ. 국내외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활용 현황 분석 ㅣ 27
 1. 국내 디지털교과서 개발 현황 ㅣ 29
가. 2007~2012년까지의 디지털교과서 개발 현황 ㅣ 29
나. 2014년 적용 예정 디지털교과서 개발 현황 ㅣ 32
 2. 국내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현황 ㅣ 39
가. 디지털교과서 활용 현황 ㅣ 39
나. 서책교과서 활용 현황 ㅣ 48
 3. 국외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활용 현황 ㅣ 58
가. 일본의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활용 현황 ㅣ 58
나. 미국, 싱가포르, 호주, 핀란드의 디지털교과서 현황 ㅣ 75
  
Ⅳ.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 교수설계 모형 개발 ㅣ 81
 1. 교수설계 모형 개발 절차 ㅣ 83
 2.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 교수설계 모형의 개요 ㅣ 85
 3.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 교수설계 모형의 단계별 특징 ㅣ 89
  
Ⅴ.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 수업 모형 개발 ㅣ 95
 1.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 수업 모형의 개발 절차 ㅣ 97
 2.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 수업 모형의 개요 ㅣ 98
 3.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 수업 모형의 실제 ㅣ 101
가.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문제중심학습 모형 ㅣ 101
나. 플립트 클래스룸 모형 ㅣ 126
다. 스마트 도구를 활용한 역할극 수업 모형 ㅣ 138
라. 확장된 순환 학습 모형 ㅣ 150
마. 자기주도적 학습 기반 통합 수업 모 ㅣ 형164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ㅣ 179
 1. 결론 ㅣ 181
가. 연구 목적 및 내용 ㅣ 181
나. 연구 결과 ㅣ 181
 2. 정책 제언186
가.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효과 제고 방안 ㅣ 188
나.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발전 방안 ㅣ 199

* 참고문헌 ㅣ 207
* ABSTRACT ㅣ 21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