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Chapter 1 면역계의 개관 = 1
면역학의 역사적 발전 = 2
초기 백신접종에 의한 면역학의 태동 = 2
백신접종은 현재 시행되는 세계적 기획사업이다 = 3
면역학은 감염병에 대한 백신개발보다 더 광범위하다 = 4
면역에는 체액 및 세포면역이 있다 = 6
면역계는 외부 이물질을 어떻게 인지하는가? = 8
포유 동물의 면역반응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 = 9
병원체는 여러 모습으로 침입하여 자연방어벽을 허문다 = 10
면역반응은 공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곧바로 준비된다 = 11
병원체 인지 분자들은 유전자 해독이나 무작위적으로도 생성된다 = 13
면역학적 관용은 면역계의 숙주공격을 피할 수 있게 한다 = 15
면역반응은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난다 = 16
적응면역만이 전형적인 기억 능력이 있다 = 18
면역계의 이로운 점, 불리한 점, 그리고 해로운 점 = 19
부적절한 면역반응들은 많은 질병들을 유발할 수 있다 = 19
면역반응은 조직이식을 어렵게 만든다 = 22
암 역시 면역학자들에게 독특한 도전을 제공한다 = 23
요약 = 24
참고문헌 = 24
추천 웹 주소 = 24
연습문제 = 25
Chapter 2 면역계 세포, 기관 및 미세환경 = 29
면역계를 구성하는 세포 = 29
조혈줄기세포는 다양한 혈액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다 = 29
조혈과정은 조혈줄기세포가 성숙한 혈액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이다 = 31
골수계 세포는 감염에 최초 반응하는 세포이다 = 32
림프계 세포는 적응면역반응을 조절한다 = 37
일차림프기관-면역세포가 생산되는 기관 = 40
골수는 조혈줄기세포의 자기재생과 골수계 세포와 B 림프구로 분화하는 데 필요한 미세환경을 제공한다 = 41
가슴샘은 T 림프구가 성숙하는 일차림프기관이다 = 41
이차림프기관-면역반응이 시작되는 기관 = 46
이차림프기관은 몸 전체에 분포하며 몇몇 해부학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 46
림프기관은 두 순환계인 혈액과 림프계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감염된 조직과 연결된다 = 46
림프절은 매우 전문화된 이차림프기관이다 = 48
비장은 혈액매개병원체에 대한 면역반응을 조절한다 = 51
점막연관 림프조직은 점막을 통해 유입되는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조절한다 = 53
피부는 선천면역 장벽이면서 림프조직도 포함한다 = 55
삼차림프조직 또한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유지하는 데 관여한다 = 55
요약 = 56
참고문헌 = 57
추천 웹 주소 = 58
연습문제 = 58
Chapter 3 수용체 및 신호전달: B와 T 림프구 수용체 = 61
수용체-리간드 상호작용 = 62
수용체-리간드 결합은 다수의 비공유결합을 이용하여 일어난다 = 62
수용체-리간드 결합능은 어떻게 계산하는가? = 62
수용체와 리간드 간의 상호작용은 다가결합일수 있다 = 63
면역반응 과정에서 수용체와 리간드의 발현은 달라질 수 있다 = 63
사이토카인과 기타 리간드의 국소 농도는 아주 높을 수 있다 = 64
많은 신호전달과정에서 사용되는 공통적인 전략 = 65
리간드 결합은 수용체의 3차 구조의 변화 또는 밀집화를 유도한다 = 67
일부 수용체는 신호전달에 의한 세포 활성화에 수용체-연관 분자를 필요로 한다 = 67
리간드에 의해 유도된 수용체 밀집화가 수용체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 67
타이로신 인산화는 많은 신호전달과정의 초기단계이다 = 67
연결단백은 신호전달과정의 성분들을 모은다 = 70
세린과 스레오닌 잔기의 인산화는 신호전달과정에서 흔히 일어난다 = 70
세포막 인지질의 인산화는 세포막으로 PH 영역을 지닌 단백을 모은다 = 70
PLC에 의한 PIP₂의 분해는 세포질내 칼슘이온농도를 증가시킨다 = 70
유비퀴틴에 의한 세포내 단백의 변화는 세포내 신호 전달과정을 증진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다 = 73
자주 접하는 세포내 신호전달과정 = 73
PLC 신호전달과정은 칼슘의 방출과 PKC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 73
Ras/Map 키나아제의 순차적인 활성화과정은 AP-1을 활성시킨다 = 74
PKC는 NF-kB 전사인자를 활성화시킨다 = 75
항체의 구조 = 76
항체는 다수의 면역글로불린 영역을 지니고 있다 = 76
항체는 2개의 경쇄와 2개의 중쇄를 갖는 공통구조를 지니고 있다 = 79
항체의 경쇄엔 2개의 클래스가 있다 = 80
중쇄에는 5개의 클래스가 있다 = 80
항체와 항체조각들은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 81
항체의 중쇄와 경쇄가 지닌 각 영역은 각각 특정기능을 수행한다 = 83
X-선 결정학은 항원-항체 결합의 미세한 기본적 구조적 기초를 규명하는 데 이용되어 왔다 = 85
B 림프구에서 신호전달 = 85
항원 결합은 연결분자와 효소가 BCR-Igα/Igβ 복합체에 결합하게 한다 = 85
B 림프구는 전술한 많은 하위 신호전달경로를 이용한다 = 86
B 림프구는 또한 보조수용체를 통한 신호를 전달받는다 = 86
T 림프구 수용체와 세포내 신호전달 = 87
T 림프구 수용체는 가변부위와 불변부위를 지닌 이형이량체이다 = 89
T 림프구 신호전달 복합체는 CD3를 포함한다 = 90
T 림프구의 보조수용체인 CD4와 CD8 또한 MHC와 결합한다 = 90
T 림프구의 신호전달과정에서 처음으로 활성화되는 타이로신 키나아제는 Lck이다 = 92
T 림프구가 사용하는 하부 신호전달과정의 전략은 B 림프구에서 사용하는 전략과 유사하다 = 92
요약 = 94
참고문헌 = 94
추천 웹 주소 = 95
연습문제 = 96
Chapter 4 수용체와 신호전달: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 = 99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의 일반적인 특성 = 100
사이토카인에 의한 표적세포의 활성화, 증식 및 분화 = 100
사이토카인은 많은 생물학적 기능을 가진다 = 101
사이토카인은 T 림프구 아집단의 활성화를 유도 및 지원할 수 있다 = 101
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수용체와 부착분자의 발현이 달라질 수 있다 = 103
사이토카인은 분비하는 세포와 표적세포 사이에 집중된다 = 104
여러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은 세포 반응을 미세조정한다 = 104
사이토카인 여섯개 군과 이들의 수용체 = 105
IL-1 군 사이토카인은 전염증성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한다 = 105
조혈소(클래스 Ⅰ) 군 사이토카인들은 3차원적인 구조 모티프를 공유하지만, 표적세포에 다양하게 작용한다 = 107
IFN(클래스 Ⅱ) 군은 첫 번째로 발견된 사이토카인이다 = 111
TNF 군에 속하는 사이토카인의 신호는 발달과 활성, 또는 죽음을 유발한다 = 115
IL-17 군은 최근에 발견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클러스터이다 = 119
케모카인은 백혈구의 이동을 유도한다 = 121
사이토카인 길항제 = 124
IL-1수용체 길항제는 IL-1 사이토카인 수용체를 막는다 = 124
유리된 사이토카인 수용체는 사이토카인 길항제가 될 수 있다 = 124
일부 바이러스는 사이토카인 활성을 악용하는 전략을 개발한다 = 124
사이토카인 연관 질병 = 125
패혈쇼크는 비교적 자주 발생하지만 잠재적으로 치명적이다 = 125
세균 독소 쇼크는 T 림프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초항원에 의해 발생 = 126
사이토카인 활성은 림프 및 골수 암과 연관성이 있다 = 126
사이토카인 폭풍은 1918년 스페인 인플루엔자의 많은 사망 원인이 될 수 있다 = 126
사이토카인 기반 치료 = 128
요약 = 128
참고문헌 = 129
추천 웹 주소 = 130
연습문제 = 131
Chapter 5 선천면역 = 133
감염에 대한 해부학적 방어체계 = 135
상피방벽은 병원체들이 인체 내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 135
항미생물 단백들과 펩티드들은 잠재적 침입체들을 제거한다 = 137
포식작용 = 139
미생물들은 포식세포들의 수용체에 의해 인지된다 = 139
포식된 미생물들은 여러 기전들에 의해 사멸된다 = 143
포식작용은 세포의 교체와 죽은 세포의 제거에 기여한다 = 144
세포성 선천면역반응 = 144
세포의 양식인지수용체는 미생물 및 세포손상에 대한 반응들을 활성화한다 = 145
Toll-유사 수용체는 여러 종류의 병원체 분자들을 인지한다 = 145
C형 렉틴 수용체는 세포외 병원체의 표면 탄수화물과 결합한다 = 151
Retinoic Acid-Inducible Gene-I-유사 수용체는 감염된 세포내의 세포질에서 바이러스 RNA와 결합한다 = 152
Nod-유사 수용체는 다양한 PAMPs, DAMPs 및 위험인자에 의해 활성화된다 = 153
선천면역 관련 단백들의 발현은 PRR 신호전달에 의해 유도된다 = 154
염증반응 = 157
염증은 감염, 조직손상이나 해로운 물질들에 의해 유도되는 선천면역반응의 결과이다 = 157
급성기 반응의 단백은 선천면역과 염증에 기여한다 = 158
자연살해세포 = 159
선천면역과 염증반응의 조절과 회피 = 160
선천 및 염증반응은 해로울 수 있다 = 160
선천면역과 염증반응은 양성적으로 그리고 음성적으로 조절된다 = 163
병원체는 선천면역과 염증반응을 회피하는 기전들을 진화시켜 왔다 = 164
선천면역과 적응면역계 간의 상호작용 = 164
선천면역계는 적응면역반응들을 활성화시키고 조절한다 = 165
면역보강제는 선천면역반응들을 활성화시켜 백신의 효율을 증진시킨다 = 167
일부 병원체 제거 기전들은 선천면역과 적응면역 반응에서 공유된다 = 168
선천면역의 진화적 공유 = 168
식물은 감염에 대응하기 위해 선천면역반응에 의존한다 = 169
무척추 동물과 척추 동물의 선천면역반응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동시에 존재한다 = 169
요약 = 170
참고문헌 = 171
추천 웹 주소 = 172
연습문제 = 173
Chapter 6 보체계 = 177
보체활성화의 주요 경로 = 179
고전경로는 항체 결합으로 시작된다 = 179
렉틴경로는 용해성 단백이 미생물 항원을 인지하면 시작된다 = 184
대체경로는 세 가지 방법으로 시작된다 = 185
세 가지 보체활성화경로는 C5 전환효소 형성단계로 모인다 = 188
C5는 MAC 생성을 시작한다 = 188
보체의 다양한 기능 = 189
보체수용체는 보체로 표시된 병원체와 작동세포를 연결한다 = 189
보체는 감염에 대한 숙주 방어를 증강시킨다 = 192
보체는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의 연결을 매개한다 = 194
면역반응 수축기에서 보체의 역할 = 195
보체가 CNS 시냅스 제거를 매개한다 = 196
보체활성화 조절 = 197
보체활성은 단백의 안정성과 세포 표면의 조성에 의해 수동적으로 조절된다 = 198
C1 억제인자는 C1 인자의 해리를 촉진한다 = 198
붕괴촉진인자가 C3 전환효소의 붕괴를 촉진한다 = 198
I인자는 C3b와 C4b를 분해한다 = 199
프로텍틴은 MAC 공격을 억제한다 = 200
카르복시펩티드분해효소는 아나필락시스 독소 C3a와
C5a를 불활성화시킨다 = 200
보체결핍증 = 200
미생물의 보체 회피 전략 = 201
일부의 병원균은 면역글로불린 매개 보체활성화의 첫 단계를 방해한다 = 202
미생물 단백이 보체단백과 결합하여 불활성화시킨다 = 202
미생물 단백분해효소가 보체단백을 파괴한다 = 202
일부 미생물은 보체조절단백을 흉내내거나 보체조절 단백에 결합한다 = 202
보체계의 진화론적 기원 = 203
요약 = 205
참고문헌 = 206
추천 웹 주소 = 207
연습문제 = 207
Chapter 7 림프구 수용체 유전자의 구성과 발현 = 211
면역글로불린의 유전자 구조의 수수께끼 = 211
학자들이 항체 유전학의 두가지 초기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다 = 212
돌파구가 된 연구로 다중의 유전자 조각들이 경쇄를 암호화하는 것이 밝혀지다 = 213
Ig 유전자의 다중유전자 구성 = 214
카파 경쇄 유전자들은 V, J 그리고 C 조각을 포함한다 = 214
람다 경쇄 유전자들이 각 J 조각과 특정 C 조각을 짝지워 준다 = 214
중쇄 유전자 구성에는 [TEX]$$V_H$$[/TEX], D, [TEX]$$J_H$$[/TEX] 그리고 [TEX]$$C_H$$[/TEX] 조각들이 포함된다 = 215
V(D)J 재조합의 기전 = 216
재조합은 신호서열에 의해 유도된다 = 216
유전자 조각들은 RAG1/2 재조합효소에 의해 결합된다 = 218
기능성 Ig 가변부위 유전자를 만드는 V(D)J 재조합 = 218
V(D)J 재조합은 같은 또는 반대방향으로 전사되는 조각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 221
숫 B 림프구의 항체 다양성을 만드는 다섯 가지 기전들 = 221
B 림프구 수용체의 발현 = 223
대립유전자 형질 배제는 각 B 림프구가 오직 하나씩의 중쇄와 경쇄 발현을 보장한다 = 223
경쇄에서 일어나는 잠재적 자기반응성 수용체의 수용체 편집 = 224
Ig 유전자의 전사는 엄격하게 조절된다 = 225
성숙 B 림프구는 mRNA 잘라잇기에 관여하는 과정으로 IgM과 IgD 항체를 발현한다 = 226
T 림프구 수용체 유전자와 발현 = 229
TCR의 단백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그 유전자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중요했다 = 229
β 사슬 유전자가 서로 다른 두 연구실에서 동시에 발견되었다 = 229
α 사슬 유전자를 찾다가 γ 사슬 유전자를 대신 찾다 = 231
TCR 유전자들이 Ig 유전자들의 경우와 매우 유사한 재배열 과정을 거친다 = 231
TCR의 발현은 대립유전자 배제로 조절된다 = 234
TCR 유전자 발현은 엄격하게 조절된다 = 235
요약 = 236
참고문헌 = 236
추천 웹 주소 = 238
연습문제 = 238
Chapter 8 주조직적합복합체와 항원전달 = 243
MHC 분자의 구조와 기능 = 244
제1형 MHC 분자는 중쇄 당단백과 경쇄 소단백으로 이루어져 있다 = 244
제2형 MHC 분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당단백 사슬로 구성되어 있다 = 245
제1형과 제2형 분자는 펩티드 결합 부위에서 다형성을 나타낸다 = 245
MHC의 구성과 유전 = 249
MHC 유전자 좌는 세 종류의 주요 분자를 암호화한다 = 250
제1형과 제2형 유전자의 엑손/인트론 배열은 도메인 구조를 반영한다 = 252
MHC 유전자의 대립유전자는 일배체형이라는 연관된 그룹으로 유전된다 = 253
MHC 분자는 공동우성적으로 발현된다 = 254
제1형과 제2형 분자는 종과 개체 수준에서 다양성을 나타낸다 = 254
MHC 다형성은 기능적 의미가 있다 = 257
MHC 역할과 발현 양상 = 257
MHC 분자의 내인성, 외인성 항원의 제시 = 258
제1형 MHC 분자의 발현 = 260
제2형 MHC 분자는 항원전달세포에 제한적으로 발현된다 = 260
MHC의 발현은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 260
T 림프구는 자기 MHC 대립 유전자에 의해 제한적인 펩티드를 인지한다 = 262
서로 다른 항원 처리 과정 및 항원전달에 대한 증거 = 263
내인성 경로를 통한 항원의 제시와 전달 = 264
전달을 위한 펩티드는 단백분해소체라 불리는 단백 분해효소 복합체에 의해 생성된다 = 265
펩티드는 세포질로부터 조면세포질세망으로 수송된다 = 266
샤페론 분자에 의한 제1형 MHC와 펩티드의 결합 = 267
외인성 경로를 통한 항원의 제시와 전달 = 267
펩티드는 세포내이입 소포에 유입된 항원으로부터 생성된다 = 267
불변 사슬이 제2형 MHC 분자의 세포내이입 소포로의 운반을 유도한다 = 267
펩티드는 CLIP을 축출하면서 제2형 MHC 분자와 결합한다 = 269
외인성 항원의 교차 제시 = 271
주요한 교차 제시 세포로 보이는 수지상세포 = 271
교차 제시의 기작과 기능 = 271
비펩티드성 항원의 제시 = 273
요약 = 275
참고문헌 = 276
추천 웹 주소 = 276
연습문제 = 277
Chapter 9 T 림프구 발달 = 283
초기 가슴샘세포의 발달 = 285
가슴샘세포는 4개의 이중음성단계를 거쳐 발달한다 = 285
가슴샘세포는 TCRαβ 혹은 TCRγδ 수용체를 발현할 수 있다 = 286
DN 가슴샘세포는 β-선택을 거쳐서 증식과 분화를 하게 된다 = 287
양성선택과 음성선택 = 288
가슴샘세포들은 가슴샘에서 MHC 제한을 '배운다' = 289
T 림프구는 양성선택과 음성선택을 거친다 = 289
양성선택은 MHC 제한을 보장한다 = 291
음성선택(중추 면역관용)은 자기관용을 보장한다 = 292
선택 역설: 왜 양성선택된 모든 세포를 없애지 않는가? = 293
대안적 모델로 가슴샘 선택 역설을 설명할 수 있다 = 296
양성선택과 음성선택은 동시에 일어나는가, 아니면 차례로 일어나는가? = 296
계통결정 = 296
계통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모델이 제시되었다 = 296
이중양성 가슴샘세포들은 다른 종류의 세포로 결정될 수 있다 = 298
가슴샘으로부터 퇴장과 최종 성숙 = 298
자기관용을 유지하는 기타 방법 = 299
[TEX]$$T_REG$$[/TEX] 림프구들은 면역반응을 억제하도록 조절한다 = 299
말초 면역관용 역시 자기반응 가슴샘세포들로부터 보호한다 = 300
세포자멸사 = 300
세포자멸사는 염증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세포들을 사멸하게 한다 = 301
다른 자극이 세포자멸사를 개시하지만 모두 캐스페이즈를 활성화한다 = 301
말초 T 림프구의 세포자멸사는 외인성 경로에 의해 중재된다 = 301
가슴샘에서 TCR 매개 음성선택은 내인성 (미토콘드리아 매개) 세포자멸사 경로를 유도한다 = 303
Bcl-2 군는 세포자멸사를 억제하거나 유도할 수 있다 = 304
요약 = 306
참고문헌 = 308
추천 웹 주소 = 309
연습문제 = 310
Chapter 10 B 림프구의 발달 = 315
조혈 장소 = 316
B 림프구 생성장소는 임신기간 동안 달라진다 = 316
태아 간에서의 조혈은 성인 골수에서의 조혈과 다르다 = 318
골수에서의 B 림프구 발달 = 318
조혈 단계는 세포 표면 표지자, 전사인자 발현 및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재배열에 의해 정의된다 = 320
림프구 분화의 가장 초기 단계는 일반 림프계 전구세포의 생성으로 끝난다 = 322
B 림프구 발달의 후기단계는 B 림프구 표현형에 대한 결정으로 결론지어 진다 = 324
골수 내의 미성숙 B 림프구는 관용유도에 매우 민감하다 = 327
전부는 아니지만 많은 자기반응성 B 림프구들이 골수 내에서 제거된다 = 327
골수로부터 배출된 B 림프구는 여전히 기능적으로 미성숙하다 = 328
성숙한 일차 B-2 B 림프구는 림프구 소포로 이동한다 = 334
B-1 림프구 및 가장자리구역 B 림프구의 발달 = 334
B-1 B 림프구는 별도의 발달계통으로부터 유래된다 = 334
가장자리구역 세포는 B-1 B 림프구와 표현형 및 기능적 특성을 공유하며 T2 단계에서 발생한다 = 336
B 림프구와 T 림프구 발달의 비교 = 336
요약 = 338
참고문헌 = 338
추천 웹 주소 = 340
연습문제 = 340
Chapter 11 T 림프구 활성화, 분화 및 기억 = 343
T 림프구 활성화와 두 신호 가설 = 343
보조자극분자 신호는 T 림프구 활성과 분화에 필요하다 = 344
보조자극분자 신호가 없으면 클론 면역무반응이 일어난다 = 347
사이토카인이 삼차 신호를 제공한다 = 347
항원전달세포는 특징적인 보조자극분자를 표현한다 = 348
초항원에 의한 T 림프구 활성화 = 349
T 림프구 분화 = 349
조력 T 림프구는 여러 아집단으로 나뉜다 = 351
조력 T 림프구의 분화는 사이토카인에 따라 결정된다 = 352
작동 조력 T 림프구는 3가지 특징을 가진다 = 353
조력 T 림프구 아집단 분화는 융통성이 있다 = 358
조력 T 림프구 아집단은 정상 면역반응과 면역질환에 매우 중요하다 = 358
T 림프구 기억 = 359
숫 T 림프구, 작동 T 림프구, 기억 T 림프구는 서로 다른 세포막 분자를 표현한다 = 359
[TEX]$$T_CM$$[/TEX]과 [TEX]$$T_EM$$[/TEX]은 존재부위와 작동 기능이 다르다 = 359
기억세포는 어떻게, 언제 생성되는가? = 359
어떤 신호가 기억세포로의 결정을 유도하는가? = 360
기억세포는 일차면역반응에서 생성된 다양한 작동세포 양상을 반영하는가? = 360
CD4⁺ 또는 CD8⁺ 기억세포 간 차이가 있는가? = 360
어떻게 기억세포는 오랜 세월 동안 유지되는가? = 360
요약 = 360
참고문헌 = 361
추천 웹 주소 = 362
연습문제 = 362
Chapter 12 B 림프구 활성화, 분화 및 기억 발생 = 367
T 의존 B 림프구 반응 = 368
T 의존 항원은 항체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T 림프구의 도움을 요구한다 = 370
성숙한 B 림프구의 항원 인식은 생존신호로 제공된다 = 371
B 림프구는 림프절과 비장에서 항원과 만난다 = 372
세포에 결합된 항원을 B 림프구가 인식하면 B 림프구의 세포막이 항원이 결합하여 퍼져나간다 = 373
항원과 결합하는 B 림프구 수용체의 클러스터링 원인은 무엇인가? = 373
항원수용체 클러스터링은 B 림프구에 의한 내재화와 항원전달을 유도한다 = 374
활성화된 B 림프구는 항원특이적인 T 림프구를 찾기 위해 이동한다 = 375
활성화된 B 림프구는 소포의 외부공간 또는 소포로 이동하여 종자중심을 형성한다 = 377
형질세포는 일차초점에서 형성된다 = 377
다른 활성화된 B 림프구는 소포로 이동하고 종자중심 반응을 시작한다 = 378
체세포 과돌연변이 및 친화력 선택은 종자중심에서 발생된다 = 380
클래스변환재조합은 항원과 접촉 후 종자중심 내에서 발생한다 = 382
대부분의 새로 생성된 B 림프구는 일차면역반응의 종료 시에 소실된다 = 384
일부 종자중심 세포는 형질세포로 성숙을 완료한다 = 384
B 림프구는 기억에 의해 이차감염에 대한 신속하고 강력한 반응이 가능하다 = 386
T 비의존 B 림프구 반응 = 387
T 비의존 항원은 T 림프구의 도움 필요 없이 항체 생산을 자극한다 = 387
두 가지 새로운 B 림프구 서브 클래스는 T 비의존 항원에 대한 반응을 매개한다 = 388
B 림프구의 음성적 조절 = 391
CD22를 통한 음성적 신호가 불필요한 BCR 신호를 차단한다 = 391
FcγRIIb 수용체를 통한 음성적 신호전달이 B 림프구 활성화를 억제한다 = 391
요약 = 392
참고문헌 = 393
추천 웹 주소 = 394
연습 문제 = 394
Chapter 13 작동반응: 세포매개면역반응과 항체매개면역반응 = 397
항체매개 작동 기능 = 398
항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병원균의 제거와 파괴를 매개한다 = 398
항체 동형에 따른 작동기능 = 400
Fc 수용체에 의한 항체 작동기능 매개 = 403
세포매개 작동 반응 = 408
세포독성 T 림프구의 TCR 활성화를 통해 감염된 세포 및 암세포 인식 및 제거 = 408
NK 세포가 제1형 MHC가 없어진 것을 통해 감염된 세포 및 암세포를 인지하고 살해하는 기전 = 418
NKT 림프구의 선천면역계와 적응면역계의 가교 역할 = 422
세포매개 세포독성의 실험적 평가 = 423
T 림프구와 외부 세포의 배양으로 림프구 혼합배양 반응 활성화 = 423
세포매개 림프구 용해반응에 의한 CTL 활성 증명 = 423
생체 내에서 세포매개 독성의 지표로 사용되는 GVH 반응 = 423
요약 = 425
참고문헌 = 426
추천 웹 주소 = 427
연습문제 = 427
Chapter 14 시공간 속의 면역반응 = 431
항원이 유입되기 전 면역세포의 이동 및 분포 = 432
이차림프기관과 삼차림프기관 사이를 순환하는 숫 림프구 = 432
림프절의 간질세포로부터 항원을 전달받는 숫 림프구 = 433
림프절의 섬유그물망구조를 탐색하여 항원을 찾는 숫 림프구 = 434
선천면역단계에서 면역세포의 이동 및 분포 = 436
항원전달세포는 림프절을 지나 T 림프구에게 처리된 항원을 제시한다 = 438
처리되지 않는 항원과 림프절의 B 림프구와 만남 = 438
후천면역단계에서 면역세포의 이동 및 분포 = 439
항원에 감작된 숫 CD4⁺ T 림프구는 이동을 멈춘다 = 440
B 림프구는 림프소절과 곁겉질 사이의 경계부위에서 CD4⁺ T 림프구로부터의 도움을 받는다 = 441
역동적인 이미지법으로 종자중심에서의 B 림프구를 관찰 = 442
림프절에서 CD8⁺ T 림프구는 다수의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활성화된다 = 443
활성화된 림프구는 림프절을 떠나 재순환한다 = 444
지금까지 결과 요약 = 445
면역반응은 10일에서 14일이 지나면 감소한다 = 445
말초조직에서 면역세포의 이동 및 분포 = 446
말초조직으로 작동T 림프구의 귀환을 조절하는 케모카인 수용체와 인테그린 = 447
여러 조직에 존재하는 항원에 반응하는 작동 림프구 = 447
요약 = 452
참고문헌 = 453
추천 웹 주소 = 455
비디오 = 455
연습문제 = 456
Chapter 15 알레르기, 과민반응 및 만성염증 = 459
알레르기: 제1형 과민반응 = 460
IgE 항체는 제1형 과민증과 관련이 있다 = 460
다양한 알레르기 항원은 제1형 반응을 유발한다 = 461
IgE 항체는 선천면역세포 표면 Fcε 수용체의 가교에 의해 작용한다 = 461
IgE 수용체 신호는 엄격히 조절된다 = 465
선천면역세포는 제1형 과민증후군에 관련된 분자를 형성한다 = 465
제1형 과민증은 초기와 후기 반응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 466
제1형 과민반응의 다양한 범주들이 있다 = 468
제1형 과민증의 유전적 기반이 있다 = 469
제1형 과민반응에서 진단테스트와 치료를 이용할 수 있다 = 469
위생가설이 알레르기 발생의 증가를 설명하다 = 473
항체-매개(제2형) 과민반응 = 473
수혈 부작용은 제2형 반응의 일례이다 = 473
신생아용혈증은 제2형 반응으로 발생한다 = 475
약물에 의해서 용혈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 476
면역복합체-매개(제3형) 과민증 = 476
면역복합체는 다양한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다 = 477
면역복합체-매개 과민증은 자연히 소실될 수 있다 = 477
면역복합체-매개 반응에서 자가항원이 관여할 수 있다 = 477
아르투스 반응은 국소 제3형 과민반응이다 = 477
지연형(제4형) 과민반응(DTH) = 478
제4형 DTH 반응은 항원 감작에서 시작한다 = 478
감작 항원에 대한 이차 노출은 DTH 반응을 유도한다 = 479
피부검사로 DTH 반응을 검출할 수 있다 = 480
접촉 피부염은 제4형 과민반응이다 = 480
만성염증 = 480
감염은 만성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 481
만성염증을 유발하는 비감염성 원인이 있다 = 481
비만은 만성염증과 연관성이 있다 = 481
만성염증은 전신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482
요약 = 485
참고문헌 = 486
추천 웹 주소 = 487
연습문제 = 487
Chapter 16 면역관용, 자가면역 그리고 장기이식 = 491
면역관용의 형성과 유지 = 492
자기항원을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인 항원 격리 = 494
중추면역관용에 의한 자기반응 T, B 림프구의 발달 억제 = 494
말초면역관용에서 순환하는 자기반응 세포에 대한 조절 = 494
자가면역 = 499
특정 장기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 500
전신 자가면역질환 = 504
자가면역질환에 민감한 내재적 및 외재적 요소 = 506
자가면역을 유도하는 몇 가지 기작들 = 508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를 위한 일반적 또는 특정경로 면역억제 = 509
이식면역학 = 511
이식편 거부반응의 면역학적 기초 = 511
이식편 거부반응의 임상 과정 = 516
면역억제 요법은 전반적일 수도 있고 표적-특이적일 수도 있다 = 518
특정한 상황에서는 동종이식편에 대한 면역관용이 발생한다 = 521
일부 장기는 다른 장기들보다 임상적으로 더 받아들여지기 쉽다 = 522
요약 = 525
참고문헌 = 526
추천 웹 주소 = 527
연습문제 = 527
Chapter 17 감염질환과 백신 = 531
감염을 막는 차단작용과 선천면역반응의 중요성 = 531
바이러스 감염 = 532
많은 바이러스가 항체에 의해 중화된다 = 533
세포매개 면역은 바이러스 억제에 중요하다 = 533
바이러스는 숙주의 방어작용을 회피할 수 있다 = 53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전 세계적 범유행이 원인이다 = 534
세균 감염 = 537
세포내 세균과 세포외 세균에 대한 면역반응은 다르다 = 537
세균은 방어기전을 회피할 수 있다 = 540
결핵균은 주로 CD4⁺ T 림프구가 조절한다 = 541
디프테리아는 톡소이드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 541
기생충 감염 = 542
원충 질환은 전 세계에서 수백만 명이 걸린다 = 542
여러 가지 질병이 연충에 의하여 발생한다 = 545
진균 감염 = 545
선천면역은 대부분의 진균증을 막는다 = 547
병원성 진균에 대한 면역도 획득할 수 있다 = 547
신종 감염질환 = 547
치명적인 감염 질환이 최근 출현하였다 = 548
감염질환은 여러 요인으로 재출현한다 = 549
백신 = 550
보호 면역은 능동면역 혹은 수동면역 과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 550
능동면역을 위한 백신설계 = 553
접합백신과 다가백신은 항원성과 접종효과를 증가시킨다 = 559
백신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면역보강제를 사용한다 = 560
요약 = 561
참고문헌 = 562
추천 웹 주소 = 562
연습문제 = 562
감염질환 = 562
백신 = 564
Chapter 18 면역결핍장애 = 569
일차면역결핍 = 569
복합면역결핍은 적응면역을 저해한다 = 572
중증복합면역결핍증 = 573
B 림프구 면역결핍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항체 동형의 생산을 억제한다 = 577
선천구성요소의 결함은 적응면역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577
보체결함은 일반적으로 흔하다 = 579
면역조절을 저해하는 면역결핍증은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579
면역결핍증은 보충요법에 의해 치료된다 = 580
면역결핍증의 동물모델들은 기본적 면역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 581
이차면역결핍 = 582
AIDS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명을 위협하고 있다 = 583
레트로바이러스인 HIV-1이 에이즈의 원인체 = 585
HIV-1은 감염된 사람의 체액과의 친밀한 접촉으로 전파된다 = 586
체외 연구에 의해 밝혀진 HIV-1 구조 및 생명 주기 = 587
HIV-1 감염은 점진적인 면역기능 손상을 일으킨다 = 590
AIDS 발달 기전에 대한 활발한 연구 = 590
치료 약제가 레트로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한다 = 595
백신이 HIV/AIDS 유행을 막는 유일한 길일 수 있다 = 597
요약 = 599
참고문헌 = 599
추천 웹 주소 연습문제 = 600
Chapter 19 암과 면역계 = 605
용어와 흔한 암종 = 605
세포의 악성 형질전환 = 606
DNA 변형은 악성 형질전환을 일으킬 수 있다 = 607
암유전자의 발견으로 암 발생에 대한 이해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 607
암과 관련된 유전자들은 세포 증식과 생존을 조절한다 = 608
악성 형질전환은 다단계로 일어난다 = 611
종양항원 = 612
종양특이항원은 종양세포에만 있다 = 613
독특한 발현 양상을 보이는 정상 세포단백이 종양연관항원이 될 수 있다 = 614
암에 대한 면역반응 = 616
면역편집에 의해 종양성장이 억제되거나 촉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 617
종양 제거를 매개하는 주요 면역학적 경로들이 규명되었다 = 617
어떤 염증반응은 암을 촉진할 수 있다 = 620
어떤 종양세포들은 면역인지와 면역활성을 회피한다 = 621
암 면역치료 = 622
종양세포를 표적하는 단클론항체 = 623
사이토카인을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 624
종양특이 T 림프구의 수를 늘려 환자에게 다시 주입할 수 있다 = 624
새로운 치료용 종양백신은 항종양면역반응을 항진시킬 수 있다 = 624
보조자극 신호를 조작함으로써 암 면역을 향상시킬 수 있다 = 626
병용항암면역요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627
요약 = 628
참고문헌 = 628
추천 웹 주소 = 629
연습문제 = 629
Chapter 20 면역학 연구기법 = 633
항체 제작 = 633
다클론항체는 항원특이 B 림프구의 여러 클론으로 부터 분비된다 = 634
단클론항체는 단일 B 림프구에서 유래된다 = 634
단클론항체는 실험실 혹은 병원검사실에서 목적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된다 = 634
면역침강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기법 = 636
면역침강은 용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 636
면역침강은 겔기질 안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 636
면역침강은 세포 단백 분석에 사용된다 = 637
응집반응 = 637
혈구응집반응은 적혈구 표면에 부착된 항원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 637
혈구응집반응은 바이러스 혹은 항바이러스 항체 존재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 638
세균 응집은 세균에 대한 항체 검색에 사용된다 = 638
고형상 지지물 부착 분자를 이용한 항체 검사 = 638
방사면역측정법은 체내의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단백과 호르몬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 638
ELISA 검사는 효소가 표지된 항원 혹은 항체를 이용한다 = 639
ELISA 검사의 수행을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적인 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 641
ELISPOT 측정법 = 642
웨스턴 블롯법으로 단백 혼합물에서 특정 단백을 검색할 수 있다 = 643
항원-항체 반응의 친화력 측정 방법 = 643
평형 투석은 항원에 대한 항체의 친화력 측정에 사용된다 = 643
표면플라스몬반향법은 항체 친화력 측정에 가장 흔히 쓰이는 방법이다 = 645
세포 및 세포내 구조물의 현미경적 관찰 = 646
면역세포화학법과 면역조직화학법은 고정된 조직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효소가 부착된 항체를 이용한다 = 647
전자현미경은 항체와 결합된 항원을 금입자를 이용하여 관찰한다 = 648
면역 형광을 기반으로 하는 이미지 기술 = 648
형광은 세포와 분자를 가시화하기 위해 이용된다 = 648
면역형광현미경은 형광물질을 부착한 항체를 사용한다 = 649
공초점 형광 현미경은 선명한 3차원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다 = 649
다광자형광현미경은 공초점 현미경의 변형된 것이다 = 649
생체 내 이미징은 생체 면역반응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 650
유세포 분석 = 651
자성활성화 세포분류 = 653
세포주기 분석 = 653
최초의 세포분열 측정은 삼중수소 타이미딘 흡수법이다 = 653
발색을 이용한 세포분열 측정은 신속하며, 방사성 물질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 653
브로모데옥시유리딘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은 항체를 통해 DNA 합성을 탐지한다 = 653
프로피디움 이오다이드는 세포 집단의 세포주기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 653
CFSE는 세포분열 추적에 이용된다 = 654
세포사멸 분석 = 655
크로미움 방출 검사는 세포사멸을 측정하는 최초의 검사법이다 = 655
형광 표지 아넥신-5는 자멸세포의 세포막 바깥에 위치한 인산화 세린을 측정한다 = 656
TUNEL 검사법은 자멸 세포의 DNA 파쇄현상을 측정할 수 있다 = 656
캐스페이즈 검사법은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효소를 측정하는 것이다 = 656
신호전달 과정을 분석하는 생화학적 접근법 = 656
생화학적 억제제들은 신호전달과정의 중간 매개체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 656
특정 분자와 결합하는 단백을 동정하는 많은 방법이 개발되었다 = 657
실험 동물 연구기법 = 657
동물 실험은 비인간 개체를 보호하고자 하는 국가 법률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 657
순계는 실험간 편차를 최소화시킨다 = 658
유사유전자계열 저항 마우스는 면역반응에 대한 특정유전자의 기능 연구에 이용된다 = 658
입양전달기법은 분리된 세포 집단의 특성을 연구하는 생체실험이다 = 658
트랜스유전자동물이란 인공적으로 유전자가 주입된 동물이다 = 659
유전자주입과 유전자제거 기술은 내인성 무기능 유전자 혹은 인공적으로 조작된 유전자를 치환할 수 있다 = 660
Cre/lox 체계는 특정조직에서 유전자의 유도결손을 가능하게 한다 = 662
요약 = 664
참고문헌 = 665
추천 웹 주소 = 665
연습문제 = 666
부록 1 CD 항원 = 669
부록 2 사이토카인 = 693
부록 3 케모카인과 케모카인 수용체 = 697
문제해답 = 699
찾아보기 = 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