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Part 01 평생교육의 이해
Chapter 01 평생교육 개념 = 17
1. 평생교육 등장배경 = 18
2. 평생교육의 법적ㆍ제도적 정의 = 20
3. 평생교육의 이념에 바탕을 둔 정의 = 23
Chapter 02 평생교육시설 = 29
1. 준형식 평생교육시설 = 30
2. 비형식 평생교육시설 = 34
Chapter 03 평생교육 관련 제도 = 39
1. 평생교육사 양성제도 = 40
2. 평생학습 제도 = 46
Chapter 04 평생교육의 특징 = 57
1. 넓은 의미에서 평생교육의 특징 = 58
2. 좁은 의미에서 평생교육의 특징 = 59
Chapter 05 평생교육의 역할 = 63
1. 대안체제로서의 역할 = 64
2. 지역공동체 활성화 역할 = 66
3. 사회체제유지수단으로서의 역할 = 67
4. 평생교육 역할에 대한 담론 = 68
연구과제 = 70
Part 02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기초
Chapter 06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해 = 73
1. 프로그램의 정의 = 74
2. 교육 프로그램의 의미 = 74
3. 체계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 77
4.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의 = 79
Chapter 07 한국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 = 83
1. 개발 주체에 따른 분류 = 84
2. 개발 용도에 따른 분류 = 85
3. 개발 목적에 따른 분류 = 85
4. 개발 구성범위에 따른 분류 = 86
5. 한국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표 = 87
Chapter 08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론 = 89
1. 전통적 합리성 이론 = 90
2. 맥락적 상호작용 이론 = 93
3. 순환론적 개발 이론 = 95
4. 체제이론 = 97
5. 비판적 실천 이론 = 98
6. 계획 실천 이론 = 100
Chapter 09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 101
1.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비교 = 102
2. 역량중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 103
3. DACUM 모형 = 105
4. IMPACT 훈련 모형 = 106
5. ADDIE : Molenda의 ISD일반모형 = 108
연구과제 = 110
Part 03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 실제(PD-PADDIE모형)
Chapter 10 기획(Planning) 단계 = 113
1.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사항 = 114
2. 프로그램 개발팀 구성 = 116
3. 개발전략 수립 = 117
4. 전체일정 수립 = 117
Chapter 11 분석(Analysis) 단계 = 119
1. 요구분석 = 120
2. 기관분석 = 139
3. 현존자료 분석 = 140
4. 학습자 분석 = 140
5. 환경분석 = 142
6. 목표분석 = 153
7. 직무분석 = 153
Chapter 12 설계(Design) 단계 = 163
1. 목표설계 = 164
2. 내용설계 = 170
3. 교수설계 = 175
4. 평가설계 = 191
Chapter 13 개발(Development) 단계 = 195
Chapter 14 실행(Implementation) 단계 = 199
Chapter 15 평가(Eveluation) 단계 = 203
1. 교육ㆍ훈련 프로그램 평가의 기능 = 204
2. 교육ㆍ훈련 프로그램 평가의 모형 = 205
3. 평가를 위한 자료수집 방법 = 212
4. 바람직한 측정도구의 기준 = 212
5. 교육만족도 평가(반응평가) 작성요령 = 213
연구과제 = 217
Part 04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Chapter 16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 221
1. ADDIE모형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1 = 222
2. ADDIE모형을 통한 교육과정개발 사례 2 = 255
참고문헌 = 279
찾아보기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