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게임이론으로 푸는 한국의 민주주의

게임이론으로 푸는 한국의 민주주의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희민, (金熙民)
서명 / 저자사항
게임이론으로 푸는 한국의 민주주의 = Rationality and democratic transition in developing societies : the case of Korea / 김희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형태사항
167 p. : 삽화 ; 23 cm
ISBN
9788952114464
일반주기
Abstract: p. 167  
부록: 6-A. 남북한 베이즈 게임 균형 해법, 6-B. 북미 베이즈 게임 균형 해법  
서지주기
참고문헌(p. 154-161)과 색인수록 서지적 각주 수록
000 00957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797694
005 20140429145602
007 ta
008 131226s2013 ulka AK 001c kor
020 ▼a 9788952114464 ▼g 93340
035 ▼a (KERIS)BIB000013355535
040 ▼a 211023 ▼c 211023 ▼d 244002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21.809519 ▼2 23
085 ▼a 321.80953 ▼2 DDCK
090 ▼a 321.80953 ▼b 2013z6
100 1 ▼a 김희민, ▼g (金熙民)
245 1 0 ▼a 게임이론으로 푸는 한국의 민주주의 = ▼x Rationality and democratic transition in developing societies : the case of Korea / ▼d 김희민 지음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3
300 ▼a 167 p. : ▼b 삽화 ; ▼c 23 cm
500 ▼a Abstract: p. 167
500 ▼a 부록: 6-A. 남북한 베이즈 게임 균형 해법, 6-B. 북미 베이즈 게임 균형 해법
504 ▼a 참고문헌(p. 154-161)과 색인수록
504 ▼a 서지적 각주 수록
900 1 0 ▼a Kim, HeeMin,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1.80953 2013z6 등록번호 1513198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의 민주화 이행 과정을 사건(퍼즐, 문제 등)의 연속으로 보며, 1987년 권위주의 정부의 민주화 선택으로부터, 2004년의 대통령 탄핵까지를 게임이론 혹은 합리적 선택이론이란 틀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전문 용어는 책에 설명되어 있고, 전문 용어의 이해 없이도 책의 주된 논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장은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과 복직에서부터 지난 2012년 12월 대선을 포함하여 최근의 정치적 사건들을 분석없이 서술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의 민주화 과정을 게임이론에 접목시키는 연구를 20년간 계속해 왔다. 이 책은 저자의 영문 저서(Rationality and Democratic Transition in Developing Societies: The Case of Korea)를 더 향상, 확대시킨 결과물이다.
급속한 경제발전 이후 민주화 이행 과정에서 한국은 가장 성공적인 국가 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이 책에서 저자는 한국의 민주화 이행 과정을 사건(퍼즐, 문제 등)의 연속으로 보며, 1987년 권위주의 정부의 민주화 선택으로부터, 2004년의 대통령 탄핵까지를 게임이론 혹은 합리적 선택이론이란 틀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전문 용어는 책에 설명되어 있고, 전문 용어의 이해 없이도 책의 주된 논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장은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과 복직에서부터 지난 2012년 12월 대선을 포함하여 최근의 정치적 사건들을 분석 없이 서술하고 있다.

[출판사 서평]

저자는 한국의 국내 정치와 민주화를 게임이론을 포함한 합리적 선택이론으로 분석하였다.
‘합리적 선택이론’은 다양한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개인을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최선의 수단을 선택하는 목적 지향적인 개체로 인식함에 있다. 인간의 행위는 특정한 목표를 추구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틀에 따라 독자들도 사회 현상이나 환경변화를 게임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힘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어려운 구조와 모델링 부분이 있지만, 이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어도 누구나 쉽게 읽힐 수 있게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희민(지은이)

1981년 미국에 유학하여 1983년 미네소타 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정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에는 워싱턴대학교(Washington University in St.Louis)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에 플로리다 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에 조교수로 임용이 되었고, 그곳에서 22년을 근무하였다. 2011년 귀국, 서울대학교 사회교육학과에서 정치교육을 가르쳤다.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는 명예교수직을 수여받으며 계속 연을 이어가고 있다. 2015년에는 중국 길림대학교에서 객좌교수로 임명을 받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강의를 하고 있다. 연구관심 분야는 합리적 선택이론, 민주주의 성취도 비교연구, 미래 가버넌스 연구 등이다. Rationality and Politics in the Korean Peninsula(1995), Mapping Policy Preferences: Estimates for Parties, Electors, and Governments, 1945-1998(2001), 매니페스토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 서구 24개국의 정당 매니페스토 연구(2007), Korean Democracy in Transition: A Rational Blueprint for Developing Societies(2011), 게임이론으로 푸는 한국의 민주주의(2013), 민주주의와 리더십 이야기(2016), 한국 보수정부의 부침 2008-2017(2019) 등의 저서를 출판하였고, 그 외에도 약 40편의 해외 학술지 논문이 있다. 북미한국정치연구회의 회장을 역임하였고, 학술활동을 통한 국위선양을 인정받아 김대중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 훈포장을 받았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감사의 글 = 5
머리말 = 6
1. 합리적 선택이론, 지역학 그리고 개발도상 사회의 민주화 이행 = 13
2. 김의 딜레마(Kim's Dilemma)와 경쟁의 정치학 : 민주적 개방과 1987년 대통령선거 = 19
 도입 = 19
 역사적 맥락 = 20
 김(金)의 딜레마 = 23
 선거 출마의 기대효용 EU₁(S,S) = 28
  1) 승리의 전리품([TEX]$$B_{ss/1}$$[/TEX]) = 29
  2) 계산착오 혹은 잘못된 정보([TEX]$$P_{ss/1}$$[/TEX]) = 29
 선거 불출마의 기대효용 EU₁(R,S) = 31
  1) 양보했을 경우의 보상([TEX]$$B_{rs/2}$$[/TEX]) = 32
  2) 불출마의 비용([TEX]$$C_{rs/2}$$[/TEX]와 [TEX]$$C_{rs/3}$$[/TEX]) = 32
 고찰점 = 38
3. 새로운 정당제도의 확립 : 1990년 3당 합당 = 45
 합리성의 가정과 연립 이론 = 47
 4당 체제의 문제점 = 48
 정당 행위의 결정 요소 = 51
  1) 연합의 크기 = 52
  2) 지도자의 양립성 = 55
 분석 = 57
 고찰점 = 60
 후기 = 63
4. 정부 주도의 민주주의화 이론 : 김영삼 정부 = 65
 1990년 보수 연합 = 67
 합당 이후의 공작 = 68
 1992년의 선거 = 70
 시민 심판의 부재 = 72
 정부 주도의 민주화 = 74
5. 정당 선호도와 제도적 선택 : 새로운 선거제도를 찾아서 = 77
 정치개혁의 목표 = 78
 대안적인 선거제도 = 82
 국회 내 의석 분배 추정 = 85
 새정치국민회의의 목표와 선거제도 = 91
 고찰점 = 95
 1999년 그리고 그 이후의 새로운 정치적 쟁점 = 100
6. 외교정책 결정 과정의 불확실성 : 21세기 한국, 북한 그리고 미국의 관계 변화 = 103
 한반도 정치 상황의 변화 = 105
 모델 1 : 남북 간 상호 관계 = 107
 모델 2 : 북미 간 상호 관계 = 110
 미국의 대북정책 = 113
 두 게임의 동시성 = 115
 고찰점 = 117
 후기 = 119
 부록 6-A. 남북한 베이즈 게임 균형 해법 = 122
 부록 6-B. 북미 베이즈 게임 균형 해법 = 124
7. 2004년 탄핵 게임의 정치 = 127
 정치적 배경 = 128
  1) 2002년 대통령선거 = 128
  2) 탄핵 투표까지의 사건들 = 131
 탄핵 게임 = 134
 탄핵의 여파 = 138
 평가 = 140
 결론 = 142
8. 결론 = 145
 최근의 한국 정치 = 146
 다시 요점으로 = 152
참고문헌 = 154
찾아보기 = 162
Abstract = 16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