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6
Ⅰ.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8
2. 연구 내용 20
가.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21
나. 교과 교육과정 개선에 따른 교수ㆍ학습 실천 전략과 적용 방안 탐색 22
다. 핵심역량 계발에 적합한 교육평가 실천 전략과 적용 방안 탐색 23
라.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평가 지원 방안 탐색 23
3. 연구 방법 24
가. 문헌 분석 24
나. 설문조사 24
다. 전문가 협의회 및 전문가 Working group 구성ㆍ운영 25
라. 워크숍 및 세미나 27
Ⅱ.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및 교육평가 탐색 방향 설정 28
1. 미래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의미 및 특징 29
가. 핵심역량의 의미와 범주 29
나.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성격 및 특징 34
2.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 방향 설정 36
가.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방향 설정 36
나. 교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ㆍ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 방향 설정 38
Ⅲ.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40
1. 국어과 개선 방향 41
가.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자국어 교육과정의 접근 유형 41
나.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자국어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 42
(1) 호주의 국가 교육과정과 영어 교육과정 42
(2) 영국의 국가 교육과정과 영어 교육과정 48
(3) 뉴질랜드의 국가 교육과정과 영어 교육과정 53
(4) 핀란드의 국가 교육과정과 핀란드어과 교육과정 55
(5) 싱가포르의 국가 교육과정과 영어 교육과정 58
(6) 캐나다 퀘벡 주의 영어 교육과정 59
다.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자국어 교육과정 분석 결과가 주는 시사점 61
라/나. 국어과의 중점 핵심역량 계발과 교육과정 구조화 방향 63
(1) 국어과 핵심 역량의 선정 절차 63
(2) 국어과 핵심역량의 의미와 교육 내용 67
(3) 국어 사용 능력과 국어과 중점 핵심역량의 관계 75
(4) 국어과 중점 핵심역량과 국어과 교육과정 구조화 77
마/다.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반영 현황 79
(1) 국어과 교육과정과 핵심역량 요인 반영 79
(2)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2013년 선정 핵심역량의 반영 80
바/라.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85
(1) 국어과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의 전제 85
(2)/(3)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88
(3)/(4) 국어과 핵심역량 계발과 교육과정↔교수↔학습↔교육평가의 연계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안) 102
2. 사회과 개선 방향 105
가.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사회과 교육과정 105
(1) 호주의 사회과 교육과정 106
(2)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109
(3) 캐나다 퀘벡 주의 사회과 교육과정 112
(4) 프랑스의 사회과 교육과정 116
(5) 대만 118
(6) 뉴질랜드 121
나. 사회과 중점 핵심역량의 선정과 의미 124
(1) 사회과 중점 핵심역량의 선정 124
(2) 사회과 핵심역량의 의미 상세화와 위계화 129
다.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반영 현황 140
(1) 목표 141
(2) 내용 142
(3) 교수ㆍ학습 방법 148
(4) 평가 150
(5) 개선점 152
라.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156
(1)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156
(2)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단원 구성 예시(안) 및 교수ㆍ학습 예시 166
3. 체육과 개선 방향 171
가.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체육과 교육과정 분석 171
(1) 독일(Hessen 주)의 핵심역량 기반 체육과 교육과정 171
(2) 호주(New South Wales 주)의 핵심역량 기반 체육과 교육과정 173
(3) 캐나다(Quebec 주)의 핵심역량 기반 체육과 교육과정 175
나. 체육과 중점 핵심역량의 선정과 의미 177
(1) 체육과 핵심역량 177
다.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반영 현황 183
(1) 목표 184
(2) 내용 186
(3) 교수ㆍ학습 방법 191
(4) 평가 192
라.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체육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193
(1) 체육과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193
(2) 체육 교과 목표 195
(3) 내용 196
(4)/(3) 교수ㆍ학습 방법 198
(5) 평가 201
(6) 교수ㆍ학습 과정안 예시 202
Ⅳ.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교수ㆍ학습 실천 방안 205
1.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ㆍ학습 방법 선행연구 분석 206
가. 핵심역량 계발 관련 국내외 교육과정 연구 206
나. 핵심역량 관련 국내외 교수ㆍ학습 연구 208
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시사점 210
2.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ㆍ학습 방향성 212
가.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ㆍ학습 방향 설정 절차 212
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ㆍ학습 방향 213
다. 협력과 탐구 중심의 교수ㆍ학습 전략의 적용 방향 217
3.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사 역할과 수업 전략 219
가. 수업 계획 및 실행자로서의 역할 219
나. 학습관리자로서의 역할 226
Ⅴ. 미래 핵심역량의 평가 방안 230
1. 미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필요성 232
2. 미래 핵심역량 평가 현황 233
가. 중학교 233
나. 초등학교 235
3. 미래 핵심역량 평가 전략 239
가. 평가의 목적 진술 239
나. 잠재적 속성(또는 기능)에 대한 모형 결정 240
다. 평가 과제의 개발과 분석 240
라. 심리측정 모형의 상세화 242
마. 모형 추정을 위한 통계적 방법의 선택 242
바. 피험자와 교사 등을 위한 결과 보고 243
4. 미래 핵심역량 관련 평가 도구 245
가. 문제해결(problem solving) 능력 평가 245
나. 의사소통과 협력 평가 247
다. 창의성(creativity) 평가 250
라.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 평가 251
마. 비판적 사고 평가 252
바. 자기-주도적 학습 252
5. 교과 기반의 미래 핵심역량 평가 사례 254
Ⅵ. 요약 및 정책 제언 260
1. 요약 261
가. 미래 핵심역량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및 교육평가 개선 방향 설정 261
나.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262
다.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교수ㆍ학습 실천 방안 265
라. 미래 핵심역량의 평가 방안 266
2. 정책제언 267
가. 핵심역량 중심의 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267
나. 핵심역량 중심의 교수ㆍ학습 및 교육평가 실천을 위한 제언 270
참고문헌 279
참고사이트 291
ABSTRACT 292
[부록 1]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의견조사 296
판권기 2
〈표 Ⅰ-1〉 1차년도와 2차년도 연구내용 비교 21
〈표 Ⅰ-2〉 교과 및 영역별 워킹 그룹 구성원 현황 개관 25
〈표 Ⅰ-3〉 교과 및 영역별 워킹 그룹의 주요 활동 내용 26
〈표 Ⅱ-1〉 외국의 국가(주) 수준의 교육과정 구조 29
〈표 Ⅲ-1〉 호주의 자국어(영어) 교육과정 체제와 내용 44
〈표 Ⅲ-2〉 영국의 자국어(영어) 교육과정 체제와 내용 50
〈표 Ⅲ-3〉 뉴질랜드 자국어(영어)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 54
〈표 Ⅲ-4〉 캐나다 퀘벡 주의 자국어(영어)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 60
〈표 Ⅲ-5〉 핵심역량(안)의 타당도 64
〈표 Ⅲ-6〉 2012년 연구의 핵심역량별 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의 반영도 64
〈표 Ⅲ-7〉 외국의 자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 요인 66
〈표 Ⅲ-8〉 2009 개정 공통 교육과정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 목표 81
〈표 Ⅲ-9〉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내용 성취 기준''에 반영된 핵심역량 83
〈표 Ⅲ-10〉 초ㆍ중학교의 ''읽기''와 고등학교의 독서 교육의 목표 89
〈표 Ⅲ-11〉 2009 개정 초ㆍ중학교의 ''읽기''와 고등학교의 ''독서'' 교육의 내용 체계 92
〈표 Ⅲ-12〉 교육과정의 변화와 내용 체계 93
〈표 Ⅲ-13〉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안) 103
〈표 Ⅲ-14〉 교육과정 재구조화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의 중요도 104
〈표 Ⅲ-15〉 호주 사회과(''역사'')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 요소 및 핵심역량 반영 특징 개괄 107
〈표 Ⅲ-16〉 호주의 일반역량과 사회과의 관련성 진술: 문해력 108
〈표 Ⅲ-17〉 범교과 핵심역량과 지리와의 연계 113
〈표 Ⅲ-18〉 대만의 교육과정 총론 목표(기본 능력), 사회과 교육과정 목표 및 주제 119
〈표 Ⅲ-19〉 10대 기본 능력(중 ''자아와 발전 잠재 가능성 이해'')과 단계별 분단 능력 지표의 관계 120
〈표 Ⅲ-20〉 뉴질랜드 국가 수준 총론 및 사회과 문서 체계 122
〈표 Ⅲ-21〉 뉴질랜드 사회과 ''역사'' 영역의 단계별 교육과정 성취수준 124
〈표 Ⅲ-22〉 사회과 핵심역량 선정 및 이전 연구와의 관련성 128
〈표 Ⅲ-23〉 선정된 5가지 사회과 핵심역량의 의미 128
〈표 Ⅲ-24〉 사회과 핵심역량의 영역별 의미: 대인관계능력 130
〈표 Ⅲ-25〉 사회과 핵심역량의 영역별 의미: 비판적 사고력 131
〈표 Ⅲ-26〉 사회과 핵심역량의 영역별 의미: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력 132
〈표 Ⅲ-27〉 사회과 핵심역량의 영역별 의미: 정보(처리)활용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134
〈표 Ⅲ-28〉 사회과 핵심역량의 영역별 의미: 시민의식(지역/국가/글로벌) 135
〈표 Ⅲ-29〉 사회과 핵심역량의 학교급별 위계화(안) 137
〈표 Ⅲ-30〉 사회과 교육과정 중 사회과 핵심역량 계발에 가장 미흡한 부분 152
〈표 Ⅲ-31〉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156
〈표 Ⅲ-32〉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 의견 157
〈표 Ⅲ-33〉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기반 개선 방안: 〈A〉, 〈B〉안 160
〈표 Ⅲ-34〉 외국의 사회과(지리)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비교 165
〈표 Ⅲ-35〉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단원 구성 예시(안) 167
〈표 Ⅲ-36〉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ㆍ학습 활동 예시 169
〈표 Ⅲ-37〉 체육과 핵심역량의 요소 및 의미 179
〈표 Ⅲ-38〉 체육과 교육과정 목표의 세부요소 및 관련 핵심역량 184
〈표 Ⅲ-39〉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및 관련 핵심역량 분석 186
〈표 Ⅲ-40〉 체육과 교육과정 교수ㆍ학습방법 및 관련 핵심역량 분석 191
〈표 Ⅲ-41〉 체육과 교육과정 평가 및 관련 핵심역량 분석 192
〈표 Ⅳ-1〉 ATC21S의 21세기 역량 내용 체계 206
〈표 Ⅳ-2〉 주요 국가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되어 있는 핵심역량 207
〈표 Ⅳ-3〉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에 나타난 교육과정과 교수ㆍ학습 방법 208
〈표 Ⅳ-4〉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ㆍ학습 양상 209
〈표 Ⅳ-5〉 캐나다 퀘백 주 문서에 나타난 교수ㆍ학습 방법 210
〈표 Ⅴ-1〉 중등 국어과 핵심역량의 성적 반영 현황 234
〈표 Ⅴ-2〉 중등 사회과 핵심역량의 성적 반영 현황 234
〈표 Ⅴ-3〉 중등 체육과 핵심역량의 성적 반영 현황 235
〈표 Ⅴ-4〉 초등 국어과 핵심역량의 성적 반영 현황 236
〈표 Ⅴ-5〉 초등 사회과 핵심역량의 성적 반영 현황 237
〈표 Ⅴ-6〉 초등 체육과 핵심역량의 성적 반영 현황 237
〈표 Ⅴ-7〉 대화의 형식과 특징 248
〈표 Ⅴ-8〉 학생의 참여 수준에 따른 행동 특성 249
〈표 Ⅴ-9〉 사회과 핵심역량 평가 과제 254
〈표 Ⅴ-10〉 사회과 핵심역량 평가 과제의 평가 항목 256
〈표 Ⅴ-11〉 사회과 협동적 문제해결 평가 과제 예시(김동영 외, 2013) 257
[그림 Ⅲ-1] 교육과정 개정의 참여자와 참여자 역할 87
[그림 Ⅲ-2] 역량 1의 핵심적 특징, 평가 준거, 학년군말의 학업 성취 결과 115
[그림 Ⅲ-3] 지리 교육과정의 프로그램 내용 116
[그림 Ⅲ-4] 뉴질랜드의 1~13학년과 1~8단계별 교육과정 123
[그림 Ⅲ-5] 가치 중심 교육과정과 핵심역량과의 관계 178
[그림 Ⅳ-1]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ㆍ학습 모형 도출 과정 212
[그림 Ⅳ-2]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ㆍ학습 전략의 방향성 215
[그림 Ⅳ-3] 협력적 문제해결의 개념도(Griffin, Care, & McGaw, 2012: 8) 216
[그림 Ⅳ-4] 협력적 문제해결능력 개념 모형도(Jong, 2012) 216
[그림 Ⅴ-1] 점수 보고 플러스(Score Report Plus) 244
[그림 Ⅵ-1]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평가를 포괄하는 수업 예시안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 271
[그림 Ⅵ-2] 핵심역량 관련 해외 사이트 캡쳐 화면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