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칼 호이시의) 세계교회사

(칼 호이시의) 세계교회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eussi, Karl, 1877- 손규태, 역
서명 / 저자사항
(칼 호이시의) 세계교회사 / 칼 호이시 지음 ; 손규태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2004  
형태사항
832 p. ; 24 cm
원표제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18. Aufl.)
ISBN
8948703056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hurch history
000 00813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796496
005 20140428193547
007 ta
008 051104s2004 ulk 001c kor
020 ▼a 8948703056 ▼g 93230
035 ▼a (KERIS)BIB000009559007
040 ▼a 241024 ▼c 241024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270 ▼2 23
085 ▼a 270 ▼2 DDCK
090 ▼a 270 ▼b 2004f2
100 1 ▼a Heussi, Karl, ▼d 1877- ▼0 AUTH(211009)53322
245 2 0 ▼a (칼 호이시의) 세계교회사 / ▼d 칼 호이시 지음 ; ▼e 손규태 옮김
246 1 9 ▼a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g (18. Aufl.)
260 ▼a 서울 : ▼b 한국신학연구소, ▼c 2004
300 ▼a 832 p. ; ▼c 24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Church history
700 1 ▼a 손규태, ▼e▼0 AUTH(211009)61952
900 1 0 ▼a 호이시, 칼,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4f2 등록번호 5110184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907년 처음 출간된 이래 18판을 거듭한 대표적인 교회사 서적 중 하나. 수많은 자료들을 분명하고도 통시적으로 서술함으로써 교회사의 흐름을 해명해 준다. 교회사의 주요노선들과 사건들을 다룸과 동시에 수많은 개개 내용들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칼 호이시(지은이)

<칼 호이시의 세계 교회사>

손규태(옮긴이)

한국신학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하나님 나라와 공공성』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평화윤리』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일반적 서론
 1. 교회사 서술의 역사 = 17
 2. 교회사 서술의 대상과 방법 = 22
제1기 이방 로마제국 내의 교회 - 기독교의 성립과 콘스탄틴 대제까지의 발전
 3. 로마제국과 기독교의 탄생 = 26
 4. 헬라와 로마세계에서의 종교적 도덕적 상황 = 28
 5. 유대교 = 34
 6. 예수 = 41
 7. 원교회 = 43
 8. 이방인들의 기독교의 시작들. 사도 바울 = 46
 9. 원교회의 시작들과 유대적 기독교의 하강 = 52
 10. 가톨릭 이전의 이방인 교회들 = 56
 11. 국가의 반작용의 시작 = 67
 12. 기독교와 헬라철학과의 결합. 이른바 변증론자들의 신학 = 71
 13. 2세기 이방 기독교회들의 거대한 내적 위기 : 영지주의와 마르시온의 개혁교회 = 74
 14. 영지주의적 위기의 극복 : 개교회들이 가톨릭교회에 통합됨 = 81
 15. 몬타니즘 = 87
 16. Mark Aaurel의 사망(180년)으로부터 3세기 말까지 몰락하는 로마제국 안에서의 기독교의 일반적 상황, 확산, 방해, 관용 = 90
 17. 초기 가톨릭의 신학과 군주론적 방향에 대한 투쟁들 = 97
 18. 제의적 질서들. 교회의 예술 = 109
 19. 관습, 윤리성, 교회 규율 = 115
 20. 위계적 교회헌법의 형성 = 120
 21. 교회 밖에서의 종교적 상황 = 127
 22. 기독교와 로마 국가 사이의 결전 = 131
제2기 로마의 제국교회 - 콘스탄틴부터 500년경 전체 제국의 해체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적 로마 황제들 하에서의 기독교
 23. 콘스탄틴부터 데오도시우스 1세에 이르는 로마 황제들의 종교 정책 = 135
 24. 국가권력의 영향 하에서 교리를 둘러싼 투쟁들. 아리안 논쟁 = 143
 25. 분파적이고 이단적인 종파들의 제거를 위한 투쟁들 = 151
 26. 황제의 정책의 영향 하에서 교회 헌법의 개정 = 155
 27. 제의의 발전 = 161
 28. 승려제 = 169
 29. 문화생활에서의 제국교회의 위치 = 173
 30. 그리스-로마 세계 밖의 기독교 = 176
 31. 서방에서 로마 지배의 해체. 지중해 국가들의 아리안적 게르만교회들 = 181
 32. 로마의 교회권력의 강화 = 185
 33. 서방에서의 영적 생활. 어거스틴과 은총론을 위한 투쟁 = 190
 34. 4세기 말에서 5세기 말 사이의 동방에서의 교회 정치적 교리적 싸움들 = 199
제3기 가톨릭적 게르만의 지방교회체제 시대의 교회(500/900년)
 35. 프랑크족의 회심과 서방 가톨릭교의 재강화 = 213
 36. 유스티니안 1세 하에서 동로마제국의 교회 = 216
 37. 대(大) 그레고리 하에서 교황제. 아리안적 게르만인들의 가톨릭화의 전진 = 220
 38. 서구 대륙에서의 교회의 내적인 상태 = 224
 39. 섬나라 영국에서의 교회 상황. 앵글로색슨인들의 회심 = 228
 40. 단의론적 논쟁과 아랍인들의 침략시기의 동방교회의 몰락 = 231
 41. 카롤링 가문 하에서의 프랑크족의 교회. 보니파티우스의 활동 = 236
 42. 교황과 프랑크족의 연결 = 241
 43. 서방교회 수호자로서의 칼 대제 = 245
 44. 칼 대제의 후계자들 하에서 카롤링 제국의 몰락. 교황의 과도적 상승 = 253
 45. 칼 대제의 후계자들 하에서 프랑크족의 교회 = 256
 46. 슬라브 선교를 둘러싼 투쟁과 로마와 비잔틴 사이의 단절 = 260
 47. 서방의 문화와 교회의 완전한 몰락 = 264
제4기 교황교회의 전성기(900년에서 1300년까지)
 48. 오토왕조 시대의 교회 : 독일에서의 성직자 영주세력의 성립. 황제제도의 개혁 = 269
 49. 황제 하인리히 3세가 죽기까지(1056년) 클루니 개혁운동과 그 성과 = 274
 50. 그레고리 7세 하에서 교회의 자유를 위한 투쟁. 그의 선임자와 후임자들 = 280
 51. 동방의 상황. 첫 십자군운동. 서구의 정점에 선 교황권 = 289
 52. 거대한 교회논쟁의 시기에 금욕주의의 발흥 = 292
 53. 교회 학문의 발달 : 초기 스콜라주의 = 297
 54. 승려들의 경건 = 303
 55. 유럽의 동북부에서 기독교의 확산 = 306
 56. 교황권의 세계지배로의 상승. 알렉산더 3세와 인노센스 3세 = 311
 57. 인노센스 3세의 후계자들. 슈타우펜 왕가들에 대한 승리. 교황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영향력 행사의 시작 = 318
 58. 교황권의 교회적 위치 = 322
 59. 12세기의 거대한 종파들과 종교재판 = 325
 60. 걸식종단의 성립 = 329
 61. 국민들의 교회생활과 13세기의 저항운동들 = 334
 62. 대학들과 교회의 학문들. 스콜라주의 = 341
 63. 문화생활에서 교회의 위치 = 346
 64. 라틴적 교회의 정복과 상실. 몽고인들의 침입 = 350
제5기 종교개혁 이전과 르네상스(14세기 초부터 16세기 말까지)
 65. 교황의 세계지배의 붕괴. 아비뇽의 교황들 = 357
 66. 교황들의 바벨론 포로기의 경건, 신학, 교회의 삶 = 362
 67. 교황의 로마귀환. 거대한 서방의 교회 분열. 1409년 피사의 공의회까지 교회개혁 운동들 = 368
 68. 위클리프와 후스 = 371
 69. 콘스탄즈와 바젤에서의 개혁공의회들과 교황권의 공의회적 위기의 극복 = 375
 70. 개혁공의회들 이후의 교황권과 정치적 세력들. 동방의 상황 = 381
 71. 15세기의 교회 내의 상황 = 389
 72. 교회적 관점에서 본 르네상스와 휴머니즘 = 394
제6기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1517-1689)
 73. 1519년경 유럽의 정치적 상황 = 407
 74. 종교개혁의 일반적 원인들 = 410
 75. 마틴 루터와 1521년 보름스의 제국의회까지 루터의 초기 개혁운동 = 415
 76. 봐르트부르그 시기부터 농민전쟁(1525년)까지 루터의 종교개혁의 발전. "열광주의자들", 농부들과 에라스무스와의 루터의 단호한 대결 = 427
 77. 츠빙글리 = 435
 78. 루터의 종교개혁, 스파이어의 제1차 제국의회(1526년)로부터 뉘른베르그 휴전(1532년)까지 지역들과 제국. 루터와 스위스인들 사이의 성만찬 논쟁 = 439
 79. 슈말칼덴 동맹의 정치세력의 절정과 1532-1546년 황제의 최초의 정치적 성과 = 447
 80. 1546-1555년 사이의 독일 개신교의 위기와 그것으로부터 구출 = 452
 81. 루터교 종교개혁의 결과들과 특성 = 455
 82. 칼빈 = 465
 83. 칼빈주의의 특성 = 470
 84. 유럽에서 종교개혁의 행진 = 475
 85. 재세례파들과 신비적 성령주의. 반삼위일체론 = 485
 86. 가톨릭주의의 복고 시작 = 493
 87. 예수회 = 495
 88. 트리엔트 공의회 = 499
 89. 서구유럽에서의 교파들의 투쟁들 = 502
 90. 폴란드와 스웨덴에서의 반종교개혁 = 509
 91. 독일에서의 반종교개혁 = 511
 92. 1546년 이래로 독일의 루터교 안에서의 정치적 신학적 대립들. 1577년의 협정. 1560년 이래 개혁교 신앙고백의 진출 = 514
 93.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의 가톨릭주의 = 521
 94. 교회적 관점에서 본 30년 전쟁과 베스팔렌 평화조약 = 527
 95. 정통주의 시대의 독일 루터파의 교회 내적 상황들 = 531
 96. 네덜란드, 스위스, 프랑스에서 개혁교적 개신교의 발전 = 538
 97. 17세기의 로마 가톨릭교회 = 543
 98. 1603년에서 1689년까지의 영국 = 550
 99. 동방의 교회들 = 560
 100. 해외 여러 나라들에서의 선교 = 561
 101. 북미의 식민지들의 시작 = 563
 102. 루터교회 신앙고백서들 = 565
 103. 가장 중요한 개혁교회 신앙고백서들 = 567
제7기 계몽주의 시대
 104. 계몽주의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일반적 내용 = 574
 105. 홀란드, 영국, 프랑스에서 계몽주의 운동의 전개. 독일에서의 계몽주의 초기 = 579
 106. 경건주의 = 590
 107. 개신교적 독일에서의 계몽주의의 절정 = 599
 108. 계몽주의로부터 독일관념론까지 = 608
 109. 영국에서의 교회의 상황. 영국의 각성운동 = 615
 110. 북미의 교회의 발전 = 620
 111. 계몽주의와 프랑스 혁명의 와중에서 로마 가톨릭교회 = 622
제8기 낭만주의적 반동으로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1814년에서 1914년까지)
 112. 경제생활과 정치 = 638
 113. 세계관, 과학, 예술 = 641
 114. 가톨릭교회의 외적 내적 갱신과 최초의 정치적 성과 = 648
 115. 교황권의 지속적 성장. 무오설의 선언. 교회국가의 위기와 몰락. 비스마르크의 문화투쟁 = 658
 116. 1878-1914년 사이의 로마 가톨릭주의 = 668
 117. 종교적 갱신 = 676
 118. 교회의 재조직(연합, 헌법, 예전 개혁) = 679
 119. 슐라이엘마허와 그의 후계자들 시대의 개신교 신학 = 684
 120. 신루터파 정통주의 전성기의 지방 교회들 = 692
 121. 신학의 발전 = 700
 122. 교회와 종교의 세력들 = 706
 123. 영국 = 714
 124. 스위스, 홀란드, 스칸디나비아 제국들에서의 개신교 = 722
 125. 주로 가톨릭적 국가들에서의 개신교도들 = 727
 126. 미국의 개신교 = 731
 127. 지중해 지역들의 정교회적 지방교회들 = 739
 128. 러시아 = 741
 129. 동방의 연합파와 이단들 = 745
 130. 세계교통과 선교 = 746
제9기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교회
 131. 교회의 전체 상황의 변화들 = 754
 132. 로마 가톨릭교회 = 762
 133.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의 개신교 지방교회 제도의 위기와 새로운 확립 = 772
 134. 20년대 독일 개신교의 새로운 신학적 방향 = 776
 135. 1933년 이래 독일 개신교에서 교회투쟁과 1945년 이후의 교회재건 = 780
 136. 독일 밖의 개신교. 에큐메니칼 운동 = 790
 137. 아나톨리아의 기독교 = 803
 138. 여타의 종교들 가운데서 기독교의 위치 = 807
색인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