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11
1. 교부학의 개념과 과제 = 11
2. 교부학의 중요성 = 12
3. 교부학의 문헌사 = 12
4. 교부학의 구분 = 17
제1부 교부학의 예비 지식 = 19
5. 예비 지식의 개념과 중요성 = 19
제1장 교회 저술가, 교부, 교회 교사의 개념 = 19
6. 교회 저술가 = 20
7. 교부 = 21
8. 교회 교사 = 23
제2장 교부들의 권위 = 24
9. 일반적인 교부의 권위 = 24
10. 교부 개인의 권위 = 27
11. 신앙과 윤리 문제에서의 교부 권위 = 28
12. 교부의 성서 해설 권위 = 29
13. 고행과 사목에서의 권위 = 31
14. 교부와 성서 및 교회와의 관계 = 32
제3장 교부학 비평 = 33
15. 비판의 개념 = 33
16. 교회 작품의 삽입, 위조 및 분실 이유 = 34
17. 교부 저술물의 순수성 및 비순수성 = 35
18. 비평 적용 법칙 = 37
제4장 교부 사용법 = 38
19. 일반적인 사용 = 38
20. 교리적 사용 = 39
21. 도덕적 금욕적 사용 = 39
22. 성서 주석적 사용 = 40
23. 선택의 문제 = 41
24. 유익한 사용법의 전제 조건들 = 43
25. 사용 방법 = 44
제5장 올바른 교부 이해를 위한 보조 수단 = 46
26. 이해하기 어려운 제 원인 = 46
27. 학문적 보조 자료 = 46
28. 문헌 보조 자료 = 47
제2부 교부학 서술 = 52
29. 구분 = 52
제1기 교부 문헌의 성립과 사도 교부 시대(150) = 52
30. 사도 교부 = 52
31. 사도 교훈 = 54
32. 사도 성 바나바 = 56
33. 로마 감독 클레멘스 = 59
34. 헤르마스 = 62
35. 안디옥 감독 성 이그나치우스 = 65
36. 서머나 감독 폴리캅 = 68
37. 히에라폴리스의 감독 성 파피아스 = 70
38.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의 익명의 저자 = 72
제2기 교부 문헌의 확장기(150-325) = 74
39. 개관 = 74
1. 희랍 교부 및 교회 저술가 = 75
(1) 희랍 변증가 = 75
40. 순교자 성 유스틴 = 75
41. 아씨리아인 타치안 = 79
42. 철학자 아테나고라스 = 81
43. 안디옥 감독 성 테오필루스 = 83
44. 소 변증가들 = 84
(2) 희랍 논쟁가 = 88
45. 리용의 감독 성 이레네우스 = 88
46. 로마의 장로 카이우스 = 91
47. 성 히폴리투스 = 92
48. 카스카라의 성 아르켈라우스 = 95
(3) 그리스 주석가 = 96
49. 판테누스 = 97
50.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 97
51. 오리게네스 = 100
52. 오리게네스의 친구들:성 그레고 타우마투르구스, 성 팜필루스 및 대 디오니시우스 = 106
53. 올림포스의 감독 성 메토디우스 = 110
2. 라틴 교부 및 교회 저술가 = 112
54. 카르타고의 장로 터툴리안 = 112
55. 미누찌우스 펠릭스 = 118
56. 카르타고의 감독 성 씨프리안 = 121
57. 로마 감독 꼬르넬리우스, 스테파누스, 디오니시우스 = 126
58. 분열주의자 노바찌안 = 128
59. 아르노비우스 = 130
60. 락탄치우스 휘르미아누스 = 131
제3기 교부 문헌의 번성기(325-461) = 134
61. 개관 = 134
1. 희랍교부와 저술가들 = 135
62. 씨자리아의 감독 유세비우스 = 135
63. 알렉산드리아 대주교 성 베드로 = 140
64. 알렉산드리아 대주교 성 아타나시우스 = 141
65. 수리아인 성 에프렘 = 147
66. 예루살렘의 감독 성 시릴 = 151
67. 씨자리아의 대주교 성 바질리우스 = 154
68. 사시마의 감독 나지안주스의 성 그레고르 = 157
69. 니싸의 감독 성 그레고르 = 162
70. 다소의 감독 디오도르 = 166
71. 몹쉐스티아 감독 테오도르, 아파메아 감독 폴리크로니우스 = 168
72. 소경 디뒤무스 = 171
73. 대(大) 또는 에집트인 성 마카리우스 = 173
74. 살라미스의 감독 성 에피파니우스 = 174
75. 콘스탄티노플 총주교 크리소스토무스 = 177
76. 프롤레마이스 감독 쉬네시우스 = 184
77. 알렉산드리아 총주교 성 시릴 = 186
78. 퀴루스의 감독 테오도렛 = 192
79. 펠루시움의 성 이시도르 = 195
80. 연장자 성 닐루스 = 198
81. 에즈닉의 감독 성 메스롭과 은자 엘리쉐 = 201
82. 아레오파기타의 디오니시우스 = 204
2. 라틴 교회 교부와 교회 저술가 = 207
83. 쁘와띠에 감독 성 힐라리우스 = 207
84. 바르셀로나 감독 성 파키안 = 211
85. 밀레브의 감독 성 옵타투스 = 213
86. 교황 성 율리우스 1세, 성 다마수스 및 성 시리키우스 = 215
87. 밀라노 감독 성 암브로시우스 = 217
88. 아퀼레이아의 장로 루피누스 = 223
89. 성 히에로니무스 = 226
90. 히포의 감독 성 아우구스티누스 = 232
91. 술피키우스 쎄베루스 = 246
92. 놀라의 감독 성 파울리누스 = 249
93. 마르세이유의 사제이며 수도원장인 요하네스 카씨아누스 = 251
94. 이퀴타니아의 성 프로스퍼 = 254
95. 레렁의 성 빈센츠 = 257
96. 리용의 감독 성 유케리우스 = 259
97. 아를르의 대주교 성 힐라리우스 = 262
98. 마르세이유 사제 살비아누스 = 264
99. 교황 대 레오 = 266
100. 라벤나의 대주교 페트루스 크리솔로구스 = 271
101. 기독교 시인들 = 273
제4기 교부 문학 붕괴기(401-700년경) = 280
102. 붕괴의 제 원인 = 280
1. 희랍 교부와 교회 저술가 = 281
103. 수도원장 성 요한네스 클리마쿠스 = 281
104. 예루살렘의 총주교 성 소프로니무스 = 283
105. 수도원장이며 고백자인 성 막시무스 = 287
106. 사제이며 수사인 성 아나스타시우스 = 290
107. 다마스쿠스의 성 요하네스 = 293
2. 라틴 교회 교부 및 교회 저술가 = 297
108. 루스페의 감독 성 풀겐치우스 = 297
109. 파비아의 감독 성 엔노디우스 = 302
110. 원로원 의원이며 로마의 문법가인 보에티우스 = 305
111. 정치인이며 수도원장인 카씨오도리우스 = 309
112. 아를르 대주교 성 쎄자리우스 = 312
113. 수도원장이며 수도단 건립자인 성 베네딕트 = 315
114. 투르의 감독 성 그레고르 = 318
115. 쁘와띠에 감독 베난치우스 포르투나투스 = 321
116. 교황 성 대 그레고리 = 324
117. 쎄빌라의 대주교 성 이시도르 = 330
교부들의 저서에 대한 탁월한 출판과 교부들의 연대표 = 336
역자후기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