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16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96326 | |
005 | 20140415101116 | |
007 | ta | |
008 | 140219s2014 ulkad 001c kor | |
020 | ▼a 9788931445879 ▼g 13000 | |
035 | ▼a (KERIS)BIB000013389317 | |
040 | ▼a 211064 ▼c 211064 ▼d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004.65 ▼2 23 |
085 | ▼a 004.65 ▼2 DDCK | |
090 | ▼a 004.65 ▼b 2014 | |
100 | 1 | ▼a 서영석 |
245 | 1 0 | ▼a SDN 입문 : ▼b 오픈소스를 활용한 Openflow 이해하기 / ▼d 서영석, ▼e 이미주 공저 |
260 | ▼a 서울 : ▼b 영진닷컴, ▼c 2014 | |
300 | ▼a 364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부록: RouteFlow | |
700 | 1 | ▼a 이미주,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004.65 2014 | 등록번호 1212294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004.65 2014 | 등록번호 1513223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004.65 2014 | 등록번호 1212294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004.65 2014 | 등록번호 1513223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SDN은 네트워크의 모든 네트워크 장비를 지능화된 중앙 관리 시스템에 의해서 관리하는 기술이다. SDN을 구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가장 많이 지지하는 공개 표준인 OpenFlow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SDN/OpenFlow는 현재 Microsoft, Google, Cisco 등의 기업으로부터 지원받아 활발하게 급성장하고 있다.
이 책은 SDN의 기초적인 이론 내용과 OpenFlow Controller가 어떤 것인지 기본적인 개념을 잡을 수 있도록 상세한 가이드를 주고 있다. 그리고 Network에 생소한 S/W 개발자와 OpenSource를 활용하는 N/W 엔지니어들이 OpenFlow Project들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SDN 커뮤니티 "OpenFlow Koera"의 두 기술 매니저가 알려주는
오픈 소스를 활용한 OpenFlow 이해하기 ‘SDN 입문’
네트워크 시장에서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SDN은 네트워크의 모든 네트워크 장비를 지능화된 중앙 관리 시스템에 의해서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SDN을 구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가장 많이 지지하는 공개 표준인 OpenFlow 프로토콜을 이용합니다. SDN/OpenFlow는 현재 Microsoft, Google, Cisco 등의 기업으로부터 지원받아 활발하게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총 3개의 파트로 Part 1에서는 네트워크의 역사와 SDN 기술 개요 및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네트워크의 변화 흐름과 SDN을 이용한 다양한 활용 예를 다루고, 기본적인 SDN 동작 방식에 대해 소개합니다. Part 2에서는 OpenFlow Controller가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니다. OpenFlow에 대해 설명하고, SDN 기술 개념을 적용하여 개발된 OpenSouce Project 종류 등을 살펴봅니다. Part 3에서는 현존하는 OpenSource Controller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SDN Controller 4가지를 소개합니다. 각각의 Controller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이 책은 SDN의 기초적인 이론 내용과 OpenFlow Controller가 어떤 것인지 기본적인 개념을 잡을 수 있도록 상세한 가이드를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Network에 생소한 S/W 개발자와 OpenSource를 활용하는 N/W 엔지니어들이 OpenFlow Project들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직접 설치하고 활용해봄으로서 SDN/OpenFlow 입문자들에게 OpenFlow Controller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 주요 내용
Part 1. 네트워킹의 거대한 전환
SDN 기술 개요 및 동향에 대해 살펴봅니다. 급변화하는 네트워크 시장에서 인터넷의 발전사를 알아보고, SDN/OpenFlow 기술 동향에 대해 설명합니다. SDN의 동작 방식과 구현 가능한 UseCase도 소개합니다.
Part 2. OpenFlow Controller 알아보기
개인 PC나 노트북에서 VM image 구성을 하여 OpenFlow 망을 구축해보고 간단한 UseCase를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소개합니다. 기본적인 기능을 익히고, Ping Test를 통하여 OpenFlow 개념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Part 3. OpenSource Controller 사용하기
OpenFlow Controller를 직접 설치해보고 동작 원리와 기능을 학습합니다.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OpenFlow Controller 중 4가지를 선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다운로드 방법부터 설치 과정, 그리고 각 기능들을 확인하고 실습합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서영석(지은이)
우리나라 최초로 SDN/OpenFlow를 미디어에 발표한 이후, 정신없이 기술 세미나와 컨설팅을 진행하면서 SDN의 진정한 가치를 알리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습니다. 몰려오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집단지성을 통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SDN 커뮤니티 - OpenFlow Korea를 동료들과 만들어 누구나 손쉽게 SDN을 이해하고 함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급기야는 잘 다니던 외국계 회사도 박차고 나와 SDN 전문회사인 NAIM Networks에서 국내 최고의 SDN 전문가 분들과 함께 현실로 다가오는 SDN World를 착실하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불과 1~2년 사이에 차세대 핵심 네트워크 기술로 주목받게 된 SDN을 바라보면서 침체되어 있는 우리나라 네트워크 산업에 새로운 돌파구가 생기지 않을까 기대하며 오늘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이미주(지은이)
대학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였고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를 거쳐 현재 KT ds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2012년 OpenFlow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SDN 커뮤니티인 OpenFlow Korea의 초기 멤버로서, 기술 매니저로 활동하고 있으며, SDN/OpenFlow OpenSource Project들을 연구 개발하고 기술전파를 위해 기술세미나를 수차례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인 SDN을 S/W Engineer의 시각에서 다양한 UseCase 발굴 방안과 실무에 활용될 수 있는 개발 방법들을 연구하고 전파하고 있습니다.

목차
목차 Part 01 네트워킹의 거대한 전환 Chapter 01 네트워크의 역사 1.1 인터넷의 발전사 = 16 1.2 대한민국 인터넷 발전 = 18 1.3 인터넷 트래픽의 급속한 증가 = 20 1.4 현재 네트워크 구조와 한계 = 24 1) 운영 자동화와 중앙관리의 어려움 = 26 2) 효율과 비용 문제 = 27 3) 개별 처리로 인한 네트워크 복잡성 증가 = 30 1.5 새로운 네트워크 구조의 필요성 = 31 Chapter 02 네트워크 패러다임 쉬프트 2.1 SDN/OpenFlow 기술의 역사 = 36 1) Ethane/OpenFlow = 38 2) ONF = 41 3) NFV = 43 4) OpenDaylight = 46 2.2 SDN/OpenFlow 기술 개요 = 47 1) SDN 아키텍처란? = 48 2) Infrastructure Layer = 58 3) Controller Layer = 61 4) Application Layer = 66 5) Overlay 기술 = 68 6) Native OpenFlow 기술 = 71 7) Network Virtualization = 74 2.3 SDN/OpenFlow 벤더별 동향 = 80 1) SDN 전망과 투자 현황 = 81 2) Startup 틈새 시장 공략 기술 소개 = 83 3) 주요 벤더 전략 = 88 Chapter 03 SDN을 이용한 다양한 활용 예 3.1 참고할만한 SDN 상용 UseCase = 92 1) Google 사례 = 93 2) NTT 사례 = 99 3.2 상용 SDN Solution 살펴보기 = 103 1) Cloud의 절대 강자 - NVP = 103 2) DataCenter 솔루션 - NEC = 109 3.3 SDN을 활용한 구현 가능한 UseCase = 111 1) Elastic Tree – 데이터센터 전력 효율화 = 111 2) 서비스 체이닝 = 113 Chapter 04 SDN 동작 방식의 이해 4.1 OpenFlow Network 동작 = 115 1) OpenFlow Protoco Message의 종류 = 116 2) Topology Discovery 절차 = 118 3) OpenFlow Network 내 통신 = 121 4.2 Legacy Network와의 통신 방식 비교 = 126 1) Legacy Network의 통신 방식 = 126 2) OpenFlow Network의 통신 방식 = 131 4.3 Legacy Network와의 연동 기술 = 159 1) RouteFlow = 160 2) LegacyFlow = 162 3) 벤더 확장 기술 = 164 4) 다양한 방안들 - Hybrid Switch = 169 Part 02 OpenFlow Controller 알아보기 Chapter 05 OpenFlow 기본 학습 5.1 OpenFlow = 174 5.2 OpenFlow Operation = 178 1) Header Fields = 180 2) Counters = 182 3) Actions = 183 5.3 OpenFlow Controller = 185 5.4 OpenFlow Projects = 187 Chapter 06 OpenSource Controller 준비하기 6.1 준비하기 = 188 1) OpenFlow Tutorial VM Image = 189 2) Virtualization Software(VirtualBox install) = 190 3) X server = 192 4) SSH terminal 설치하기 = 195 6.2 OpenFlow Tutorial 설치 = 198 1) VM VirtualBox 실행 = 199 2) VM image 추가하기 = 199 3) VM image 설치하기 = 201 6.3 VirtualBox Setting = 203 1) VM VirtualBox 관리자 화면 = 203 2) 환경설정 둘러보기 = 204 3) NAT interface 확인 = 204 4) Host-only interface 추가 = 205 6.4 SSH 접속 = 205 6.5 Wireshark 실행 = 208 Chapter 07 가상 네트워크 구성하기 7.1 Mininet 살펴보기 = 212 1) Mininet Download = 212 2) Mininet 실행하기 = 213 3) Mininet CLI = 214 7.2 Edit Topology = 218 1) Edit by code = 218 2) Edit by tools = 222 7.3 Mininet Test = 225 Part 03 OpenSource Controller 사용하기 Chapter 08 NOX Controller 8.1 NOX Controller = 238 8.2 Download&Install = 240 1) NOX version 확인하기 = 240 2) NOX destiny bootstrapping = 241 3) NOX 실행 = 245 8.3 NOX GUI = 248 1) NOX GUI 준비&실행하기 = 248 2) NOX GUI 살펴보기 = 253 8.4 NOX 둘러보기 = 258 1) Core Application = 259 2) Network Application = 259 3) Web Application = 259 4) MAC Learning = 260 5) Third-party extensions = 264 Chapter 09 POX Controller 9.1 POX Controller = 266 9.2 Download&Install = 268 1) POX Download = 268 2) POX 실행과 종료 = 269 3) POX Controller with Mininet = 271 9.3 POX GUI = 275 1) POXDesk 준비&실행하기 = 275 2) POXDesk 살펴보기 = 278 9.4 POX 둘러보기 = 284 Chapter 10 Floodlight Controller 10.1 Floodlight Controller = 289 10.2 Download&Build = 291 1) JDK&Ant 설치 = 291 2) Download&Build = 293 3) Floodlight controller with Mininet = 294 10.3 Floodlight GUI = 295 1) Web GUI = 295 2) Avior = 299 3) Static Flow Pusher API = 314 10.4 Floodlight 둘러보기 = 318 Chapter 11 OpenDaylight 11.1 OpenDaylight Controller = 320 11.2 Download&Build = 323 1) Download&Build = 324 2) Setup JAVA_HOME ENV = 326 3) Start OpenDaylight Controller = 326 4) Mininet = 327 11.3 OpenDaylight GUI = 328 1) Web GUI 접속하기 = 328 2) Login = 329 3) 화면 구성 둘러보기 = 329 4) Add Gateway IP Address = 331 5) Add Flow = 335 Appendix : RouteFlow A.1 RouteFlow 개념 = 350 A.2 RouteFlow Download = 351 1) Download&Build = 352 A.3 RouteFlow 기능 소개 = 353 A.4 RouteFlow Test Scenario = 355 1) rftest 1 = 355 2) rftest 2 = 358 A.5 RouteFlow GUI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