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9n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96099 | |
005 | 20140411144432 | |
007 | ta | |
008 | 140411s2014 ulkadk b 001c kor | |
020 | ▼a 9791130300740 ▼g 93350 | |
040 | ▼a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352.609519 ▼2 23 |
085 | ▼a 352.60953 ▼2 DDCK | |
090 | ▼a 352.60953 ▼b 2014 | |
100 | 1 | ▼a 유민봉 ▼0 AUTH(211009)30047 |
245 | 1 0 | ▼a 한국인사행정론 = ▼x Public personnel management in Korea / ▼d 유민봉, ▼e 박성민 |
250 | ▼a 제5판 |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14 | |
300 | ▼a xxiv, 707 p. : ▼b 삽화, 도표, 서식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687]-702)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성민, ▼e 저 ▼0 AUTH(211009)82515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60953 2014 | 등록번호 1117160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유민봉(지은이)
대전에서 태어났고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한(1980년) 후 미국 텍사스대에서 정책학석사를 오하이오주립대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90년). 행정고시(제23회)를 합격하였고 해병대 중위로 군복무를 마쳤다(1983년). 1991년에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시작하였으며 대학의 기획조정처장․국정전문대학원장 및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기획수석과 청불회(청와대불자회)장을 맡아 일했다. 제20대 국회의원(비례대표, 현 국민의힘)으로 4년간 의정활동을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행정학(2021, 7판), 리콴유의 눈으로 본 세계(2017, 역서), 공공정책과 기업가형 리더십(2008, 제2저자), 나를 찾아가는 자기경영(2003) 등이 있다.
박성민(지은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Columbia University 국제행정대학원(SIPA)에서 국제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eUniversity of Georgia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네바다 주립대) Greenspun College of Urban Aairs(그린스펀 행정대학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귀국 후 현재까지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연구관심 분야는 ‘행정관리 및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개발 및 인재양성정책’, ‘조직행태 및 공공리더십 개발’, ‘정부혁신 및 인사개혁’, ‘청년정책 및 플랫폼 거버넌스’ 등이다. 최근 단독 및 공저 학술저서로는 <한국인사행정론>, <조직과 인간관계>, <인사혁신론: 이론과 실제>, <함께풀어가는 사회문제>, <대한민국 공무원 그들은 누구인가>, <공공인재개발론>, <인문사회과학자를 위한 논문작성 HandBook>, <2020 한국인의 정체성: 지난 15년간 변화의 궤적>, <공공가치 창출을 위한 현대조직론>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1편 인사행정의 기초 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 제1절 인사행정의 이해 = 5 제2절 인사행정의 관점 = 16 제3절 인사행정의 발전과정 = 26 제4절 인사행정의 외부환경요소 = 31 개혁 사례 = 45 토론 문제 = 46 제2장 인사행정의 이념과 목표 제1절 인사행정의 이념 = 49 제2절 인사행정의 목표 = 58 개혁 사례 = 63 토론 문제 = 64 영화로 보는 인사행정 = 65 연구로 보는 인사행정 = 66 제2편 인사행정의 내부환경요소 제3장 실적주의제와 직업공무원제 제1절 실적주의제의 이해 = 71 제2절 직업공무원제의 이해 = 83 제3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92 개혁 사례 = 102 토론 문제 = 103 제4장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제1절 계급제의 이해 = 107 제2절 직위분류제의 이해 = 113 제3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127 개혁 사례 = 136 토론 문제 = 138 제5장 인사기관 제1절 인사기관의 의의 = 141 제2절 인사기관의 유형 = 147 제3절 우리나라의 중앙인사기관 = 152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156 개혁 사례 = 158 토론 문제 = 159 영화로 보는 인사행정 = 160 연구로 보는 인사행정 = 161 제3편 인사행정의 전략 제6장 직무와 개인의 이해 제1절 직무의 이해 = 167 제2절 개인의 이해 = 192 개혁 사례 = 204 토론 문제 = 205 제7장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제1절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이해 = 209 제2절 인력관리계획의 이해 = 213 제3절 인력관리계획 모델 = 215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228 개혁 사례 = 232 토론 문제 = 233 영화로 보는 인사행정 = 234 연구로 보는 인사행정 = 235 제4편 인적자원의 확보 제8장 모집 제1절 모집의 이해 = 241 제2절 적극적 모집의 이해 = 242 제3절 모집의 주요 쟁점과 한계 = 248 제4절 우리나라의 공무원 모집 = 254 제5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271 개혁 사례 = 276 토론 문제 = 278 제9장 선발 제1절 선발의 이해 = 281 제2절 선발과정의 이해 = 282 제3절 선발시험의 효용성 확보 요건 = 291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304 개혁 사례 = 307 토론 문제 = 308 영화로 보는 인사행정 = 309 연구로 보는 인사행정 = 310 제5편 인적자원의 개발 제10장 교육훈련 제1절 교육훈련의 이해 = 317 제2절 역량기반 교육훈련의 이해 = 320 제3절 교육훈련 과정의 이해 = 325 제4절 우리나라 공무원 교육훈련 = 340 제5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345 개혁 사례 = 351 토론 문제 = 353 제11장 인사이동과 경력개발 제1절 승진의 이해 = 357 제2절 배치전환의 이해 = 367 제3절 경력개발의 이해 = 371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381 개혁 사례 = 388 토론 문제 = 389 영화로 보는 인사행정 = 390 연구로 보는 인사행정 = 391 제6편 인적자원의 유지ㆍ활용 제12장 공무원 동기부여 제1절 동기의 이해 = 397 제2절 자기결정성 이론의 이해 = 400 제3절 공직동기의 이해 = 406 제4절 동기이론 = 410 제5절 동기부여 영향요인 = 423 제6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430 개혁 사례 = 434 토론 문제 = 436 제13장 다양성 관리 제1절 다양성의 이해 = 439 제2절 다양성 관리의 이해 = 443 제3절 우리나라 공직사회의 다양성 관리 = 455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468 개혁 사례 = 476 토론 문제 = 479 제14장 공무원 의무와 권리 제1절 공무원 의무의 이해 = 483 제2절 공무원 권리의 이해 = 504 제3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529 개혁 사례 = 533 토론 문제 = 534 제15장 공무원 노동조합 제1절 공무원 노동조합의 이해 = 537 제2절 노사관계 관리모형 = 544 제3절 공무원 노동조합의 기능 = 548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555 개혁 사례 = 558 토론 문제 = 559 영화로 보는 인사행정 = 560 연구로 보는 인사행정 = 561 제7편 인적자원의 평가 제16장 공무원 성과관리 제1절 근무성적평정에 대한 일반적 이해 = 567 제2절 우리나라 공무원의 성과평가 제도 = 595 제3절 우리나라 공무원 성과급 제도 = 628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632 개혁 사례 = 637 토론 문제 = 640 영화로 보는 인사행정 = 641 연구로 보는 인사행정 = 642 제8편 인적자원의 보상 제17장 보수와 연금 제1절 보수의 이해 = 647 제2절 연금의 이해 = 670 제3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677 개혁 사례 = 681 토론 문제 = 682 영화로 보는 인사행정 = 683 연구로 보는 인사행정 = 684 참고문헌 = 687 색인 = 703